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하속성

Search Result 131,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Object Analysis on Outdoor Environment Using Multiple Features for Autonomous Navigation Robot (자율주행 로봇을 위한 다중 특징을 이용하여 외부환경에서 물체 분석)

  • Kim, Dae-Nyeon;Jo, Kang-Hyun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5
    • /
    • pp.651-662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a method to identify objects for autonomous navigation of an outdoor mobile robot. To identify objects, the robot recognizes the object from an image taken by moving robot on outdoor environment. As a beginning, this paper presents the candidates for a segment of region to building of artificial object, sky and trees of natural objects. Then we define their characteristics individually. In the process, we segment the regions of the objects included by preprocessing using multiple features. Multiple features are HSI, line segments, context information, hue co-occurrence matrix, principal components and vanishing point. An analysis of building identifies the geometrical properties of building facet such as wall region, windows and entrance. The building as intersection in vertical and horizontal line segment of vanishing point extracts the mesh. The wall region of building detect by merging the mesh of the neighbor parallelograms that have similar colors. The property estimates the number of story and rooms in the same floors by merging skewed parallelograms of the same color. We accomplish the result of image segmentation using multiple features and the geometrical properties analysis of object through experiments.

Multi-Dimensional Traveling Salesman Problem Scheme Using Top-n Skyline Query (Top-n 스카이라인 질의를 이용한 다차원 외판원 순회문제 기법)

  • Jin, ChangGyun;Oh, Dukshin;Kim, Jongwa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9 no.1
    • /
    • pp.17-24
    • /
    • 2020
  •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is an algorithmic problem tasked with finding the shortest route that a salesman visits, visiting each city and returning to the started city. Due to the exponential time complexity of TSP, it's hard to implement on cases like amusement park or delivery. Also, TSP is hard to meet user's demand that is associated with multi-dimensional attributes like travel time, interests, waiting time because it uses only one attribute - distance between nodes. This paper proposed Top-n Skyline-Multi Dimension TSP to resolve formerly adverted problems. The proposed algorithm finds the shortest route faster than the existing method by decreasing the number of operations, selecting multi-dimensional nodes according to the dominance of skyline. In the simulation, we compared computation time of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to the proposed a TS-MDT algorithm, and it showed that TS-MDT was faster than dynamic programming algorithm.

Image Watermarking Robust to Rotation, Scale and Translation Distortion (RST변환에 강인한 이미지 워터마킹 방법)

  • Choo, Hyon-Gon;Lim, Sam;Kim, Whoi-Yul
    • Proceedings of the IEEK Conference
    • /
    • 2001.09a
    • /
    • pp.209-212
    • /
    • 2001
  • 오늘날, 디지털 워터마크에 대하여 기하학적 변환에 대한 강인성이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회전, 이동 및 크기변화에 강인한 워터마킹 방법을 제안한다. 영상의 푸리에 변환 계수를 이용하여 이동에 대한 강인한 속성을 가지도록 하며, 입력 마스크의 상호 관계가 회전, 크기 변화에 강인하도록 워터마크 마스크를 생성한 후 영상에 삽입한다. 삽입된 워터마크의 검출은 영상의 주파수 영역의 radial projection 에 대한 워터마크 신호의 상관도를 이용하여 검출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이 여러 가지 기하학적 변환에 강인함을 보여준다.

  • PDF

사출금형부품의 특징형상의 분류기법 개발

  • 경영민;조규갑;류광렬;정영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10a
    • /
    • pp.456-460
    • /
    • 1993
  • 최근 제품의 설계와 제조의 동기화를 위해 제품설계 및 공정설계 분양에서 동시공학(concurrent engineering)의 개념을 도입한 부품의 특징형상(feature)에 의한 접근방법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징형상은 CAD/CAM 통합을 위한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서 CAPP 시스템 개발시의 CAD/CAPP 인터페이스에 중요한 기능을 가진다. 제조분야에서의 특징형상 적용은 특징형상인식(feature recognition)과 특징형상에 의한 설계 (feature based design)의 두 가지 분야가 있으며, 이 두 분야 모두 특징형상의 상세한 정의와 분류를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징형상의 기하학적인 정의 및 분류를 위한 체계를 제시하고, 사출금형의 구성부품을 대상으로 특징형상의 기하학적 속성으로부터 특징형상의 분류기법을 개발한다.

