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준조위

Search Result 63, Processing Time 0.03 seconds

Experimental Study on Effect of Slope and Length of Apron on Discharge through Gate Structure (물받이 길이 및 접근경사에 따른 조력발전 배수구조물 통수능 검토 실험 연구)

  • Yoon, Kwang-Seok;Yeo, Kyu-D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026-1030
    • /
    • 2005
  • 조력발전 건설사업에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은 조수간만에 의해 외해부와 조지부 사이를 이동하는 해수를 적절히 소통시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단조지 단류식 발전으로 창조시에 발전을 행할 경우, 발전을 행하면서 높아진 조지내의 수위를 다음 발전을 위해서 낮아진 외해수위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배수시키지 못하면 그 시설은 발전효율이 낮아지게 된다. 즉, 수문구조물의 목적은 주어진 조건 하에서 계획된 유량을 충분히 그리고 안전하게 배제시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문구조물에 대한 물받이의 길이와 경사의 변화에 의한 외해 조위와 시화호 수위차 조건에 따른 유량계수를 구해 배수능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시화호를 실험대상으로 하여 수리모형을 1:25의 축척비로 제작하였다. 시화방조제를 기준으로 외해부의 조위와 조지부의 수위차를 8가지의 실험조건으로 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량계수를 산정하기 위하여 8개 실험조건을 계획에서 제시된 수위-조위 조건에서 수위차 및 통수유량을 분배하여 결정하였고, 유량계수 산정식에 따라 상류 흐름 안정지점에서 유속-면적법에 의해서 유량을 측정하였다. 유속은 8개 지점에 대해서 측정하였고, 각 측정지점에서의 측선은 $3\~5$개이며, 측점은 $3\~4$점법으로 수행하였다. 시화호와 외해의 수위차가 1.011m일 때의 수문을 통과하는 유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 II와 III의 통과유량은 각각 $1,571m^3/s$$1,515m^3/s$ 의서 실험 I 의 $587m^3/s$에 비해 통수능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림 1은 수위차별 유량곡선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험 II에서의 수문의 통수능이 실험 I의 통수능보다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일 때가 밸브를 $60\%$$80\%$ 개폐시켰을 때보다 $0.3kg/cm^2,\;0.29kg/cm^2$ 낮게 나타나 밸브를 전체 개방 했을 때 관로내의 수압이 상수설계기준에 적합한 수압을 유지함을 알 수 있다. 상수관로 설계 기준에서는 관로내 수압을 $1.5\~4.0kg/cm^2$으로 나타내고 있는데 $6kg/cm^2$보다 과수압을 나타내는 경우가 $100\%$로 밸브를 개방하였을 때보다 $60\%,\;80\%$ 개방하였을 때가 더 빈번히 발생하고 있으므로 대상지역의 밸브 개폐는 $100\%$ 개방하는 것이 선계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밸브 개폐에 따른 수압 변화를 모의한 결과 밸브 개폐도를 적절히 유지하여 필요수량의 확보 및 누수방지대책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8R(mm)(r^2=0.84)$로 지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유거수량은 토성별로 양토를 1.0으로 기준할 때 사양토가 0.86으로 가장 작았고, 식양토 1.09, 식토 1.15로 평가되어 침투수에 비해 토성별 차이가 크게 나타났다. 이는 토성이 세립질일 수록 유거수의 저항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경사에 따라서는 경사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10\% 경사일 때를 기준으로 $Ro(mm)=Ro_{10}{\times}0.797{\times}e^{-0.021s(\%)}$로 나타났다.천성 승모판 폐쇄 부전등을 초래하는 심각한 선천성 심질환이다. 그러나 진단 즉시 직접 좌관상동맥-대동맥 이식술로 수술적 교정을 해줌으로써 좋은 성적을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특히 교사들이 중요하게 인식하는 해방적

  • PDF

Reviews on the Tidal Observation Accuracy for Unified Vertical Datum (수직기준계 연계를 위한 조석관측 정확도에 관한 고찰)

  • Lee, Young-Jin;Song, Jun-Ho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10.06a
    • /
    • pp.272-273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NOAA에서 발간된 자료와 ICSM에서 발간한 자료를 토대로 조위관측의 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최소 3개월, 또는 1년 이상의 장기관측을 하는 방안이 권장되며 NOS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된 19년 주기의 관측에 의한 국가기준(시기)을 정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 PDF

Flood Management using Establishment of Early Warning System for Daecheon Stream (대천천 조기경보시스템 구축을 통한 홍수 관리)

