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초간호학

Search Result 289,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Effect of Fundamental Nursing Class using Evidence-Based Practice (근거기반실무를 활용한 기본간호학 수업 운영의 효과)

  • Kim, Yun-Hee;Ryu, Seang;Kim, Heeyou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8 no.6
    • /
    • pp.38-49
    • /
    • 2018
  • The nursing education with evidence-based practice(EBP) should set a differentiated education strategy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learner, so that the students experience it step by step and it leads them to be skil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tegrate and operate the EBP in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es of the second grade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n improvement of EBP basic competency of them.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were 108 students in the second year of nursing at the two universitie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class for 8 weeks and 24 hours during the 15-weeks, second semester 2016 and the control group participated in general fundamental nursing class. Data were collecte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future use of EBP,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strument and analyzed using SPSS/WIN 23.0 program with Chi-square test, independent t-test. The experimental group ha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ndings indicate that the fundamental nursing class used EBP was an effective lesson to improve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future use of EBP, which is the EBP basic competency for the lower grader. Long-term efforts are needed to improve the EBP competence and critical thinking of nursing students by curriculum appropriate to grade-based goals of EBP.

Approaches to Teaching Health Policy : Moving Students into the Political Process (보건정책 교육을 위한 접근법 -간호학생의 정책참여 과정을 중심으로-)

  • 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5 no.1
    • /
    • pp.156-163
    • /
    • 1995
  • 이 연구는 간호사의 보건정책과 정치에 대한 미래지도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써 한국의 4년제 간호학과에서 가르쳐야할 보건정책과목을 상세하게 제시한다. 새로운 보건정책과목 개설을 위한 기초작업으로써, 미국 간호사들의 정치와 정책참여에 대한 사례를 열거하고 어떻게 간호사들이 정책에 참여하고 영향력을 발휘 했는지를 서술한다. 특히 Oregon plan과 지역사회 중심으로 형성된 연합체제와 간호정책 분석가의 역할이 소개된다. 간호사들의 사회 정치 진출의 한 방법으로써 간호교육에서의 보건정책과목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언급되며, 미국의 4년제 간호대학 학부과정, 석사과정, 박사과정에서 가르쳐지는 보건정책 과목이 소개된다. 간호정책 전문가로써의 등용문으로 알려 진 Robert Wood Johnson Health Policy Internship과 Fellowship이 소개한다. 미국간호사들의 보건정책 참여방법과 현재 가르쳐지는 보건정책과목의 장점을 토대로 하여 우리의 실정에 맞는 간호학생을 위한 보건정책 과목이 제시되어진다. 보건정책과목의 목적과 내용이 자세히 서술되어지고 역동적인 실습과정이 소개되어진다. 또한 학과목으로 정착되기 위해서 필요한 새로운 전략이 서술되어 진다.

  • PDF

Antecedents of Health-Promoting Behavior Among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여대생의 건강증진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Shin, Hye-Sook;Shin, Hyun-Sook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 /
    • v.14 no.1
    • /
    • pp.78-86
    • /
    • 2008
  • 본 연구는 여대생의 건강증진행위를 설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을 통해 가설적 모형을 도출하고, 여대생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를 횡단적으로 조사하여 모형의 적합성과 모형에서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는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에 사용된 변수는 건강증진행위와 관련된 선행 문헌의 고찰을 근거로 선정되었으며, 총 280명의 자료가 최종 분석에 이용되었다. 설문지는 Pender의 건강증진모형을 기초로 하여 개발하였으며, 조정요인 5문항, 건강상태 지각 3문항, 건강 통제위 4문항, 자아 존중감 5문항, 건강증진 행위 24문항의 총 41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개발된 항목에 대하여 간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인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본 연구모형에 대한 구성개념의 파악을 위해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측정항목에 대한 요인별 단일 차원성 확인 및 통계적 검정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가설검증을 위해 공변량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는 카이제곱은 244.04(자유도=121, p<0.001), GFI=0.91, CFI=0.97, NNFI=0.96, RMSR= 0.022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여대생의 자아존중감과 내적통제위는 건강상태지각 및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여대생의 건강상태지각은 건강증진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Philosophy of Martin Buber(I and Thou) and Nursing Philosophy (마르틴 부버의 사상(나와 너)과 간호철학)

  • Lee, Myoung-Suk;Han, Sung-Suk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3 no.2
    • /
    • pp.95-107
    • /
    • 1997
  • For nursing as a science to establish a unique system of knowledge, nursing researchers should include the philosophical activities such as establish of nursing philosophy. For establish of philosophy nursing, the nature and realms and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nursing science should be made clear at fir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dentify alienation and the situation of happen to alienation and Martin Buber Philosophy(I and Thou). Understanding of this concept should enlighten nurses to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problems between patients and nurse and thus lead to further toward enhancing these interaction and relationship. The alienation was serious problem in present society which was cultural, political, economical, mechanical, religious classified. The overcome of alienation in nursing situation was caring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based on Martin Buber philosophy. The essential philosophy of Martin Buber was "I and Thou" relationship. I and Thou relationship are consist of five characteristics ; 1)mutuality 2)directness 3)presentness 4)intensity 5)ineffability As health care technology becomes more sophisticated, there is a tendency to rely on monitors and machines to assess the patient's status. Therefore focus on the functioning and care of machine can result in less meaningful communication with patients. This study points to the need for health professional and patient relationship based on Martin Buber philosophy(I and Thou). This relationship may suggest that professional shoud have sincerity, concerning, respect and warm emotional toward their patients. Ultimately this study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to contribute understanding of "I and Thou" relationship and nursing philosophy development in nursing education.

