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하 문제

검색결과 7,330건 처리시간 0.031초

수학교사들의 내용지식이 학생들의 기하 평가에 미치는 영향

  • 고상숙;장훈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445-452
    • /
    • 2005
  •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 50명에 대하여 기하 문제의 논증기하적 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이 학생들의 평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조사한 것이다.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학하면 도형의 문제에 대한 해석기하적인 문제해결 능력은 교육과정 상 대단히 중요하게 가르쳐야 할 내용이다. 유클리드 기하에 바탕을 둔 논증기하의 지식은 좌표평면의 도형을 방정식으로 나타내고 연구하는 해석기하의 기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학생들은 논증기하적 문제해결을 선호하는 반면 해석기하적 문제해결은 어려워한다. 또한 논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논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 해석기하적 문제 형태에는 해석기하적 문제해결 전략을 구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본 연구는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기하 문제에 대한 내용 지식이 학생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 PDF

중학생의 성취수준에 따른 기하 문제해결의 특징 탐색 (Research for Distinctive Features of Geometry Problem Solving According to Achievement Level on Middle School Students)

  • 김기연;김선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2호
    • /
    • pp.215-237
    • /
    • 2006
  • 본 연구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에 따라 구분된 학생들의 성취수준별로 기하 문제해결에서 어떤 특정을 보이는지를 탐색하려 하였다. 기초학력, 보통학력, 우수학력 학생 3 명씩을 동질그룹으로 구성하여 교사의 도움 없이 비정형적인 기하 문제를 해결하게 하였고, 관찰을 통해 성취수준별로 기하 개념 발달 수준이 어떠한지, 문제 해결의 방법을 선택할 때 어떤 접근을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기초학력 학생들은 모양과 실용 기하의 개념 수준에서 문제해결에서 무엇을 할 수 있는가에 초점을 둔 물리적, 구체적 행동을 보였고, 보통학력 학생들은 실용 기하와 유클리드 기하의 수준에서 문제해결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가에 초점을 두어 문제해결의 여러 가지 방법을 탐색했으며, 우수학력 학생들은 실용 기하와 유클리드 기하의 수준에서 일반화와 정당화를 통해 문제해결의 본질에 접근하려 하였다. 본 연구는 이에 따라 학생들의 수준별 수학 학습을 지도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PDF

대수식의 기하학적 해석을 통한 문제해결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roblem Solving Related with Geometric Interpretation of Algebraic Expressions)

  • 유익승;한인기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451-472
    • /
    • 2011
  • 수학의 다양한 영역들 사이의 연결성은 수학 자체의 발달 과정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수학 학습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문제에 포함된 대수식의 기하학적 해석을 통해 새로운 문제해결 방법을 탐구하였다. 특히 수학 문제해결에서 기하학적 접근에 대해 고찰하였고, 고등학교 수준의 비정형적인 문제들을 기하학적 해석을 통해 해결하며, 이에 관련된 문제해결의 특정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자료들은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과정에서 직접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기하 문제 학습을 위한 동적 추론 체계 (A Dynamic Inferential Framework for Learning Geometry Problem Solving)

  • 국형준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27권4호
    • /
    • pp.412-421
    • /
    • 2000
  • 수리나 과학 영역의 학습은 원리 이해와 응용을 위주로 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교육용 소프트웨어 제품들은 단순 주입식이나 단답식의 학습을 지원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높은 학습 성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인공 지능 연구에서 지식 표현 체계나 탐색, 추론 기법이 학습기 설계에 도입되어 증명기, 모의 실험기 유형의 학습기 연구에는 상당한 진전을 보아 왔으나 여전히 실용적 수준이라 할 수는 없고 특히 문제 해결을 지원하는 학습기는 설계 모형조차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가 설계한 기하 문제 학습기는 학습과 병행하는 동적 추론을 구사한다. 실시간 문제 해결을 지원하기 위한 정보 구성요소로서 명제, 가설 및 연산자에 의해 문제 공간을 정의하고 이들의 생성과 검증을 추론의 주요 대상으로 하는 대화식 문제 학습의 메카니즘을 탐구하였다. 성취한 결과로서 기하 문제 해결에서 필수 불가결한 요소임에도 불구, 기존 시스템이 간과해 왔던 대수 처리를 위한 일련의 추론 전략을 연계적으로 구사함으로서 실용성있는 문제 학습기의 설계 모형을 얻었다. 제안 모형은 물리, 전자 회로 등 타 과학 영역의 문제 학습기 설계에도 적용될 수 있다.

  • PDF

산학의 교육적 활용 방안 - 기하 문제를 중심으로 - (On the educational using of geometric problems of east-asian mathematics)

  • 허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3-66
    • /
    • 2009
  • 수학 교육에서 산학의 교육적 가치는 높게 평가 받고 있다. 이 글에서는 산학의 기하 문제가 중등학교 교과서와 각종 시험에 인용된 예를 통해, 산학을 중등학교 수학 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알아본다. 이와 함께 산학의 기하 문제가 새로운 주제의 도입을 위한 실생활 소재, 교과서에서 다룬 내용에 대한 실생활에의 응용문제, 수리 논술 문제 등으로 널리 활용할 수 있음을 구체적으로 확인하다.