  • Kim, Sang Ho;Kim, Han 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8-288
    • /
    • 2022
  • 행정안전부는 뉴딜사업 일환으로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산악지역 및 마을 상류부에 위치한 재해위험지구, 급경사지 및 노후저수지 등에 대해 위기상황에 신속·정확하게 작동하는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사업을 진행 중이다. 특히 재난발생 시, 인명피해에 가장 민감한 조기경보발령에 대해서는 지역적 수리·수문특성을 고려한 단계별 위험요소(강우량, 수위, 조위 등)를 정량화하여 위험지역 내 주민들이 적절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조기경보 기준을 정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시를 관통하는 대천천 유역에서 집중호우가 발생할 경우 침수피해 발생 가능성이 높은 대천천 하상주차장 구간을 중심으로 상류의 청천저수지에서 방류하는 홍수량과 하류의 서해 조위가 대천천 본류의 하상주차장에 미치는 영향을 수리학적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A Study on Estimation of Design Tidal level Considering Sea Level Change in the Korean Peninsula (한반도의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설계조위 산정에 관한 연구)

  • Choo, Tai Ho;Sim, Su Yong;Yang, Da Un;Park, Sang Jin;Kwak, Kil Sin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7 no.4
    • /
    • pp.464-473
    • /
    • 2016
  • The air temperatures of the coast and inland are rising due to an increase in carbon dioxide emissions and abnormal climate phenomena caused by global warming, El Nino, La Nina and so on. The sea levels of the Earth are rising by approximately 2.0 mm per year (global average value) due to the thermal expansion of sea water, melting of glaciers and other causes by global warming. On the other hand, when it comes to designing a hydraulic structure or coastal hydraulic structure, the standard of the design water level is decided by analyzing four largeness tide values and a harmonic constant with the observed tidal water level or simulating numerical model. Therefore, the design tidal water level needs to consider an increasing speed of the seawater level, which corresponds to the design frequency. In the present study, the observed tidal water levels targeting 46 tidal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from the beginning of observations to 2015 per hour were collected. The variation of the monthly and yearly and increasing ratio were performed and divided into 7 seas, such as east and west part of the Southern Sea, south part and middle of the East Sea, south part and middle of the Western Sea, and Jeju Sea. The current study could be used to determine the cause of local seawater rises and reflect the design tidal water level as basic data.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Tidal Database for the Philippines (필리핀을 위한 조석 데이터베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 PARK, Eung-Hyun;AHN, Se-Jin;SHIM, Moon-Bo;JEON, Hae-Yeon;KANG, Ho-Yun;KIM, Dae-H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22 no.4
    • /
    • pp.158-168
    • /
    • 2019
  •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KHOA) carried out a research project named 'Marine Fisheries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Technology Training for the Philippines' as part of the 1st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ODA) from 2015 to 2018. It is preparing for the 2nd ODA project which will begin in 2020. Besides, recently, the Philippines is paying attention to marine territory management and response capability due to problems such as the sea-level rise and coastal erosion caused by climate change. Therefore, before 2nd ODA to the Philippines, this study analyzed the vertical ocean model on the vertical datum in Korea and sugges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vertical ocean modeling system for the vertical datum in the Philippines using the observed data from the permanent tide station which was built by the Philippines ODA research project over the last four years. Moreover, as a pilot study, the Sulu Sea in the Philippines was selected and analyzed by harmonic analysis method. At each tide station, constants for correction had been computed. And the grid-based tidal model was constructed based on this study. As a result of the study, similar tidal characteristic were observed when the prediction and the measured tide were compared by applying the constants for correction between two station in the sea area with similar tidal level.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2nd ODA to the Philippines, and contributed to construct and maintain a close cooperation and friendship between Korea and the Philippines.

Establishment of river management plan through monitoring of water quantity·water quality (salinity) in the Seomjin River Basin (섬진강권역 수량·수질(염분) 모니터링을 통한 하천관리방안 수립)

  • Jung, Chung Gil;Park, Sung Sik;Park, Sang Gue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62-362
    • /
    • 2021
  • 섬진강은 하굿둑이 없는 열린 하구로서 하구로부터 약 21km까지 조석의 영향을 받아 강물의 염도가 시간에 따라 변하는 환경이다. 오랫동안 섬진강 하구는 다양한 원인으로부터 바다화로 대표되는 염하구 문제가 지역 현안 사항으로 제기되어 왔다. 상류에서의 용수사용 증가로 인한 하천유하량 감소 또한 그 원인들 중 하나로 판단됨에 따라 실제 하구까지 내려오는 하천유량과 바다로부터 유입되는 해수를 구분하여 정량화하는 연구가 필요한 사안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섬진강수계 하구에서의 다양한 생태환경을 보전하기 위한 적정 염분유지가 요구됨에 따라 염분과 유하량(하천유량)의 관계 규명과 기준을 마련하고자 한다. 섬진강수계 하류지역 주민의 민원과 갈수기 하천유량 부족으로 적정 하천관리를 위해서 2020년 이후로 섬진강수계 주요 댐에 대한 과거 20년간 용수공급 현황과 빈도별 유입량을 고려한 용수공급기준선과 하천유지용수 개념의 환경대응용수 공급량을 산정하였으며, 댐 용수공급의 안정성이 확보된 상황에서의 환경대응용수를 공급 중이다. 또한, 상류 유하량과 바다 조위에 따른 염도의 상관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섬진강 하구의 염도(섬진교, 섬진강대교) 계측기를 설치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측정된 자료를 이용하여 하천관리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최종적으로, 최근까지의 실측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한 유량-조위-염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의사결정표(조견표) 산정하고 실제 댐운영('20.4.~현재) 및 하천유량 모니터링('20.4.~현재) 자료를 이용한 하천유량확보 효과 분석을 실시하여 섬진강 하구의 통합관리(수량-수질)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여 향 후 섬진강수계 통합물관리 업무와 갈수 및 가뭄시기에 적정한 하천관리를 위한 실증적인 방안을 검토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PDF

