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준강도

검색결과 2,697건 처리시간 0.029초

변전소 철골 내화뿜칠 부착강도 기준설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Study on the Suggestion for Bond Strength Standard of Sprayed Fire Resistive Materials Used at the Substation Steel Structures)

  • 박동수;정원섭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128-137
    • /
    • 2014
  • 내화뿜칠재는 주로 철골구조물 위에 시공하여 내화구조기준을 만족하기 위한 것이다. 국내에서는 원자력발전소를 비롯하여 철골구조물에 내화뿜칠재를 시공하여 왔지만, 재료특성 중 중요한 요건인 부착강도기준이 제정되어있지 않았다. 다만, 원자력발전소는 원전의 기준에 따라 부착강도 기준이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변전소에 시공되는 내화뿜칠재의 부착강도 기준을 정하고자 하였다. 기준설정 방법은 현재 사용되는 제품으로 실험체를 제작하고, 변전소 환경에 따라 열화시키며 부착강도를 측정하고 구조물 내구연한 기간 동안 열화시킨 후 변전소에서 발생하는 충격하중 실험을 통하여 탈락여부를 평가하여 부착강도기준을 설정하였다. 본 논문에서의 부착강도는 시중에서 사용되는 제품을 기준으로 실험한 것으로 최소한의 값이라고 판단된다.

휨과 전단을 받는 고강도강 플레이트거더의 극한거동 (Ultimate Behavior of Plate Girders with High Strength Steel in Combined Bending and Shear)

  • 김종민;황민오;강영종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0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84.1-84.1
    • /
    • 2010
  • 국내에서는 플레이트거더의 휨 강도 및 전단 강도를 허용응력설계법에 기반한 도로교설계기준(2005)에 근거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국외의 경우 하중저항계수설계법에 근간을 둔 AISC(2005) 등의 규정을 통해 산정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장강도 800MPa 급의 강재가 생산되고 있으나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아직까지 상기 인장강도를 갖는 고강도강에 대한 설계기준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휨과 전단이 동시에 작용하는 고강도강 적용 플레이트거더의 극한거동 해석을 통해 국내기준의 적용성을 판단하고, 국외기준인 AISC(2005)와 비교하여 나타내어 허용응력설계법에 근거한 국내기준의 강도산정법의 한계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 PDF

철근콘크리트 보에 사용된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 제한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the Maximum Yield Strength of Steel Stirrups in Reinforced Concrete Beams)

  • 이진은;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685-693
    • /
    • 2012
  • 현재 콘크리트설계기준에서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ACI318-08, EC2-02, CSA-04에서 제시하고 있는 전단설계기준을 이용한 계산값과 예제 실험체 데이터 값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각 기준의 전단보강철근 항복강도 제한의 상향조정에 대하여 판단해 보았다. 실험값과 계산값의 비교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 강도를 제한하지 않았을 경우와 항복강도를 제한하였을 경우, 항복강도 및 철근비를 제한하였을 경우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를 제한하지 않았을 경우가 가장 실험값을 잘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복강도를 기준으로 비교했을 때, 기준에서 제한하고 있는 항복강도 이상의 고강도에서도 실험값에 가까운 값을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기존의 전단설계수식에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의 강도를 적용하더라도 수식이 성립한다고 볼 수 있으며 기준상에서 제한하고 있는 항복강도를 상향조정하여도 적용상의 불리함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소방호스 밀착강도시험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dhesion Test Methods for Fire Hose)

  • 김준배;백창선;김학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66-74
    • /
    • 2001
  • 소방호스의 밀착강도 시험방법을 개선하기 위하여 5개국(한국, 미국, 영국, 중국, 일본), 7개의 기술기준(KOFEIS, UL, FM, NFPA, BS, 중국기술기준, JIS, 일본검정기술기준)을 비교 고찰하고, 국내에서 생산되는 소방호스를 무작위로 발췌하여 밀착강도시험을 실시하였다. 밀착강도시험 및 기술기준 비교 고찰을 통하여 밀착강도시험은 소방호스의 호칭별로 시험시료의 크기와 박리시험속도 및 판정기준을 세분화함으로서 소방호스의 밀착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 PDF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 구조안전성 평가기준 개발(I) (Development of Standard for Transverse Strength of Cross Deck in Catamaran)

  • 권수연;이장현
    • 선박안전
    • /
    • 통권29호
    • /
    • pp.26-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와 관련하여 국내기준 및 국제표준, 선급 기준의 관련 내용을 조사하고 각 하중에 대한 계산식 및 관련 계수들에 영향을 미치는 외력 등을 비교 분석하며 샘플선박에 대한 구조계산 및 해석을 수행하여 국내에 적합한 쌍동선 연결부의 횡강도 구조안전성 평가기준을 제시하고 국제표준에 대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 PDF

제지애쉬가 적용된 CLSM의 일축압축강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CLSM with Paper Sludge Ash)

