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모델

Search Result 4,12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Performance Improvement of Speech Recognizer in Noisy Environments Based on Auditory Modeling (청각 구조를 이용한 잡음 음성의 인식 성능 향상)

  • Jung, Ho-Young;Kim, Do-Yeong;Un, Chong-Kwan;Lee, Soo-Young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4 no.5
    • /
    • pp.51-57
    • /
    • 1995
  • In this paper, we study a noise-robust feature extraction method of speech signal based on auditory modeling. The auditory model consists of a basilar membrane, a hair cell model and spectrum output stage. Basilar membrane model describes a response characteristic of membrane according to vibration in speech wave, and is represented as a band-pass filter bank. Hair cell model describes a neural transduction according to displacements of the basilar membrane. It responds adaptively to relative values of input an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noise-robustness. Spectrum output stage constructs a mean rate spectrum using the average firing rate of each channel. And we extract feature vectors using a mean rate spectru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hen auditory-based feature extraction is used, the speech recognition performance in noisy environments is improved compared to other feature extraction methods.

  • PDF

System Identification of a Three-story Test Structure based on Finite Element Model (유한요소모델에 기초한 3층 건물모델의 시스템 식별)

  • 이상현;민경원;강경수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 /
    • v.14 no.5
    • /
    • pp.416-423
    • /
    • 2004
  • In this paper, an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system identification technique for constructing finite element model is conducted for a three-story test structure equipped with an active mass driver (AMD). Twenty Gaussian white noises were used as the input for AMD, and the corresponding accelerations of each floor are measured. Then, the complex frequency response function (FRF) for the input, the force induced by the AMD, was obtained and subsequently, the Markov parameters and system matrices were estimated. The magnitudes as well as phase of experimentally obtained FRFs match well with those of analytically obtained FRFs.

An Investigation Study on the Fire Propagation model for Fire Simulation of building (건축물의 화재성상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소 확대 모델 조사)

  • Lee, Rang;Kim, Dong-Eun;Lee, Jae-Won;Hong, Hae-Ri;Kim, Dong-Jun;Kwon, 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61-66
    • /
    • 2011
  • 본 연구는 건축구조물의 내장재 및 실내장식물 등의 연소 성상 DB를 바탕으로 화재 성상을 예측할 수 있는 기존 모델인 칼슨모델(B.Karlsson) 및 퀸티어리모델(J.G.Quintiere)을 비교, 분석하여 그 절차 및 차이점 등을 분석한 후 국내 가연물 연소성상 DB를 토대로 개구조건 및 건물구조 등을 고려한 화재성상 시뮬레이터 개발을 위한 기초 조사 자료이다. 조사 결과 칼슨모델과 퀸티어리모델의 차이점은 우선 초기 착화영역과 착화의 판단 및 연소면적 등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향후 이를 기초로 실험 결과와 대비를 통한 분석을 수행 할 예정이다.

  • PDF

Speech Enhancement Based on Mixture Hidden Filter Model (HFM) Under Nonstationary Noise (혼합 은닉필터모델 (HFM)을 이용한 비정상 잡음에 오염된 음성신호의 향상)

  • 강상기;백성준;이기용;성굉모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87-393
    • /
    • 2002
  • The enhancement technique of noise signal using mixture HFM (Midden Filter Model) are proposed. Given the parameters of the clean signal and noise, noisy signal is modeled by a linear state-space model with Markov switching parameters. Estimation of state vector is required for estimating original signal. The estimation procedure is based on mixture interacting multiple model (MIMM) and the estimator of speech is given by the weighted sum of parallel Kalman filters operating interactively.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roposed method offers performance gains relative to the previous results with slightly increased complexity.

Virtual Reality Internet Shopping Mall By Using Avatar and Intelligent Shopping Agent -Emphasis on Web Decision Support System- (분신과 지능형 쇼핑에이전트에 기초한 가상현실 인터넷 쇼핑몰에 관한 연구 -웹 의사결정지원시스템을 중심으로 -)

  • 이건창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6 no.1
    • /
    • pp.17-34
    • /
    • 2000
  • 본 논문에서는 분신과 지능형 쇼핑에이전트에 입각한 새로운 개념의 가상현실 인터넷 쇼핑몰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기존의 쇼핑몰과는 달리 전체적인 설계를 웹에 기초한 의사결정지원시스템 즉 웹 DSS 개념에 기초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통적인 DSS의 경우 모델 데이터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기본 구성요소로하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터넷 쇼핑몰은 모델로서는 지능형 쇼핑에이전트를 데이터로서는 각종 제품 정보 및 상용자 기호를 사용자 인터페이서로서는 분신(Avatar) 및 웹 환경을 전제로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터넷 쇼핑몰의 모든 의사결정지원과정은 웹 DSS 개념에 기초한다. 또한 소비자들의 흥미성과 몰입감 증대를 위하여 전체적인 환경을 가상현실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인터넷 쇼핑몰인 VRISA의 특징을 요약하면 우선 라이프스타일 에이전트와 선호속성 에이전트를 가지고 있어서 이를 기초로 하여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확인 및 선호속성을 파악할 수가 있으며 또한 해당 라이프스타일 및 선호속성에 맞는 제품을 추천할 수도 있다 이같은 에이전트의 작동결과는 분신으로 반영되어 해당 분신이 적절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추천할 수 있으며 모든 제품추천환경 및 분신의 작동환경은 가상현실 환경으로 구축되어 있어서 소비자들의 흥미성과 몰입감을 증대시킬 수가 있다. 이는 소비자들의 구매의도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가 있다.

