• 제목/요약/키워드: 기학(氣學)

검색결과 357건 처리시간 0.022초

칠레 북부해안에 발달된 제4기 해안단구(고해수면)와 신구조운동 (Neotectonics and late Quaternary Marine Terraces along the Coastal Zone of the Northern Chile.)

  • 한상준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61-86
    • /
    • 1995
  • 칠레 북부해안에는 여러개의 해안 단구들이 발견되는데 이는 지구조 운동과 하께 해수면 변동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단구의 형성시기는 전부 밝혀지지는 않았으며 여전히 논란이 되고 있다,. 안토파가스타에서 이끼케까지 9개지역에서 발견되는 여러단구에 대한 탄 소 연대측정 전자스핀 공명법, 우라늄측정, 아미노산 연대측정 방법들을 이용하여 그 형성시 기를 측정하였다, 그결과들은 기본적으로 3∼4개의 뚜렷한 단구를 선정하여 지역간에 서로 대비하였다, 대부분의 단구들은 산소 동위연소 연대(Oxygen Isotope State) 3에서 11범주에 들어가는데 이것은 계단식 단구들이 단지 지구조 운동만으로 형성된 것이 아니라 전지구 기 후 변동과 밀접하게 관련된 전세계 해수면 변동에 의해 강한 영향을 받았음을 시사한다. 특 히 플라이스토세에 형성된 일련의 해빈 사구들은 플라이스토세 초기에서 중기사이 반복된 간빙기를 나타낸다.

  • PDF

강원도 동해안(송지호) 해안퇴적층의 제4기 후기 층서와 중광물 (Late Quaternary Stratigraphy and the Heavy Minerals from Deep Cored Sediments along the Coastal Deposits, Songji Lagoon, Eastern Coast, Korea)

  • 박용안;박영후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1-117
    • /
    • 2001
  • 강원도 동해안 송지호(석호: lagoon)의 해안 퇴적층(석호입구 사립 퇴적층)에서 실시된 심부 시추 퇴적층에 대한 퇴적학적인 제4기 후기 층서설정과 환경연구 결과가 현세 해수면 상승곡선이 서로 대비되어 해석되었다. 중광물 함량의 변화가 퇴적층서 단위별로 차이를 나타내는 사실은 육성 퇴적 환경에서 해안 해빈 환경으로의 진화과정을 뒷바침한다.

  • PDF

고강동과 대야미 토기 박편 예비 분석 (Preliminary Analysis of Potteries from Two Bronze Age Settlement Sites in Kyounggi Province in Korea)

  • 정혜주;이화종;배기동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5-62
    • /
    • 2002
  • 한반도 중부지역 경기 서부지역의 두 지점의 청동기유적에서 출토된 토기에 대한 기초적인 관찰에서 태토와 비짐의 구성 광물 결정의 크기와 종류의 차이가 관찰되는데, 이는 태토와 비짐의 출처에 따라 다를 수 있을 것이며 또한 토기를 제작하는 기술의 차이에서 왔을 가능성도 있다고 보여진다. 정확한 판정을 위해 더 많은 토기편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PDF

일본 히로시마 삼각주 퇴적층의 황철석 함량과 고 환경변화 (Pyrite Concentration and Paleoenvironmental Change of the Hiroshima Delta (Japan))

  • Jinadasa Katupotha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7-54
    • /
    • 1989
  • 현세 반담수와 염수습지 퇴적층에 함유된 황철석 ($FeS_2$)의 함량이 담수습지 퇴적층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히로시마 삼각주 퇴적층에서의 황철석 유황($FeS_2$-S)의 함량차이의 이유는 초기 현세동안에 고 해수면(palaeo-sea level)의 위치가 수백년 동안 같았으며 또한 배수가 잘 되지않은 염수습지가 현재의 평균해수면 보다 27m~28m 낮은 위치에 발달하였음을 지시한다.

  • PDF

한국 고생대 후기의 평안층군 퇴적암(해성기원 및 육성기원)에 관한 퇴적작용과 퇴적환경 연구 (Deposition and Sedimentology of the Marine and Nonmarine Sedimentary Rocks of the Pyung-Ahn Group, Kangweondo, Korea)

  • 박용안;최강원;김진호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69-85
    • /
    • 1989
  • 강원도 정선 일대의 평안층군 퇴적암(만항층, 금천층, 장성층 및 옥갑산층)에 대한 퇴적환경이 연구되었다. 본 연구의 중요 결과는 평안층군의 퇴적암상이 오늘의 제4기적 현세 퇴적환경과 유사한 천해적 퇴적환경에서 육지분지적 퇴적환경으로 전이되는 그러한 환경변화를 나타낸다는 사실이다. 즉, 평안층군의 하부는 전형적 해성퇴적환경이며 장성층과 옥갑산층은 전형적인 육성퇴적환경으로 변화된 퇴적상을 나타낸다. 특히 만항층과 금천층의 쇄설사암이 현 환경의 해저 사립퇴적층과는 다르게 장석광물성분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제시되고 토의 되었다.