  • PDF

Procedural Approach to generate Real Time Motions of Cloth (절차적 방법을 이용한 천의 실시간 동작 생성)

  • 배희정;백낙훈;이종원;유관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616-618
    • /
    • 2001
  • 천의 변형은 가상 현실이나 게임 제작 분야에서 현실감을 증가시키는 측면에서 필수적인 요소들 중의 하나이다. 반면, 옷을 착용하거나 깃발을 매단 캐릭터가 돌발적이면서 급격한 움직임을 나타낼 때에는, 이에 따른 천의 움직임을 원하는 시간내에 자연스럽게 생성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천의 사실적인 변형에 있어 필수 요소인 비선형성을 고려하면서도, 돌발적이고 빈번하게 작용하는 외부 힘에 대하여 안정적이고 빠른 위치 기반의 근사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이에 따른 사실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프링의 비선형적인 성분을 기하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기하학적 관계에 물리적 속성을 반영하여 해결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visibly-plausible) 천의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논문의 결과로 자동차의 급격한 움직임에도 안정적이고, 자동차가 달리는 방향이나 노면 등의 외부 환경의 변화에도 사실적인 천의 애니메이션을 생성할 수 있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3D Spatial Operation Processor for GIS (GIS를 위한 3차원 공간 연산 처리기 설계 및 구현)

  • 이진열;김대중;지정희;류근호;이성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2.10c
    • /
    • pp.247-249
    • /
    • 2002
  • 최근 3D 공간 객체의 효율적인 표현을 위해, 3D 연산 및 다차원 인덱싱 기법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덱스나 연산을 기반으로 많은 응용프로그램들이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응용프로그램들은 단순히 비공간 속성에 대한 질의를 기반으로 한 3D 객체의 시각화에만 치중하고 있기 때문에, 3D 공간 객체에 관한 분석 기능을 제대로 지원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3D 공간 객체에 관한 효율적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3D 공간 연산 처리기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기존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을 위해서, 제안한 연산 처리기는 OpenGIS의 2차원 기하 객체 모텔을 3차원으로 확장한 3D 기하 객체 모델을 기반으로 하였다. 또한 빠른 공간 연산을 수행하기 위해 인덱스와 연동하여 구현하였다. 이 연산 처리기는 3D GIS에 적용될 경우, 효율적인 공간 분석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 PDF

LOGIT 분석과 AHP 분석을 이용한 부도예측모형의 비교연구

  • Woo, Chun-Sik;Kim, Kwang-Yong;Kang, Seong-Beom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14 no.2
    • /
    • pp.229-252
    • /
    • 1997
  • 본 연구에서는 실무 및 학계에 종사하는 45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쌍별비교(pairwise comparision)에 의한 설문조사에서 얻어진 전문가들의 의견을 AHP 분석을 통하여 종합하는 과정을 거쳐 부도예측모형을 설계하여 검증한 뒤, LOGIT모형과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 의하면 부도예측모형에서 정량적인 정보보다 정성적인 정보가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D.Bunn-G.Wright(1991)의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LOGIT 모형과 AHP 모형에서 모두 정량적인 정보만을 고려하는 경우보다 정성적인 정보를 함께 고려한 모형에서 부도예측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부도가능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정성적인 정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둘째로 AHP를 이용한 부도예측 모형을 설계할 때 각 속성에 대한 전문가(45명)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방법으로 산술평균과 기하평균을 이용한 검증결과에 의하면 기하평균방법을 통하여 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는 것이 보다 합리적이라는 실증적 증거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로 Akaike의 기준값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LOGIT 모형은 정량적인 정보와 정성적인 정보를 모두 이용한 모형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모형의 부도예측력도 가장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AHP 모형은 정성적인 정보만을 이용한 모형에서 가장 높은 부도예측을을 나타내었으며, 기하평균을 이용한 AHP 모형은 LOGIT 모형보다 항상 높은 부도예측율을 보여주었다.