The Study of Coastal Change Detection Ortho Aerial Photo and Hydrographic Survey: Parcels Submerged (정사항공사진과 해양조사측량을 이용한 해안선변화 탐지에 관한 연구: 포락지 중심으로)

  • Choi Chul Eung;Kim Youn Soo;Suh Yong Cheo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7 no.2
    • /
    • pp.61-69
    • /
    • 2005
  • The coastal erosion and the look of a heap which are mainly occurred in the district along the coast are found for various forms such as the estuary closing, the estuary sand bar the development of the coast sand bar, and the modification of coastline. Recently, due to the coastal development, these transformations have been intensified. The change of coast, which has been made slow progress is required long-term study on a searching examination of the root cause and a suggestion of a counter measure. In this research, ortho aerial photos were produced to analyze volumes of topographical alternations that have been progressed fer the long run, by 10s cycle from 1940s through 1990s, to compute accurate volumes of coastline variation, through a datum point and G.C.P (Ground Control Point). Also in this study, without respect to water level, the coastline variation was analyzed by using comparatively analyzed a Idlest land map, a cadastral map. And to analyze topographical variation volumes, the tidal station's materials was used under consideration f3r tide. Finally, topographical variation volumes are comparatively analyzed through surveying and sounding and a point of fine of aviation photographing was calculated and revised. After this research, by using ortho aerial photos, We can understand efficiency of these in computing volumes of variations of coastline by analyzing quantitatively erosion and look of a heap. Besides, in the future, these will be used for information gathering of the coastline integration control system.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Analysis in the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Korea (강화도 남단 조간대에서의 수온 및 염분 변동양상 분석)

  • Cho, Hong-Yeon;Koo, Bon-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0 no.3
    • /
    • pp.310-320
    • /
    • 2008
  •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variation patterns were analysed using the CTD data measured in the Yeochari, Dongmakri and Donggeomdo intertidal zone, south of Ganghwado. Only the data during the submersion period of the measurement stations were used in this analysis. It is clearly show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s very low and the water temperature variation shows clearly the opposite patterns as the tidal elevation increases and decreases. Whereas, the salinity change shows the similar pattern of the tidal elevation change pattern because the salinity change pattern could be described as the increasing function from the shoreline to offshore regions due to the continuous ground-water inflow in the adjacent watersheds. The salinity is increased from the submersion time to the high tide and decreased from the high tide to the exposure time.

A Study on the Decision for External Water Level of a River Considering Sea Level Rise (해수면 상승을 고려한 하천 외수위 결정에 관한 연구)

  • Choo, Tai Ho;Yun, Gwan Seon;Kwon, Yong Been;Ahn, Si Hyung;Kim, Jong Gu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6 no.4
    • /
    • pp.604-613
    • /
    • 2016
  • The sea level of the Earth is rising approximately 2.0mm per year (global average value) due to thermal expansion of sea water, melting of glaciers and other causes by global warming. However, when it comes to design a river, the standard of design water level is decided by analyzing four largeness tide value and harmonic constant with observed tidal water level. Therefore, it seems the external water level needs to consider an increasing speed of the seawater level which corresponds to a design frequency. In the present study, the hourly observed tidal water level targeting 47 tidal stations operated by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dministration (KHOA) from beginning of observation to 2015 per hour has been collected. The variation of monthly and yearly and increasing ratio have been performed divided 4 seas such as the Southern, East, Western, and Jeju Sea. Also, the external water level existing design for rivers nearby a coast was been reviewed. The current study could be used to figure out the cause of local seawater rise and reflect the external water level as basic data.

Extraction of DEM in the Southern Tidal Flat of Kanghwa Island using Satellite Image (위성영상을 이용한 강화도 남단갯벌의 DEM 추출)

  • 박성우;정종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1 no.1
    • /
    • pp.13-22
    • /
    • 2003
  • The study of geomorphology of 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image has been considered useful because of it's ability to acquire data periodically. Especially, the Near Infrared band of satellite image has been used to divide between land and sea area. This study extracted a borderline of the tidal flat using Landsat-5 images and generated DEM(Digital elevation model) using tide level data as elevation value. DEM is a useful tool for three-dimensional survey of geomorphology and can be used for survey of tidal flat. This study divided 8 images of 1990's into two parts - before 1994 and after 1994 - and generated DEM respectively. In this work, the areas of tidal flats are calculated and it was revealed the area of tidal flat was decreased after 1994.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