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준습지

검색결과 232건 처리시간 0.025초

축조된 습지(wetland)를 이용한 폐수처리의 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Criteria of Wastewater Treatment by Contructed Wetland)

  • 윤춘경;정재춘
    • 유기물자원화
    • /
    • 제4권1호
    • /
    • pp.61-72
    • /
    • 1996
  • 최근 축조된 습지를 이용한 폐수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는 습지이용시스템이 자연정화법을 이용한 처리법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량이 적고 유지관리가 비교적 간단하며 기술적 난점이 적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그래서 이러한 시스템은 우리나라 농촌지역에서 특히 응용될 수 있는 처리법이라고 생각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처리법을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미국 등 구미선진국에서 개발된 축소형 습지에 대한 설계기준에 대해서 논하였다. 본 논문에서 중점적으로 논한 것은 식생의 종류, 자연적 천이와 관리, 식재기법, 파종기법 및 건설 후의 관리이다.

  • PDF

습지(wetlands)에 대한 용어 이해 (The Conprehesion of the Terminology of Wetlands)

  • 문현숙
    • 동굴
    • /
    • 제75호
    • /
    • pp.35-39
    • /
    • 2006
  • 습지는 물로 덮여 있는 지역에 대한 총칭이다. 습지 연구에 있어 필요한 요건은 수문, 토양, 식생이다. 람사(Ramsar)에서는 수문을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습지를 정의한다. 외국에서 학술적 용어로는 swamps, marshes, bogs, fens 등이 있다. 무엇보다 위치를 중심으로 분류한 용어이다. 수문, 수질, 식생이 기준이 된 경우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못, 소택지, 늪, 습원, 습지 등으로 불리운다. 그러나, 외국 용어를 해석하기에 혹은 우리나라 안에서의 학술적 통일성이 미흡하여 앞으로의 용어 정의가 절실히 요구된다.

습지교육의 정규교과 채택: 연구동향과 연구주제 (Adoption of Wetland Education as a Part of the Formal School Curriculum: Their Research Trends and Topics)

  • 박준규;서승오;도윤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7-263
    • /
    • 2020
  • 본 연구는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습지교육에 대한 전 세계 연구 동향과 주요 연구내용을 분석하고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들의 사례를 파악하였다. 습지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과거 습지교육은 습지에 대한 태도와 우리가 가져야할 인식에 대해 연구하다가 최근에는 습지의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강조하는 주제로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2002년까지 람사르협약에 가입한 국가 중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가는 18개국이었는데 2020년 8월 기준 42 개국으로 확대되었다. 습지에 대한 국가 간 또는 지역 간 과학정보와 지식의 격차가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채택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습지교육을 정규교육과정으로 운영하고 있는 국제적 사례를 살펴본 결과 지역단위 또는 학교 단위로 습지교육을 운영하고 있어 이들 사례를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opographic Position Index를 활용한 산지습지 분포예측 (A Prediction of Forest Wetlands Distribution using Topographic Position Index)

  • 박경훈;김경태;곽행구;이우성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4-204
    • /
    • 2007
  • 본 연구는 울주군과 경상남도 일대를 대상으로 산지습지 가능지역의 분포를 예측하기 위한 Topographic Position Index(TPI) 방법론을 제시하고, 예측된 분포가능지와 기존 습지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산지습지 분포예측은 DEM에서 추출된 TPI 그리드, 그리고 그 값을 통해 분류된 대상지의 사면 위치와 지형유형에 의해서 수행되어졌다. TPI 방법에 의해 산지습지 분포가능지를 예측한 결과에 따르면, 평탄지 경사기준이 $5^{\circ}$ 이하인 경우의 분포가능지는 전체면적의 0.1%($1.38km^2$), 그리고 경사도 $20^{\circ}$ 이하인 경우는 3.5%($37.1km^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측된 산지습지 분포가능지와 대상지 내의 기존 산지습지를 비교하여 적합성을 분석한 결과, 평탄지 경사기준이 $10^{\circ}$ 이하인 경우의 적합성이 0.066으로 가장 높았고, 평탄지 경사기준 $20^{\circ}$ 이하에서 예측된 지역의 적합성이 0.01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가치평가를 위한 기능 및 요인분석 (The Analysis of Function and Factors for the Value Assessment of Ecosystem Service at Rice Paddy Wetland)

