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원해수

Search Result 153,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Summer Hydrographic Features of the East Sea Analyzed by the Optimum Multiparameter Method (OMP 방법으로 분석한 하계 동해의 수계 특성)

  • Kim, Il-Nam;Lee, Tong-Sup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v.26 no.4
    • /
    • pp.581-594
    • /
    • 2004
  • CREAHS II carried out an intensive hydrographic survey covering almost entire East Sea in 1999. Hydrographic data from total 203 stations were released to public on the internee. This paper summarized the results of water mass analysis by OHP (Optimum Multiparameter) method that utilizes temperature, salinity, dissolved oxygen, pH, alkalinity, silicate, nitrate, phosphate and location data as an input data-matrix. A total of eight source water types are identified in the East Sea: four in surface waters(North Korea Surface Water, Tatar Surface Cold Water, East Korean Coastal Water, Modified Tsushima Surface Water), two intermediate water types (Tsushima Middle Water, Liman Cold Water), two deep water types (East Sea Intermediate Water, East Sea Proper Water). Of these NKSW, MTSW and TSCW are the newly reported as the source water type. Distribution of each water types reveals several few interesting hydrographic features. A few noteworth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Tsushima Warm Current enter the East Sea as three branches; East Korea Coastal Water propagates north along the coast around $38^{\circ}N$ then turns to northeastward to $42^{\circ}N$ and moves eastward. Cold waters of northern origin move southward along the coast at the subsurface, which existence the existence of a circulation cell at the intermediate depth of the East Sea. The estimated volume of each water types inferred from the OMP results show that the deep waters (ESIW + ESPW) fill up ca. 90% of the East Sea basins. Consequently the formation and circulation of deep waters are the key factors controlling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East Sea.

영광 해안지역 염수지하수의 수질 및 안정동위원소 특성연구

  • Ji, Se-Jeong;Jang, Ho-Wan;Kim, Nak-Hyeon;Kim, Tong-Gwon;Yun, Uk
    • Proceedings of the KSEEG Conference
    • /
    • 2003.04a
    • /
    • pp.103-107
    • /
    • 2003
  • 임해지역의 도시팽창과 산업화는 각종 용수공급을 위해 지하수의 양수할 경우 해수침투로 인한 지하수의 염수화를 야기 시켜, 지하수의 해수기원의 성분에 대하 농도변화에 의해 식수나 관개용수로의 지하수 사용에 부적합한 사례들이 이미 밝혀진 바 있다(Barker et at., 1998; Bear et al., 1999). 임해지역에서 해수침투의 영향에 대한 저감화를 위해 지하수의 수리지질학적 및 수리지구화학적 연구가 요구된다. (중략)

  • PDF

A study on origin of fresh water in fresh and salt water interface (담·염수 경계면의 담수 기원에 관한 연구)

  • Kim, Byung-Woo;Choi, Ilhwan;Baek, Keon-Ha;Ryu, Kyongsik;Lee, Sang-W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7-217
    • /
    • 2019
  • 해안과 하천이 위치해 있는 낙동강하구의 담 염수 경계면 추적 연구에서 담 염수 경계면의 담수기원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담 염수 경계면을 이루는 담수의 기원이 하천 혹은 지하수 인지를 규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담 염수 경계면에 있는 담수는 일반적으로 하천과 지하수에 의한 것으로, 낙동강하구 일원을 대상으로 지하수공 내 해수침투 여부 파악을 위해 화학적(유기물)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아울러 낙동강하구 일원에서 담 염수 경계면에서 채취한 수질시료의 담수기원을 분석하기 위하여 K-water연구원 수질안전센터에 지하수공 7개지점(BH-1~7호공)의 심도별 물시료 2~4개지점(총 23개 지점), 하천(1개 지점), 해수 및 해안유출수(각 1개 지점)를 포함한 26개 시료를 LC-OCD(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or)로 분석하였다. LC-OCD 분석결과 특성은 기본적으로 유기물질이 물에서 유래한 aquagenic 혹은 토양층에서 유래한 pedogenic 유기물질 인지에 달려있다. 댐 또는 하천에서 pedogenic 유기물의 농도는 일반적으로 유역분지의 수문 또는 수리지질학적 경로에 의존한다. pedogenic 유기물들은 주로 상대적으로 작은 분자량을 갖는 친수성, 높은 사슬밀도 및 내화성 분자특성을 갖는 펄빅산으로 구성된다. aquagenic 유기물질은 수생 식물성 생물이나 플랑크톤의 분해 산물로서 세포벽에서 유래된 peptidoglycans와 고분자량의 polysaccharides 등을 포함한다(Chio & Jung, 2008; Buffle, 1988). 담 염수 경계면 추적을 위한 7개 관측공의 심도별 수질시료는 하천, 해수, 그리고 해안유출수의 용존유기탄소를 분석하기 위하여 LC-OCD로 정밀분석하였다. 그 결과, humic, 휴믹물질의 산화물질인 building blocks, 생물고분자 물질(bio-polymers), neutrals, acids로 분석되었으며, 일반적인 자연유기물질의 기원은 pedogenic과 aquagenic 유기물질로 분류된다. IHSS 표준물질 분석 등을 통한 SUVA 값으로부터 자연유기물질의 기원정보를 제공하는 HS-Diagram으로 도시한 결과, 2018년 11월 2일 조사한 26개의 원수시료 전체는 pedogenic fulvic acid〉aquagenic fulvic acid으로 하천의 기원이 우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BH-1호공과 BH-6호공의 특정 1개구간 GL.-6m를 제외한 모든 구간에서 aquagenic FA의 지하수 기원으로 분석되었으며, 나머지 지하수공(BH-2, 3, 4, 5, 7)과 하천 및 해안유출수는 유역분지 수문학적 경로인 pedogenic FA의 하천 기원의 담수인 것으로 분석된다.