  • PDF

기하학적 계획법

  • 강석호
    • 한국경영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1-54
    • /
    • 1976
  • 1964년에 Duffin과 Zener는 기하적 계획법(Geometric Programming)이란 새로운 비선형 계획법(Nonlinaer Programming)을 개발하였다. 이 새로운 기하적 계획법은 수주한 형태의 비선형 계획문제에만 적용이 가능하지만 반면 적용이 가능한 문제에 관해서는 매우 강력한 계획법중에 하나가 된다. 지금부터 기하적 계획법의 원리와 그에 따르는 문제해결 예제를 들면서 적용 가능한 비선형 문제를 해결하겠다.

  • PDF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 과정에서 연속 스펙트럼 활용에 대한 소고 (A study on the use of continuous spectrum in problem solving in a dynamic geometry environment)

  • 허남구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4호
    • /
    • pp.543-554
    • /
    • 2021
  • 동적 기하 환경은 학생들의 기하 문제 해결에 긍정적인 역할을 한다. 학생들은 드래깅을 통해 변화 속에서 불변성을 추측할 수 있으며, 분석법은 기하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하지만 드래깅 활동과 분석법을 활용한 문제 해결은 제한점이 있으며, 연속 스펙트럼은 대안이 될 수 있다. 학생들은 코딩이 결합된 동적 기하 환경에서 프로그래밍을 통해 연속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동적 기하 환경의 문제 해결에서 연속 스펙트럼을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문제 해결의 이해 단계에서 시각적으로 표현된 문제 상황을 통해 즉각적으로 이해하고, 계획 단계에서 해결 전략을 수립하고, 반성 단계에서 결과의 점검 및 일반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열간 마무리 압연기의 체터진동 (Chatter Vibration in Hot Strip Finishing Mills)

  • 전형일;이종암;이성진
    • 기계저널
    • /
    • 제35권5호
    • /
    • pp.414-426
    • /
    • 1995
  • 압연기 채터 진동은 압연기 구성 메카니즘상의 요인으로 다양하고 복잡하여 원인을 추적하기가 대단히 어렵다. 이러한 압연기 채터 진동은 압연기 구성기기들을 조기 마모시켜 설비의 수명을 저하시키고, 설비전체의 불안정성을 가중시켜 제품 품질 문제를 야기하기 때문에 꼭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최근 더욱 고속화, 연속 압연화되고 있는 압연 공정의 진동 발생 문제는 본론에서 언 급한 것 외에도 전기 제어계에 의한 문제, 판의 두께 정도의 향상을 위해 사용하는 AGC(automatic gage contrlo) 시스템의 유압 변동에 의한 문제 등을 포함하여 압연 메파니즘을 보다 다각도로 연구 검토하여 해결해 가야 할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인공지능에서 정수 프로그래밍을 위한 제약조건 해결기의 구현

  • 오윤상;조근식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4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창원대학교; 08월 09일 Apr. 1994
    • /
    • pp.159-165
    • /
    • 1994
  • 실세계에서 발생하는 많은 문제들은 주어진 제약조건들을 만족하는 범위내에서 해를 찾는 제약만족문제(CSP)의 개념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을 위해 인공지능 및 OR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가 계속 되어왔다. 본 연구는 대표적 논리언어인 prolog에서 유한이산 도메인 및 수치 제약조건의 해결을 위한 제약해결기에 대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구현된 제약해결기에서는 포워드체킹(FC)을 사용하여 조합적 문제를 효과적인 도메인 여과를 통해 탐색공간 및 탐색시간을 축소시키며, 또한 최적화 문제의 해결에 있어서도 그 문제에 주어진 목적함수와 FC의 장점을 조화 시킴으로써 최적해를 더욱 효과적으로 발견한다.

D사의 사료배합비 계산문제

  • 박순달
    • 경영과학
    • /
    • 제1권
    • /
    • pp.88-97
    • /
    • 1984
  • 사료배합비 문제는 여러가지 형태의 전산기에 의해 풀 수 있다. 프로그램 FEEDMIX는 전술한 문제를 풀 때 MV8000을 이용하면 몇분대로 풀리고 중형(64KW), 소형(64KB)를 이용하면 몇시간대로 풀리고 있다. 적은 CPU 용량을 가진 중형, 소형에서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사료배합비를 구하는 문제는 화급을 요하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몇시간씩 걸리더라도 예를 들어 퇴근할 때 프로그램을 수행케하여 출근 때 그 결과를 받아본다든가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방법으로 중형, 소형 전산기를 활용하면 대형전산기에 의뢰하여 비싼 값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는 여러가지 편리한 점이 많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