  • 공민재;이병모;김남춘;손진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51-259
    • /
    • 2014
  • 최근들어 세계환경의 화두는 습지와 더불어 논습지 그리고 습지의 생태계서비스 기능에 집중 조명되고 있지만, 논습지의 생태계서비스를 평가 할 수 있는 연구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습지평가체계를 논습지에 적용하여 습지로서 논의 가치를 평가해보는 동시에 논습지 중심의 평가체계를 구축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지는 고도와 토양을 기준으로 16곳을 선정하였다. 습지평가 결과 연구대상지 16곳은 총점 110점~118점, 평균 2.17~2.50으로 선행연구 사례지인 호수형습지, 소택형습지, 하천형습지와 비교해도 습지로서 가치가 인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고도, 토성에 따라서는 평가결과의 차이는 없었으며, 보전가치는 모두 같게 나타났다. Pearson 상관분석을 통해 보전가치에 가장 밀접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찾아본 결과, 면적이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습지평가체계로 논습지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것으로 사료되어 논습지 평가를 위해서는 재배유형, 지형적 특성, 식생특성, 생육환경, 생물다양성 등의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해 습지평가체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NPS-WET 습지 모델링을 이용한 습지 증설에 따른 수질개선 효과 분석 (Analysis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s on Wetland Expansion using NPS-WET Model)

  • 박종석;이경훈;한창화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393-402
    • /
    • 2017
  • 본 연구는 바이오파크 유역 내 인공습지에 대하여 습지규모와 수질개선효과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최적의 습지규모 설계를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인공습지에 대한 합리적인 규모 설계 및 운영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되며, 연구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인공습지의 0-100 % 증설범위의 설계별 시나리오 분석결과, '기존규모 대비 75 % 증설'의 경우, '기존규모의 현 상태 운영' 설계 기준과 비교하여 수질이 BOD5는 66.7 %, TSS는 69.9 %, T-N은 64.7 %, T-P는 85.5 %, Chl-a는 51.8 % 만큼 개선되어 가장 양호한 효과를 보여주었으며, 특히 4계절 중 여름철에 Chl-a를 제외한 수질항목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경향이었다. 그리고 설계규모와 수질개선 효과간 정비례관계가 성립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지리정보 기반의 환경평가 적용시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Moors Applying to Environment Assesment Based on E-GIS)

  • 곽영주;박상용;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53-57
    • /
    • 2005
  •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한 생태계가 바로 습지이다. 이 자연자산은 인간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습지의 보전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습지 분포지역의 명확한 위치정보를 수록하고 있는 수치지도를 활용한 습지의 공간 DB를 구축하고 정보를 공유하며 지리정보시스템(GIS)를 이용한 체계적인 시스템 관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원에 대한 통합 DB로서 습지관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우선하였다. 기준점 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를 규정하였고 습지분포 수치지도를 표준화하였다. 특히, 친환경 건설계획 수립 시 GIS를 활용하여 중요한 자연자산인 습지를 보존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현재 환경부에서 지정하고 있는 보존습지의 구성인자 지형, 지질, 동 식물상 분포를 분석하여 GIS를 적용함으로써 발견되지 않은 습지 분포지역을 예측 할 수 있도록 모델을 제시하였다.

  • PDF

E-GIS 기반의 습지분포 및 규모예측 (A Prediction and Distribution of Wetland Based on an E-GIS)

