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포흡수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62초

확산형 흡수식 냉동시스템의 기포펌프 성능실험 (Experimental Performance Study of the Bubble Pump for the Diffusion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 이재효;정의갑;윤재호;정의갑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287-292
    • /
    • 2004
  •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study the performance of a bubble pump for the diffusion absorption refrigerating system. Ammonia was used as the refrigerant and the helium was charged in order to balance the pressure between the low and high pressure side. As experimental variables, the concentration of ammonia charged into system, heat input, and the pressure of helium were selecte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generation rate of ammonia vapor and the circulation rate of diluted ammonia solution were increased as the heat input increases, but the ratio of the solution to vapor flow rate was decreased. The generation rate of refrigerant vapor and the circulation rate of diluted ammonia solution increased as the system pressure decreased. Finally under the condition of 25 bars, the concentration of rich ammonia solution was not affected by the generation rate of ammonia vapor and the circulation of diluted ammonia solution.

추출 pH가 분리대두단백질의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Extraction pH on the Functionality of Soybean Protein Isolate)

  • 배송환;이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557-561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산성(pH 2.0, 3.0), 중성(pH 7.0) 및 알칼리성(pH 10.0, 12.0)영역에서 각각 추출된 SPI들의 기능성을 상호비교하였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93.31%로 최고값을, pH 7.0에서 추출된 SPI의 단백질함량은 73.93%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pH 3.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0.36%로 최소값을,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추출수율은 47.54%로 최고값을 나타내었다. SPI의 기능성(용해도,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기포안정성, 유화형성력 및 겔형성력)은 대두단백질 추출시 추출용액의 pH에 의해 크게 좌우되었다. pH 2.0과 3.0에서 추출된 SPI의 용해도는 산성영역에서 크게 나타났고 pH 3.0과 7.0에서 추출된 SPI는 중성 영역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나 pH 2.0, 3.0, 7.0, 10.0 및 12.0에서 추출된 SPI는 모두 알칼리성 영역(pH 9.0-10.0)에서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pH 2.0과 pH 12.0에서 추출된 SPI의 수분흡수력, 유지흡수력, 기포형성력 및 기포안정성은 다른 pH에서 추출된 SPI보다 크게 나타났으나 유화력의 경우 추출용액의 pH가 증가할수록 유화력이 증가하였다.

  • PDF

내부순환식 기포탑 반응기 상에서 MEA (monoethanolamine) 용액에 의한 이산화탄소 분리 및 메탄회수 (Methane Recovery and Carbon Dioxide Stripping by MEA Solution the Autocirculation Bubble Lift Column Reactor)

  • 이인화;김선일;박주영
    • 공업화학
    • /
    • 제18권3호
    • /
    • pp.239-244
    • /
    • 2007
  • 이산화탄소 분리 및 메탄 회수를 동시에 수행하기 위한 배출구가 두 개로 분리된 내부순환식 기포탑 반응기를 이용하여 $CO_2$ 분리용 흡수제인 모노에탄올아민(MEA)의 최적조건을 도출하였다. 5 wt% MEA 수용액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 및 탈기 반응 시 pH 변화, 공기주입량에 따른 이산화탄소 탈기량 및 메탄 함량변화를 관찰하였다. 또한 액상수위 및 초기 MEA 흡수액 온도변화에 따른 이산화탄소 흡수 및 메탄 회수율을 측정하였다. 최적반응조건은 정상상태에서 액상수위 40 mm, 공기주입량은 1.5 L/min, 흡수액의 온도 $25^{\circ}C$이었다

열처리 대두에서 분리한 대두 단백질의 기능성 (Functional Properties of Soy Protein Isolate from Heat Treated Soybean)