  • PDF

Current Status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 General Hospital (종합병원 임상간호사 실무교육에서의 기초간호학 교육현황)

  • Jeong, Jae Sim;Hwang, Young Hui;Kim, Yongbum;Ryu, Jae Geum;Kim, Mi Kyung;Choi, So-Eun;Park, Myung Sook;Lee, Hyangkyu;Lee, Kyung-Sook;Choi-Kwon, Smi
    •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 /
    • v.20 no.1
    • /
    • pp.47-53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tent and the nature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 general hospital. Methods: Five advance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conveniently sampled. Contents of education for nurses conducted by the hospital nursing department from January 1 to December 31 of 2015 were collected. Contents of education included biological nursing science and the scope of inclusion and time of assignment were analyzed. Results: A total of 271 cases of nursing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and 223 cases were analyzed after excluding 48 cases whose contents were not confirmed. Biological nursing science was included in the contents of education for 117 cases (52.5%), but not for 106 cases (47.5%). Regarding the frequency of the biological nursing science education contents, 'pathophysiology'was the most frequently included (n= 286), followed by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human body' (n= 191), 'mechanisms and effects of drugs' (n= 114) and 'clinical microbiology' (n= 43).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included a lot of biological nursing science related contents.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and training course for nurses.

전북지역 양호교사의 업무수행과 관련요인 분석

  • Jeong, Yeong-Suk
    • Research in Community and Public Health Nursing
    • /
    • v.1 no.1
    • /
    • pp.580-581
    • /
    • 1989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라북도 지역내 양호교사의 업무수행 실태를 파악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학교 간호업무수행상의 개선점을 모색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조사 대상은 전라북도내 양호교사 143명 중 설문에 답한 87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평균, 백분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적용하였다. 분석된 주요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 PDF

Perceptions of nurses as a profession in Korea (간호전문직에 대한 인식)

  • Yee, Jung-Ae;Yom, Young-He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 /
    • v.7 no.3
    • /
    • pp.447-453
    • /
    • 2001
  • 연구목적 : 전문직으로서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집단별로 파악하고 이들에 대한 인식을 비교한다. 연구방법 : 설문지를 이용한 비교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은 간호사, 간호학교수, 의사, 약사, 간호조무사, 병원행정직원, 행정관료, 정당활동가, 일반시민 등을 포함한 총 584명이었으며, 설문지는 12개 하부항목으로 범주화된 36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 간호사에 대한 인식은 의사가 가장 긍적적이었으며, 병원직원이 가장 부정적이었다. 모든 집단에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항목은 '사회적 요구'였으며, 그 다음은 '직무기술', '사회적 인식'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부정적인 것은 '간호교육'이었고, 그 다음은 '간호조직체 활동', '직무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기초로 하여 간호사들은 다른 집단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여야 한다.

  • PDF

The Effect of the Image of Nurses and the Major Satisfaction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in University (간호 대학생이 느끼는 간호사 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 Jo, HaEun;Ahn, YuHa;Ryu, SuMin;Lim, JaeYoung;Kim, Hey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6 no.3
    • /
    • pp.1008-101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image of nurses and major satisfaction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among nursing students in university and to presents basic data for making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ism. A survey was held to th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and Chungcheong cities from May 30 to June 4, 2019. 184 copies were in the final analysis for data analysi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As a result, the factors of affecting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followed by character, motivation for nursing, future prospects of nursing, image of nurses and major satisfaction. The multiple regression explanatory power was 63.6percent of the total changes in nursing professionalism. Therefore, this study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o create positive image through positive self-image and enhance learning satisfaction in order to increase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ism.

Bridging the Gap Between Research, Practice and Theory in Nursing (간호학에 있어서 연구, 실무와 이론과의 교량)

  • Ketefian, Shake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24 no.2
    • /
    • pp.303-312
    • /
    • 1994
  • 이 논문은 건강관리와 간호에 있어서 현재 발전하고있는 경향과 맥락내에서 연구, 실무 및 이론 사이의 상관관계에 관하여 논하였다. 연구-실무-이른의 삼위일체의 연결고리를 위한 접근의 다양성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교육, 협력활동, 파트너쉽, 협동임명과 교수임상근무, 실무에 있어서 이른 적용의 문제점 또한 언급하였다. 이론과 연구를 풍부하게 하기 위한 방법과 연구에 기초한 지식을 실무에 적용하기 전 실무환경에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게 부가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실무환경에 지식을 적용, 평가, 반복함으로써 체계적이고 계획된 변화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세계화와 국제화의 시각 및 모든 사람에게 국경을 초월하여 건강관리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협력적인 연구활동이 특별히 요청된다.