  • PDF

후기 뻬리고디엥 문화의 고형석기 (L'OUTILLAGE ARCHAIQUE DANS LE PERIGORDIEN SUPERIEUR)

  • Young-Wha Chung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103-111
    • /
    • 1993
  • 프랑스 후기 구석기 중에서 제일 먼저 나타나는 문화의 하나인 뻬리고디엥 문화의 발전 단계에서 후기에 속하는 후기 뻬리고디엥 문화는 프랑스 남부 DORDOGNE 지방에 있는 FLAGEOLET유적으로 대표된다. 특히 이 유적의 제 6층에서 이 시기의 구석기가 많이 출토되었으며 이 중에서도 고형석기의 비율은 상당히 큰편이다 (31,23%). 이 비율은 전기 뻬리고디엥 문화의 고형석기의 비율 (58.92%) 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역시 말기 뻬리고디엥 문화의 고형석기 비율 (17.99%) 보다는 높다. 이러한 고형석기의 잔존 비율은 바로 프랑스 구석기문화가 중기구석기 더 나아가서는 전기구석기문화 전통에서 계속 이어져 발전되어 왔다는 것을 강하게 시사해 주는 바이다.

  • PDF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퇴적과정 (Depositional processes of Tidal Flat Deposits off Mankyung-Dongjin Rivers West Sea Korea.)

  • 최진용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9-32
    • /
    • 1995
  • 한반도 서해 만경강-동진강 하구역 조간대 퇴적층의 수직층서 퇴적상 변화를 분석 하여 퇴적과정을 기초해양환경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해역 저 조선의 퇴적층은 사 질함량이 우세한 반면 방조제와 인접한 만조선의 퇴적층은 실트질이 우세하였고 상층과 하 층의 퇴적물이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사질퇴적층의 내부퇴적구조는 괴상구조, 평행층리 및 사층리 구조등이 우세하며 니질퇴적층에서는 모래/니질 교호엽리구조가 우세하다. 본 연구 의 결과 만경강-동진강 조간대 퇴적층서는 인근의 방조제 축조에 다른 퇴적환경 변화에 크 게 영향받은 것으로 해석된다, 즉 방조제축소 이전 고에너지의 퇴적환경에서 집적되었던 사 질퇴적층이 방조제축조 이후에는 저에너지 환경조건에서 집적된 니질퇴적물로 피복된 것으 로 해석된다.

반구대 암각화와 후빙기 후기 울산만의 환경변화 (Bangudae-rockgraving-picture and environmental change in the Ulsan-Bay on the period of late-Postglatcial)

  • 윤순옥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18
    • /
    • 1995
  • 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suppose the time of engraving of Bangudae-rockgraving-picture and the change of the ancient soci-ety related to the Postglacial transgression and regression in the Ulsan Bay. Main results can be summed up as follows; 1. It is supposed that the shoreline in the maximum Postglacial transgression of the Ulsan bay has arrived to Gulhwa-Ri about 14km upstream from the present Taehwa River mouth. 2,.This transgression has occurred about 6,000-5,000 years ago. The prehistoric men around the Bangudae had hunted the whale near the inner bay From this time the people had begun to engrave pictures on the Rock of Bangudae for the ceremony and instruction of the whale hunting,. 3. Since then the shoreline had regressed and the whale hunting area had moved to distant area from the residence and the number of the captured whales had diminished. The whale hunting society had been transformed to the overland animals on the Bangudae-rockgraving- pictures had gradually increased.

  • PDF

Significance of biogenic silica on paleoenvironmental studies in South Korea

  • Orkhonselenge, A.;Yang, D.Y.;Nahm, W.H.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27
    • /
    • 2008
  • Paleoenvironmental evolution in South Korea is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fluctuations in biogenic silica content in sediments from Cheollipo coast on western shore. The biogenic silica measurement was done by alkaline extraction technique. The concentration of the biogenic silica in the Cheollipo coastal sediments is generally low, with an average of 1.2 %. The proxy of biogenic silica records in Cheollipo sediments impli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of bio-productivity on Korean Peninsula in comparison with those in lacustrine sediments in interior terrestrial continent of the Eurasia.

  • PDF

트리의 삼차원 대칭성 탐지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Detecting Three Dimensional Symmetry in Trees)

  • 홍석희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 (A)
    • /
    • pp.677-679
    • /
    • 2000
  • 대칭성(symmetry)은 그래프를 가시화하여 기학학적 표현을 구축하는 그래프 드로잉 분야에서 그래프의 구조와 특성을 효율적으로 표현해주는 가장 중요한 평가 기준이다. 하지만 현재까지는 이차원 평면에서의 대칭성 문제에 대해서만 기존 연구가 이루어져왔을 뿐 해상도를 증가시키고 대칭성을 보다 풍부하게 표현할 수 있는 그래프의 삼차원 대칭 드로잉에 관한 연구는 아직 제시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드로잉에서의 삼차원 대칭성 문제를 연구하였다. 먼저 그래프의 삼차원 대칭 드로잉을 구축하기 위해 필요한 삼차원 대칭성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트리에서 삼차원 대칭성을 탐지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이 알고리즘은 트리의 최대의 대칭성을 보여주는 삼차원 드로잉 알고리즘으로 쉽게 확장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