  • 박정준;이인환;신은철;홍기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253-26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하수관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CLSM을 개발하기 위하여, 산업폐기물인 제지애쉬를 이용한 CLSM의 일축압축강도 특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각각의 CLSM 배합조건에 따른 유동성시험 및 일축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였다. 먼저, 유동성시험 결과, 배합조건에 따라 유동성 기준을 만족하는 함수비의 범위는 24%~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축압축강도시험 결과, 강도는 재령일 1일에서 7일 사이에 높은 강도증가율을 보였으며, 이때 강도의 크기는 재령일 28일을 기준으로 발현된 전체 강도의 약 50%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CLSM의 강도 증가는 플라이애쉬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개발하고자 하는 CLSM의 기준강도를 고려하면 제지애쉬의 배합이 요구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높은 시멘트 비율을 적용한 경우의 강도가 낮은 경우에 비하여 크게 발현되었지만, 기준강도를 고려하면 시멘트의 비율을 5%로 적용하는 것이 합리적인 배합조건이라고 판단되었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현장타설 콘크리트 복합 보의 전단강도 (Shear Strength of Hybrid Beams Combining Precast Concrete and Cast-In-Place Concrete)

  • 김철구;박홍근;홍건호;강수민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75-185
    • /
    • 2013
  • 최근 다른 압축강도로 타설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와 현장타설 콘크리트(CIP)의 복합 부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지만 현행 기준에는 서로 다른 강도로 복합화된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한 설계 기준이 없다. 그래서 이번 연구에서 서로 다른 압축강도(24 MPa, 60 MPa)로 분리 타설된 보의 전단강도 실험을 수행하여 복합 부재의 전단강도에 대해 알아보았다. 변수로는 단면형상, 휨철근비, 그리고 전단경간비를 고려하였다. 실험 결과 값과 현행 전단 기준식과 단면적비로 계산한 유효 콘크리트 강도를 이용한 예측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를 분석해보면 철근비가 낮고 압축대에 60 MPa가 사용된 실험체들에 대해 설계 기준식을 과대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를 기준으로 PC와 CIP 복합부재의 전단설계 기준을 제안하였다.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포스트텐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보의 전단거동 평가 (Shear Behavior of Post-tensioning PSC Beams with High Strength Shear Reinforcement)

  • 전병구;이재만;임혜선;이정윤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33-40
    • /
    • 2016
  • 현재, 국내외 전단 설계기준에서 RC 및 PSC 부재의 전단보강철근의 최대항복강도를 제한하고 있다. 이는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RC 부재의 전단거동평가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비해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PSC 부재의 전단거동평가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며, PSC 부재는 긴장력에 의한 축압축력에 의해 RC 와는 다른 전단거동을 나타내므로 국내 기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제한으로 인해 고강도 철근을 PSC 부재에 적용할 경우 강도의 추가적인 상승분을 내력에 포함시킬 수 없어 고강도 재료의 사용을 저해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총 8개의 고강도 재료를 사용한 포스트텐션 PSC 보 전단실험을 실시하여 KCI-12 기준 및 ACI 318-14 기준의 항복강도 및 사인장균열의 폭을 검토하였다. ACI 318-14에서 요구하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 제한값(420 MPa) 이상인 모든 PSC 실험체의 전단보강철근이 항복한 이후에 최대 내력에 도달하였으며, 실험 전단내력 또한 KCI-12 기준식의 전단강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성 측면에서도 고강도 전단보강철근을 사용한 모든 실험체가 ACI 224위원회의 허용 균열폭(0.41 mm)을 초과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결과에 근거하여 KCI-12 기준에서 제한하는 전단보강철근의 항복강도는 PSC 부재에 대해서 전단내력 및 균열의 사용성 측면을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ACI 318-14의 전단보강철근 제한 기준은 다소 안전측에 속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Hoek-Brown 강도기준식 및 암질강도지수를 이용한 고압 유체 지하저장 공동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 평가 (Stability Analysis for Ground Uplift in Underground Storage Caverns for High Pressurized Gas using Hoek-Brown Strength Criterion and Geological Strength Index (GSI))

  • 김형목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4권4호
    • /
    • pp.289-296
    • /
    • 2014
  • 압축공기에너지 및 고압 천연가스 등의 고압 유체의 지하저장을 위한 저장공동 상부 암반의 융기에 대한 안정성 검토를 위한 간이해석기법을 개발하고 그 적용사례를 소개하였다. 본 해석기법은 저장공동 상부에 원통형의 파괴모델을 가정하고 한계평형해석을 실시함으로써 융기에 대한 안전율을 계산한다. 원통형 파괴면에 작용하는 마찰저항력 계산에는 Mohr-Coulomb 강도기준식을 대신하여 Hoek-Brown 강도기준식을 적용함으로써 무결암의 강도특성 뿐만 아니라 암반 상태도 고려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양한 암반 조건에서의 적용사례 및 암반 강도 정수의 민감도 분석 결과, 저장공동 상부 암반의 융기는 Mohr-Coulomb 강도기준식에 보다 민감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