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초조형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초

기초 조형교육을 위한 웹기반 학습도구 개발 (Development of Web-based Learning Instrument for Basic Formative Education)

  • 김병원;김종서;곽훈성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72-376
    • /
    • 2008
  • 현재 교육현장 일선의 교사들은 교과 수업준비를 위해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기하고 있다. 특히 미술 교과수업의 기초 조형수업은 다양한 준비물(석고 모형 등)과 조명시설 준비를 통하여 학습이 이루어져야 교육적 효과를 높일 수 있으나 현실은 여러 여건상 그렇지 못하다. 제안된 웹 학습도구는 이러한 준비물과 조명 조작 도구를 웹 환경에 탑재하여 간단한 조작만으로 기초 조형수업이 가능하도록 제작하였다. 본 논문은 기초 조형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웹 학습도구를 제안하였다. 이러한 웹 학습도구를 사용한 기초 조형수업은 학생들이 표현하기 어려웠던 조명에 의한 물체의 음영 표현과 그림자 표현 등의 교육적 효과에 기여 할 것이다.

  • PDF

독일 디자인 이미지 형성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과정의 역할에 관한 고찰 (The role of foundation courses in industrial design in formation of german design image)

  • 윤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1권1호
    • /
    • pp.199-207
    • /
    • 1998
  • 지금의 독일 디자인이 지니고 있는 이미지 형성에 있어 바우하우스로부터 현재에 이르는 독일의 산업 디자인 기초 교육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현 시대가 요구하고 있는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에서는 조형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과학과 문화의 통합적 개념에서 산업디자인에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독일 산업디자인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조형대학의 시대적 설립배경을 분석하여, 독일 조형대학들간의 기본적인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또한 바우하우스, 울름 조형대학과 현재의 독일 조형대학에서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의 결과물과 독일 디자인의 이미지를 대표하는 제품의 조형적 의미를 비교 분석하여 디자인 기초 교육의 역할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우리의 산업디자인 기초 교육과정을 위한 기본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패션디자인의 문양에 있어서 기초조형요소의 표현내용 (Representation Contents of Basic Design Elements in Patterns of Fashion Design)

  • 조정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96-207
    • /
    • 2012
  • 본 연구는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에 표현된 문양에 있어서 기초조형 요소를 응용한 사례 및 경향을 연구분석함으로써 패션디자인교육 분야에서 기초조형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수행 되었다. 이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 2010까지 패션디자이너들의 작품들 중에서 기초조형의 요소인 점 선 면에서 직접적으로 영감을 얻었다고 볼 수 있는 주요 작품의 경향과 특성을 조사하고 대표적인 작품들을 기초조형의 개념 및 원리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 특히 2000년 s/s콜렉션 이후 2004 s/s를 까지를 중심으로 기초조형의 기본요소를 기본 모티브로 한 다양한 작품들이 유행하였다. 디자이너 Jil Sander, Bill Blass 등은 점 구성을 위주로 공간감과 중량감, 질감을 변화한 작품을 보여주었다. I.S. Sunao Kuwahara, 등은 다양한 질감의 선과 선구성을 응용한 디자인을 보여주었다. Vestium Officina, Loewe, 등은 선을 통한 면 분할이나 다양한 색채를 사용한 면 구성을 위주로 한 작품들을 발표하였다.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의 공간지각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조형 수업 방법 (Basic Modeling Class Method to Improve the Spatial Perception Ability for Jewelry Design Majors)

  • 장진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0호
    • /
    • pp.249-254
    • /
    • 2021
  • 본 논문은 주얼리 디자인 전공자에게 요구되는 기본소양인 기초조형의 공간지각 능력과 주얼리 디자인에 있어 가장 중요한 투시도법을 함께 활용하여 조형능력을 창의적으로 발휘 할 수 있는 수업 모형에 대해 연구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학생들에게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하고 기본도형과 입체도형, 투시도법에 대한 실기 수업을 진행한 후 창의적 활동을 위한 주제를 제시하고 결과물을 얻었다. 기존의 기초조형 수업에서 단순히 실기위주의 수업만 진행했다면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에게 안에서 창의력을 발휘하기 위한 분석과 기초투시도법, 공간감을 함께 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모형을 제시함으로 집중교육효과와 명확한 평가기준을 통해 학생과 교수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평가방법을 알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본 논문을 계기로 더 다양한 재료와 융합적 수업모형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기초조형요소를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교육에 관한 연구 - 플래쉬를 활용한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ultimedia Design Education using Basic Design Elements with an Emphasis on Case Study using Flash Application)

  • 김소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4호
    • /
    • pp.217-226
    • /
    • 2001
  • 최근 IT분야의 발달과 함께, 디자인분야와 프로그래밍분야의 결합 형태로 운영되는 멀티미디어관련 학과들이 생겨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형태의 교육기관 중 2년제 전문대학에서의 디자인 교육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들 교육 기관은 디자인 전공 학과에 비하여 디자인 전공 과목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줄어들게 되고, 이는 기초조형 교육분야를 축소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바람직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을 위해서는 기능적인 측면과 조형적인 측면의 적절한 조화를 유지해야 하며, 학습자들에게 멀티미디어와 기초조형과의 관계를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로 멀티미디어가 가지고 있는 매체로서의 고유한 특성을 살리면서, 디자인 분야와 전산 분야의 조화를 창출하고자 하는 학과의 교육목표, 그리고 두 분야의 능력을 갖추어야하는 학습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교육내용을 개발하였다 이는 기초조형 교육 내용을 활용한 멀티미디어 디자인 교육과정으로, 디자인관련 소주제에 관한 이론강의, 플래쉬 활용에 관한 실습강의, 과제를 위한 개별 진행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 내용을 바탕으로 1학기 동안 3가지 주제에 대하여 사례연구를 진행하여 학습효과를 고찰하였다.

  • PDF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수업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of Architectural Design Studio as a Formative Design Education)

  • 최동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4623-4628
    • /
    • 2010
  • 본 논문은 대학의 건축설계수업에서의 효과적인 디자인 교육의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는 연구로서 디자인 교육이론을 바탕으로 하는 건축설계 교육모형과 이를 적용한 수업사례를 중심으로 디자인 조형교육으로서의 건축설계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교육모형과 건축설계수업은, 조형 표현력과 조형이론의 학습, 그리고 기본기능의 훈련과 같은 기초디자인 교육내용을 포함하고 있으며, 수업의 각 과정이 단계별 완성도를 갖고 연속되고, 심층적 발전의 형식을 갖는다는 점에서 건축설계를 위한 기초교육으로서 종합적인 디자인 능력 계발이라는 교육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교육모형의 하나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