  • PDF

HOME NURSING CARE NEEDS IN RURAL KOREA (한국 농촌 지역의 가정간호 요구에 관한 연구)

  • KIM, SUNG SILL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
    • v.18 no.1
    • /
    • pp.44-69
    • /
    • 1988
  • 보건의료기술이 고도로 발달되었다 하더라도 의료의 혜택이 필요할 때 누구에게나 언제든지 제공될 수 없는한 전체 국민의 건강요구를 포괄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는 제도나 방법이 필요하게 된다. 본 연구는 사회 집단의 최소 단위인 가정을 중심으로 수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합리적 수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가정간호 요구의 사정 및 가정간호 수행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가정 간호(Home Nursing Care, Home Health Care)는 추후관리를 받아야 할 대상자, 고령자, 만성질환자에게 규격화되어 있는 병원간호를 가정이라는 친숙한 분위기에서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가정 중심의 심리적 안정은 물론 시간과 경비를 절감하는 효과적 간호수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농촌가정의 가정간호의 요구는 무엇이며 그 요구의 원인은 무엇인가\ulcorner 둘째, 농촌가정에서 가지고 있는 상병에는 어떠한 것이 있으며 행하여 지고 있는 가정간호의 내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ulcorner 셋째, 가정간호 수행자는 누구이며 이에 대한 수혜자의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가\ulcorner 본 연구의 방법은 1985년 6월 18일 부터 8월 7일 까지 C군에 거주하는 주민중 11개소 보건진료소가 소재한 반의 주민 전체 1,027명 중 상병자 159명과 30세 이상의 인구 440명, 가구주 239명을 대상으로 가정방문을 통한 면접으로 질문지를 기록케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첫째 간호요구의 측정을 위한 도구로 Virginia Henderson의 기본간호활동 14가지를 기초로 지역주민 50명과 현직 간호원 50명에게 개방질문으로 얻은 내용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둘째, 가정간호수행에 대한 도구로 Orem의 간호이론 중 간호방법 5가지를 근거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보건진료원에 의하여 사정된 간호요구와 그 원인들을 인간의 기본요구 영역별로 분류하여 가정간호진단을 위한 지역사회 가정간호사정 및 진단도구로 쓸 수 있도록 개발하였으며, 상병자에 대한 가정간호 수행은 수행빈도와 수행내용에 따른 수행자와 수행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1. 가정간호요구에 대하여 1) 가정간호요구 측정은 신체영역 중 몸을 청결히 하고 몸차림을 단정히 하여 피부를 보호하기 내용에서 더위나 추위에 대하여 옷을 맞추어 조절하기의 요구, 적절한 식사와 수분섭취하기 내용에서 배변의 요구, 또한 몸을 움직이고 바람직한 체위를 유지하기 내용에서 한가지 자세를 계속하기의 요구가 높았고 정상호흡하기 내용에는 일상활동시 호흡에 대한 요구가 높은 편이었다. 사회, 심리, 영적 간호요구 영역에서는 자신이 신앙에 따라 예배하기 내용에서 신앙으로 어려움을 극복하려는 요구가 높았으며 여러가지 오락의 형태를 취하여 이에 참여하기 내용에서는 취미생활의 요구가 높았다. 2) 가정간호요구는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성별로는 여자의 가정간호요구가 남자보다 높았으나 내용별 요구의 차이는 없었다. 2. 가정간호수행에 대하여 1) 가정에서 수행되는 가정간호내용으로는 직접간호가 가장 많이 수행되었으며 내용으로는 구강청결, 옷 갈아 입기, 투약, 음식투여, 대ㆍ소변보기의 빈도가 많았다. 건강한 환경제공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적당한 실내온도 유지하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내용에서는 투약요령 알기의 빈도가 많았으며, 보호와 지지내용과 교육의 간호수행내용에서는 현 상태 인정하기와 투약 방법에 대한 교육하기의 간호수행빈도가 가장 많았다. 2) 간호수행자에 있어서 직접간호 수행은 본인 스스로 하는 빈도가 가장 많았으며 안내와 지도 및 교육의 간호수행은 전문가가 많았고 보호와 지지간호는 가족이 많았고 건강한 환경제공간호는 배우자에서 더 많았다. 3) 간호수행자에 대한 만족도는 직접간호 방법에서는 가족이, 안내와 지도는 배우자가, 보호지지, 건강한 환경제공 및 교육에서는 전문가에 의한 간호수행 만족도가 높았다. 4) 상병상태에 따른 주 증상은 관절통 요통이 가장 많았고 상병자는 남자가 많았고 주 중상에 대한 성별간의 큰 차이는 없었다. 이상 가정간호요구와 정도 및 가정간호 수행의 내용을 기반으로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이 시급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으며 가정간호사업의 시행을 위한 제도적 보완개선책이 요구된다고 결론을 지을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