  • PDF

복합재연소관과 노즐의 결합부위에대한 응력 및 파손해석

  • Hong, Chang-Seon;Kim, Yong-Wan;Park, Ji-Yang;Jo, Won-Man;Jeong, Bal;Hwang, Tae-Gi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64
    • /
    • pp.43-44
    • /
    • 1992
  • 복합재 연소관과 노즐을 기계적 체결방법으로 결합하면 결합부위에서 재료의 불연속성과 기하학적 불연속성으로 인한 높은 응력집중이 발생해 구조적으로 매우 취약하게 됩니다. 복합재 연소관의 경우에는 내압을 받는 원통형 구조물이므로 기존의 평판에 대한 연구결과를 그대로 사용할수 없으므로, 이 글에서는 복합재 셀 구조물의 응력 및 파손 해석을 수행할수 있도록 1차전단변형 셀이론을 이용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습니다. 기계적체결부위의 모델링에 대해 검토하였으며 복합재료의 파손평가에 사용되는 여러가지 파손식을 적용해 비교하였습니다. 이 해석 방법을 이용해 복합재 연소관의 적층각, 볼트직경, 연소관의 끝단까지의 길이 등이 파손하중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였습니다

  • PDF

The System of Converged u-GIS Data Processing (u-GIS 융합데이터 처리 시스템)

  • Jang, In-Sung;Kim, Min-Soo;Kim, Ju-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9.05a
    • /
    • pp.584-587
    • /
    • 2009
  • 전통적으로 지리정보시스템은 지형데이터와 속성데이터가 결합된 정적인 공간정보를 처리한다. 기존 지리정보시스템을 발전시켜, 시간에 따라 위치 및 기하데이터가 변화는 동적인 시공간데이터에 연구가 한동안 진행되어 왔다. 최근 들어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면서, 센싱 데이터와 같이 속성데이터가 동적으로 계속 변화는 데이터가 급증하고 있고, 센서노드의 위치가 고정 또는 이동함에 따라 공간정보와 결합하여 관리될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USN기술와 GIS기술을 융합하여 GeoSensor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u-GIS 융합데이터 처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An Addaptive SAO Method for Efficient Texture Video Coding of V-PCC (V-PCC의 효율적인 Texture 영상 부호화를 위한 적응적 SAO 방법)

  • Son, Sohee;Gwon, Daehyeok;Choi, Hae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22.06a
    • /
    • pp.1216-1217
    • /
    • 2022
  • 포인트 클라우드는 객체 또는 장면을 재구성하기 위한 3D 데이터의 표현 방식 중 하나로써 가상 및 증강 현실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는 품질에 따라 수많은 포인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데이터의 양은 2차원 영상의 데이터보다 상당히 많다. 따라서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사용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포인트 클라우드의 특징을 고려한 효율적인 압축 기술이 요구되며, 이에 따라 국제 표준화 단체의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은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의 효율적인 압축을 위한 V-PCC 표준을 제정하였다. V-PCC는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다수의 2차원 공간으로 투영하여 점유 맵, 기하 영상, 그리고 속성 영상을 생성하고 각 2차원 영상을 기존의 비디오 코덱을 활용하여 압축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코덱을 사용하여 압축함에 따라 활용성이 높지만, 3차원 데이터를 다수의 2차원 영상을 통하여 압축하기 때문에 압축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V-PCC의 부호화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점유 맵의 투영 정보를 활용한 속성 영상의 효율적인 압축 방법을 소개하고 이를 위한 적응적 SAO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에서 제안 방법은 V-PCC의 속성 영상에 대해 약 3.2%의 부호화 효율을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