  • PDF

Warm Water Circulation and its Origin by Sea Level Fluctuation and Bottom Topography (해수면변화와 해저지형에 의한 난류수의 순환과 그 기원)

  • PARK Ig-Chan;OH Im Sang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v.28 no.5
    • /
    • pp.677-697
    • /
    • 1995
  • The analysis of long- period sea level variations with tidal record data around Korea, Japan, and Russia shows that about half of the variations are due to atmospheric influences. The sea level variation by water movements is the largest in the coasts along the Tsushima Current, and becomes smaller in the distant areas. It suggests that the sea level varications are related with the Tsushima Current. The effect of sea level variations to ocean circulation has been studied with a numerical model allowing barotropic sea level fluctuations, like the result with GCM (Semtner) model by Pang et al.(1993), the present model also shows that waters basically flow along isobaths over the last China Sea after geostyophic adjustment around Taiwan. However, barotropic sea level fluctuation makes the basic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which waters flow into the central Yellow Sea and out along the west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Besides this, barotropic sea level fluctuation makes long period waves over the shelf area as the Kuroshio varies. By the waves, the basic circulation in the Yellow Sea is disturbed, so that the flow pattern of oppositely flowing into the Yellow Sea along the west roast of the Korean Peninsula appears. In the Yellow Sea circulation, it seems that northwest winds strengthen the basic circulat ion In winter, and southeast winds strengthen the disturbed circulation in summer. Another point appeared by the long period wave is that the Tsushima Current possibly originates in different areas. There have been two opposing argues on the area in which the Tsushima Current originates the southwest sea of Kyushu Island and the adjacent sea of Taiwan. Through this study, we found that both of them seem to be important areas for the origin of the Tsushima Current, and one of them is possibly strengthened by long period waves. The long period waves given by the variation of the Kuroshio Current in the adjacent sea of Taiwan propagate to the Korea Strait as forced waves. The wave continuously propagates to the last Sea through the eastern channel, but reflects in the western channel due to bottom topography. The reflected waves propagate southwestward along the last China Sea as free waves and determine the sea level variations with forced waves.

  • PDF

Preliminary results of organic matter origin in the sediments of IODP Expedition 311 (IODP Expedition 311 퇴적물내 유기물의 기원에 대한 예비 결과)

  • Kim, Ji-Hun;Lee, Yeong-Ju;Ryu, Byeong-Jae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6a
    • /
    • pp.528-530
    • /
    • 2007
  • IODP Expedition 311에서 채취한 퇴적물 시료들의 TOC 함량은 대부분 1 %미만이고 육지에서 해안으로 갈수록 높은 함량을 보여준다. TOC/TN비는 4에서 10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 값은 대부분의 유기물들이 육성식물 보다는 조류기원임을 보여준다. 반면에 Rock-Eval 분석 열분석결과는 유기물들이 Type III 의 육성식물 기원임을 지시하고, 대부분의 유기물들이 미성숙단계 (immature stage)에 있음을 보여준다. 유기물 기원에 대한 지화학적 지시자들 사이의 불일치를 해결하기위해 유기물의 탄소동위원소 ($^{13}C_{org}$)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유기물 탄소동위원소 값은 -28.4 $%_o$,에서 -23.0 $%_o$의 범위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유기물들이 식물성 기원보다는 해수 및 담수의 조류가 혼합된 기원이 우세하다는 j것을 지시해준다.