  • 윤혜현;전은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8-43
    • /
    • 2004
  • 대두 단백질의 기능성 변형 방법의 하나로 대두를 열처리 함에 의해 대두 단백질의 기능 특성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대두를 $60^{\circ}C$에서 30, 60, 90과 120분 침지한 후 대두 분리 단백(SPI)을 제조하여 열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여러 가지 기능성을 비교하였다. 용해도 특성은 pH 4.5의 등전점 부근에서 최소의 용해도를 보였고 등전점 이하와 이상에서는 비교적 90% 넘는 높은 용해도를 나타내었다. 만리와 태광에서 모두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등전점 이하의 pH에서 용해도가 증가하였다. 수분흡수력도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만리의 경우 90분 시료에서 가장 높은 수분흡수력을 나타내었다. 유지흡수력은 만리의 경우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태광의 경우에는 60분 시료에서 최대값을 나타내었다. 유화 특성은 만리의 경우 열처리에 의해 유화활성도, 유화안정성과 유화형성력이 모두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태광의 경우에는 열처리에 의해 유화활성도와 유화형성력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만리의 경우 기포 팽창력과 기포안정성이 열처리에 의해 증가하였고, 만리와 태광 모두 기포팽창력이 90분 시료에서 최대값을 보였으며, 태광은 열처리에 의해 매우 불안정한 기포 안정성을 보였다. 겔의 TPA결과,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경도, 부착성, 탄성, 검성 및 씹힘성이 증가하였고 특히 모든 특성이 대체로 90분 시료에서 최고값을 보였다. 그러나 응집성은 열처리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대두의 열처리에 의해 대두 단백질의 기능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대두를 첨가물이나 식품가공재료로 사용할 때 이러한 변화를 고려하여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융액인상법에 의한 코런덤 단결정 육성 (Crystal Growth of Corundum by Czochralski Technique)

  • 박로학;유영문;이영국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17
    • /
    • 1993
  • 융액인상법에 의해 코런덤 단결정을 육성하였다. 인상속도, 회전속도, 융액온도 등 결정육성 요소가 결정 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양질의 결정을 육성하기 위한 최적 인상속도는 4.0 mm/hr, 회전속도는 30rpm이었다. 코런덤 결정에서 가장 중요한 결합은 기포이었으며, 기포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융액의 온도제어 방법을 논의하였다. 육성된 결정의 성장방위는 (0001)이었으며, 이 방위는 가장 빠른 성장속도를 갖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수 스펙트럼 을 측정하여 Cr3+이온의 흡수천 이를 확인하였다.

  • PDF

숙시닐화 및 부분가수분해가 대두단백질 분리물의 기능적 특성과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ccinylation and Partial Proteolysis of Soybean Protein Isolates on Functional Properties and Protein-Protein Interaction)

  • 이지원;하정욱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10-422
    • /
    • 1989
  • 숙시닐화 또는 트립신처리에 의한 대두단백질분리물의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아미노산 조성에서 tyrosine의 증가가 현저하였으나 lysine은 트립신처리시에만 크게 증가하였다. 화학적 변형은 단백질의 용해성을 증가시키고 pH의존성이 뚜렷하여 등전점 변이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단백질의 용해성은 염류의 농도증가에 의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화학적 변형은 유흡수성과 수분흡수성, 유화특성 및 기포성 등을 증가시키는 반면에 기포안정성을 다소 저하시키고 자외선흡광도와 용적밀도를 감소시켰다. 한편 대두단백질 분리물과 우육단백질의 혼합에 따른 상호작용에 의해서는 유화활성, 유화활성지수 및 기포성의 증가를 가져봤으나 유화안정성에 대해서는 현저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 PDF

이성분 나노유체에서의 암모니아 기포 흡수 성능 향상 (Enhancement of $NH_3$ Bubble Absorption Performance in Binary Nanofluids)

  • 정준영;김진경;강용태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312-317
    • /
    • 2005
  •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study the absorption characteristics of $NH_3$ bubbles in the binary nanofluids and to quantify the effects of surfactants and nano-particles on the bubble absorption performance. 2-Ethyl-1-Hexanol, n-Octanol, and 2-Octanol are used as the surfactants and nano-sized $Al_{2}O_3$ and Cu particles are added to make the binary nanofluids into $NH_3/H_{2}O$ solution. The concentration of $NH_3$ solution ($x_s$), the concentration of surfactants ($x_{SA}$), and the mass fraction of nano-particles ($w_{np}$) are considered as key parameters. The experimented ranges of $x_s,\;x_{SA},\;and\;w_{np}$ are $0{\sim}17.92\%,\;0{\sim}1,500\;ppm\;and\;0{\sim}0.2\%$, respectively. The absorption rates are calculated by measuring initial and final weights of test section and exposed time. In addition, the bubble absorption processes are visualized using the shadow graphic method. The results show that the absorption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enhanced up to 4 times by adding the surfactants and up to 3 times in the binary nanoflui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