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침예절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6초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 연구 (Knowledge, Compliance, and affecting factors of the Cough Etiquette to Prevent the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Transmission on Convergence Study)

  • 김옥선;윤성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10호
    • /
    • pp.389-398
    • /
    • 2018
  • 본 연구는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을 위한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과 실행수준 및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2018년 8월 13일부터 9월 1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250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213명의 자료를 분석에 이용하였다. 연구결과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은 100점으로 환산 시 평균 지식수준이 $70.99{\pm}19.92$점, 실행수준은 $70.63{\pm}10.25$점으로 중간 수준이었다. 기침예절 지식과 실행수준 간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다중회귀분석에서 기침예절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님, 평소 휴지를 가지고 다님, 일평균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해 알고 있음, 기침예절 지식 수준이 유의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확인된 기침예절 실행 영향 요인을 반영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침예절 실행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호흡기 감염 전파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이다.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 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Compliance of Cough Etiquette in Nursing Students)

  • 박경혜;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322-331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과 이행 수준 간의 관계 및 기침예절에 관한 이행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간호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3일부터 14일까지 이루어졌다.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가보고하도록 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t-test, one-way ANOVA, Kruskal-wallis test, Pearson 상관분석,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은 손씻기 횟수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대한 이행수준은 평소 티슈를 가지고 다니는 경우,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니는 경우,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에 대한 교육 필요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은 이행수준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기침예절에 관한 이행 수준의 영향요인은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 평소 손수건을 가지고 다니는 경우, 기침예절에 대한 교육 필요성으로 총 변화량의 22%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기침예절에 대한 이행수준을 높이기 위해 평소 손수건을 휴대해야 하고 기침예절에 대한 지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과 기침예절 지식 비교 (Comparison of Droplet Infection Prevention Activity and Knowledge of Cough Etiquette among Nursing Hospital Workers)

  • 박경혜;강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60-369
    • /
    • 2020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종사자들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과 기침예절 지식을 비교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대상자는 A시의 3개 요양병원 종사자 177명이었다(의료인: 간호사 61명, 비의료인: 간호조무사와 요양보호사 116명). 자료는 2019년 3월 4일부터 29일까지 구조화된 질문지를 이용하여 수집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x2-test, Fisher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ANOVA를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일반적 특성은 성별과 연령에서 두 집단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의료인과 비의료인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은 평상 시 티슈 휴대, 평상 시 손수건 휴대, 평상시 마스크 휴대, 호흡기 증상 시 손수건 휴대, 손씻기 횟수, 기침예절 준수에서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기침예절 지식은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비의료인의 비말감염 예방 활동에 따른 기침 예절 지식 정도의 차이에서 평상 시 마스크 휴대, 기침예절 교육 유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본 연구를 통해 요양병원 종사자별로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을 높이고 기침예절의 습관화를 위한 전략 마련이 필요하다.

비말감염 예방을 위한 대학생의 기침예절 지식과 이행 수준 (University Students' Cough Etiquette Knowledge and Practice to Protect Droplet Infection)

  • 진보영;김신미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제17권4호
    • /
    • pp.348-355
    • /
    • 2015
  • Purpose: This survey aimed to identify cough etiquette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among university students. Methods: 190 study subject were recruited from a university located in C city of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utilizing self-reported questionnaires to evaluate cough etiquette knowledge and practice levels. Results: The score of cough etiquette knowledge was 7.38 out of 12 and the correct answer rate was 61.5%. The respondents showed the highest right answer rate (85.3%) on 'cover with a paper tissue or a handkerchief while coughing' and lowest (20.7%) on 'cover with hand while coughing'. Practice level score was 27.28 out of 48. Among those items of practice, 'wearing a mask while coughing' was the lowest (1.40/48) level of practic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practi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Cough etiquette knowledge and practice level was revealed to be rather low among university students. Education and social marketing are needed to be developed to encourage the practice level of cough etiquette followed by better droplet infection control and health promotion.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기침예절에 관한 지식과 실천도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mong Elderly in the Community)

  • 송민선;양남영
    • 가정간호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2-60
    • /
    • 2017
  •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mong elders in the community. Methods: Participants were 186 olders. Data were collected December 2016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Results: Mean scores for knowledge and compliance relating to cough etiquette were above average. Several factors were related to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vel of knowledge: education level, use of items to cover a cough, Carrying a handkerchief or tissue, daily frequency of hand washing, awareness of cough etiquette, and prior education on cough etiquette. Compliance differed according to use of items to cover a cough, awareness of cough etiquette, and prior education on cough etiquett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wareness of cough etiquette and knowledge of cough etiquette were predictors of cough etiquette compliance. Conclusion: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ublicity and education taking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re required to improve compliance with cough etiquette among older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tilized in health promotional programs for this population.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의 개인방역태도 조사 (A survey of College Students' Personal Quarantine Attitudes according to COVID-19)

  • 이연희;양옥렬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181-189
    • /
    • 2020
  • 본 연구는 코로나19에 따른 대학생의 개인방역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충남 소재 대학교에 등교하는 20세 이상 대학생 285명을 대상으로 구굴 설문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그 결과 30초 이상 흐르는 물에 손씻기, 기침예절,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의 태도는 높은 점수를 얻었다. 그러나 마스크를 벗을 시 마스크 보관 방법이나 학교에서의 책상 등 주변 사물의 소독하는 방역태도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개인방역태도는 앞으로의 코로나19의 확산을 막고 더 나아가 바이러스의 종식을 위한 기본적인 방침으로 국가의 방역시스템체계 속에서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