  • PDF

Off-line Character Modeling using HMM (HMM 기반의 오프라인 필기 모델)

  • Sin, Bong-Kee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00.10a
    • /
    • pp.337-340
    • /
    • 2000
  • 음성 인식 및 온라인 필기 인식기 모델로 널리 알려진 은닉 마르코프 모델(HMM)을 오프라인에 적용하려는 시도는 있었지만 아직까지 만족할 만한 성과는 찾아보기 어렵고 인식률도 신경망 등 다른 방법에 의한 시스템에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필기 모델 HMM을 오프라인 필기인식에 활용하는 방법 한 가지와 순수하게 오프라인 필기 모델로서 제안된 2D HMM을 기술한다. 두 방법 모두 기존의 HMM 모델링 틀에 기초를 두고 개발하였으며 다양한 국소 변형을 해석하기 위해 동적 계획법에 기반한 알고리즘을 응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독립적인 아이디어 제안에 의의를 두었으며 주요 아이디어만을 간략하게 기술하였다.

  • PDF

A Graphic for Secure Object Relationship Model (보안 객체-관련성 모델을 위한 편집기)

  • 정연철;이영록;노봉남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s of Information Security and Cryptology Conference
    • /
    • 1992.11a
    • /
    • pp.237-246
    • /
    • 1992
  • 실세계를 모델링하기 위한 많은 데이터 모델링 자동화 도구가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보안 객체 관련성 모델을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편집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보안 객체 관련성 모델은 객체 데이터 모델링 기법(OMT)에 기초하고 이에 보안성을 확장하여 설계된 모델이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인 SODE(Security Object Diagram Editor) 편집기는 유닉스 시스템에서 X 윈도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하였다.

  • PDF

Research on the use of educational content in generative AI (생성형 AI 의 교육용 컨텐츠 활용을 위한 연구)

  • Lee-Seung Ryul;Oh-Tae hoon
    • Annual Conference of KIPS
    • /
    • 2023.11a
    • /
    • pp.936-937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LLM(Large Language Model) 모델의 fine-tuning 을 통한, 기초 수리 서술형 문항 풀이용 모델 및 Dall-E2 등 이미지 생성형 모델을 활용한 따른 영어 퀴즈풀이용 이미지 생성형 모델을 생성하여, 한국어 기반 LLM 자체 모델 학습 및 교육용 이미지 생성에 대한 방법을 고찰하였다.

A Study on p-y Curves for Nearshore Seabed of Jeju Island (제주 연근해 해저암반의 p-y 곡선 모델에 관한 연구)

  • Jang, Young-Eun;Lee, Joonyong;Cho, Samdeok;Yoo, Dong-Woo;Choi, Cha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13 no.6
    • /
    • pp.73-81
    • /
    • 2012
  • Safety issue for offshore wind-turbine foundation becomes a crucial factor as offshore wind turbines have been scaled up. Correspondingly, there is a deman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il-structure interaction on to system behavior in geotechnical engineering point of view. The p-y curve method researched in past few decades is one of the most appropriate methodology to analyze the problem. In this study, recently proposed p-y curve models for various rocks are calibrated to analyze the engineering characteristics of seabed of Jeju Island where it is known to be most suitable area for offshore wind energy farm. Step by step calibration process for p-y models is presented. Analysis results show that subgrade reaction generally increases as closer to seabed. It is also shown that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foundation reflect well rock properties in terms of resultant moment, shear force, etc.

A Discriminative Training Algorithm for HMM Based on MAP Formulation (MAP 수식화에 의한 HMM의 변별력 있는 학습 알고리듬)

  • 전범기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1994.06c
    • /
    • pp.138-141
    • /
    • 1994
  • 기존의 HMM을 이용한 음성인식기는 대부분 ML 추정에 기초한 Baum-Welch 알고리듬으로 학습되었다. ML학습은 기본적으로 무한한 양의 학습 데이터가 주어지고, 각 모델들이 서로 독립이라는 가정에 기초한다. 하지만 실제적인 학습의 경우에 각 모델들이 서로 독립이라고 보기 어렵고, 학습 데이터의 양도 상당히 제한되어 있어서 인식기의 변별력을 저하시키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통적인 패턴분류기법인 Bayes 결정이론에 따라 최소오차율분류를 위한 MAP 수식화를 유도하고, 그에 기초한 HMM의 변별력 있는 학습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최소오차율분류를 근사화한 사후확률로 표현된 비용함수를 정의하고, 그 비용함수에 조건부 경사강하법을 적용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을 분류하기 어려운 한국어 단음절 인식에 적용한 결과, 기존의 ML 알고리듬으로 학습한 경우 발생한 오인식 개수의 약 10% 가량이 개선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