  • PDF

Dissolved Aliphatic Hydrocarbons in the surface waters of Cheju-Korea Straits region (제주-대한해협의 표층해양의 용존 탄화수소)

  • Cho, Ki-Woong;Jung, Kyung-Hwa;Shin, Jung-Hun;Kim, Young-Il;Chung, Chang-Soo;Hong, Gi-Hoon
    • The S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 /
    • v.5 no.4
    • /
    • pp.374-380
    • /
    • 2000
  • Dissolved aliphatic hydrocarbon concentrations in the surface seawater were investigated to describe their distribution and elucidate their sources in the Cheju-Korea Straits region (33$^{\circ}$30‘-34$^{\circ}$N 125$^{\circ}$-128$^{\circ}$E). Seawater sampling was made in spring and autumn in 1998. A large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were observed in the dissolved hydrocarbon concentrations in the region. The sources of dissolved hydrocarbons in seawater were elucidated based on the molecular concentrations of n-alkanes and pristane. Dissolved hydrocarbons in the surface water appears to be largely originated from phytoplankton and petroleum in the southern Yellow Sea (125$^{\circ}$), and terrigenous and petrogenic in the Cheju-Korea Straits region in April 1998. In September 1998, dissolved hydrocarbons in the surface waters were largely derived from phytoplanktons and terrestrial material in the Cheju-Korea Soaits region.

  • PDF

Authigenic Neodymium Isotope Record of Past Ocean Circulation (과거 해수 순환을 지시하는 해수기원 네오디뮴 동위원소 비 기록)

  • Huh, Youngsook;Jang, Kwangchul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 /
    • v.23 no.3
    • /
    • pp.249-259
    • /
    • 2014
  • Proxies for paleo-circulation are drawing much interest with the recognition that ocean circulation plays an important part in the redistribution of heat and climate change on orbital and millennial timescales. In this review, we will introduce how neodymium isotope ratios of the authigenic fraction of marine sediments can be used as a proxy for ocean circulation along with analytical methods and two case studies. The first case study shows how the North Atlantic Deep Water (NADW) has varied over the glacial-interglacial and stadial-interstadial periods. The second case study shows how the freshwater budget and water circulation within the Arctic Ocean can be reconstructed for the last glacial period.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수리지구화학: 해수침투에 대한 예비 고찰

  • 신광섭;윤성택;허철호;이상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2.04a
    • /
    • pp.258-261
    • /
    • 2002
  • 남해 서부 연안 지역 지하수의 해수 침투 영향을 광역적으로 파악하기 위하여, 186개소의 지하수 시료를 random하게 채취하고 수리지구화학 연구를 수행하였다. 전체 시료 중 23.6%에서 500$\mu\textrm{m}$/cm을 초과하는 높은 EC값을 나타내어 상당한 정도의 해수 영향을 반영해 주었다 또한, 해수 영향 판단의 또 다른 파라메터로 사용되는 Cl/HCO$_3$ 몰비 역시 전체 시료의 23%에서 1.3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한편, 대표적으로 해수침투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각각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진 Cl과 NO$_3$의 농도에 관한 누적도수분포도(cumulative frequency curve)를 작성하여 배경수질군과 오염영향군을 구분 짓는 배경치(background concentration)를 구한 결과, 각각 Cl : 22.4 mg/1 및 NO$_3$= 23.4 mg/1로 나타났다. 이 두 파라메터의 농도 분포를 활용하여 샘플링된 지하수 시료를 크게 4개의 그룹으로 나눌 수 있었다. 그 결과, 자연적 또는 인위적 기원이 오염이 배제된 그룹 1은 전체 시료의 32%, 자연적 오염(해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2는 전체의 15%, 인위적 오염의 영향을 반영하는 그룹 3은 전체의 7%, 해수 영향 및 인위적 오염을 동시에 반영하는 그룹 4는 전체의 46%로 나타났다 그룹 4 중 Piper diagram 상에서 Na-Cl 유형으로 점시되어 해수 영향을 강하게 반영하는 일부 시료와 그룹 2의 시료를 합쳐 보면, 전체 지하수 시료의 약 23%에서 해수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여러 지구화학 방법에 의한 해수 영향 판단 결과는 서로 잘 일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지구화학적 파라메터를 종합적으로 활용함으로써, 연안 지역 해수침투의 효과적인 파악은 물론 예측 및 방지, 복구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