  • 장용구;김상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6D호
    • /
    • pp.1011-1017
    • /
    • 2006
  • 습지 생태계는 환경의 변화에 민감하여 인위적 간섭에 매우 취약하다. 습지는 육상과 수상생태계의 전이지대이며 인간생활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습지의 보전과 관리대책 마련이 필수적이다. 습지 분포지역의 명확한 위치정보, 속성자료를 포함하는 수치지도와 지리정보시스템(GIS)을 이용한 Environment-GIS(E-GIS)의 개선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산지습원에 대한 통합 DB로서 습지관리의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방법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기준점 측량방식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이용한 정확한 위치를 규정하였고 습지분포 수치지도 영역을 표현하였다. 이로써 지리정보를 이용한 GIS DB로 전환하여 도형, 속성정보를 수치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된 습지정보를 기반으로 연구범위 내 환경부 지정 대표 보존습지의 구성인자인 지형, 지질, 동 식물상 분포를 분석하여 발견되지 않은 습지 분포지역을 예측 할 수 있는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생태 천변저류지의 생태학적 조성계획기준 (Ecological Guidelines for Creation of Eco-washland)

  • 전승훈;최준길;유정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39-47
    • /
    • 2008
  • 환경친화적 수자원 관리의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천변저류지는 일차적인 홍수조절의 목적과 부차적인 생태공원으로서의 가치로 인하여 조성을 위한 기술개발과 함께 생태학적 계획기준이 시급하게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생태 천변저류지의 조성과정에서 요구되는 목표 생물종과 서식환경의 조성 등 생태학적 계획기준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지는 국가차원의 천변 저류지 조성이 검토되고 있는 임진강 석장천 합류지역으로 하였고, 유사한 생태적 입지조건을 지닌 남한강 홍수터 지역을 대조지로 선정하였다. 식생과 어류상 및 조류상을 중심으로 생태특성을 조사분석한 결과 식생군집은 버드나무와 갯버들, 물억새, 갈대 등의 우점 군락이 대표적으로서 개방수역과 사주부, 경작지 등과 함께 물리적 기반환경을 형성하였고, 어류상은 잉어과 어종과 납자루과 어종이 대표적이었으며, 조류상은 물새류인 오리류와 주연부종인 붉은머리오목눈이가 우점종이었다. 생태 천변 저류지의 생태-수문조건은 습지형을 지배적인 유형으로 호소형과 육상형이 부분적으로 결합한 복합 습지모형이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생태특성 분석결과에 기초하여 어류의 경우 납자루과와 잉어과 어종, 조류의 경우 봄철은 백로류, 겨울철은 오리류를 목표 생물종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들 목표 생물종의 번식지 및 산란처, 섭식 및 취식장소, 먹이원, 휴식지, 피난처, 치어 서식처, 잠자리 등 일반적인 서식환경을 고려한 구체적인 서식처 조성의 계획기준을 제시하였다.

  • PDF

Terra/Aqua MODIS LST를 이용한 폭염 및 한파기간 동안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 분석 (Assessment of Surface Temperature Mitigation Effects of Wetlands During Heat and Cold Waves Using Daytime and Nighttime MODIS Land Surface Temperature)

  • 정지훈;이용관;김성준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1권spc호
    • /
    • pp.123-133
    • /
    • 2019
  • 본 연구는 2018년에 발생한 폭염 및 한파 발생 기간을 대상으로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위성관측 지표면 온도(Land Surface Temperature, LST)와 지상 관측 기온 자료를 활용해 토지 이용별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폭염 기간에는 폭염주의보 발령 기준인 최고기온 33℃ 이상인 지역, 한파 기간은 한파주의보 발령 기준인 최저기온 -12℃ 이하의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다. 위성 자료로는 Terra/Aqua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의 Daytime, Nighttime LST 자료, 지상 관측 기온 자료로는 전국 86개소의 종관기상관측장비(Automated Surface Observing System, ASOS) 지점에 대한 최고 및 최저 자료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한파 기간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 산림의 지면온도의 평균이 -12.7℃로 가장 높았으며, 그 뒤로 밭과 습지가 각각 -12.9℃와 -13.0℃로 나타나 평균이 가장 낮은 도시의 -14.4℃에 비해 1.4℃ 더 높았다. 폭염 기간에도 도시지역의 평균이 34.6℃로 가장 높았고 습지는 33.0℃로 도시지역과 - 1.6℃의 차이를 보여 습지의 지면온도 완화효과를 확인하였다. 습지는 기간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지면온도의 완화 기능을 발휘하였고, 원격탐사 영상을 이용한 확인이 가능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