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온

Search Result 3,071,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 Study on Weekly Variation of Urban Air Temperature Difference (도시 기온차이의 주간 변동에 관한 연구)

  • Zheng, Hai-Yan;Jin, Ri;Jin, Wen-Cheng;Lee, Kyoo-Seoc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 /
    • v.15 no.4
    • /
    • pp.13-21
    • /
    • 2012
  • 도시화, 산업화로 인해 도시는 그 주변지역보다 기온이 높은 도시열섬 현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인간 활동에 의한 인공폐열 배출량의 증가에 기인한다. 이러한 인간 활동에 의한 도시기온의 변화는 도심과 농촌지역의 차이로 인한 공간적 변이와 아울러 주중과 주간에 기온 차이가 발생하는 시간적 변이를 포함하고 있으나 도시열섬현상의 공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에 비해 시간적 변이에 의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고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도심의 주중과 주말의 기온차이를 다년간 관측을 통하여 주중과 주말의 주간 변동의 특성을 파악하여 도시 기온의 시간적 변이를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시 강남구를 사례로 2007년 10월 31일부터 2010년 12월 11일까지 약 3년간 관측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5개 관측지점 모두 주중(weekday)이 주말보다 $1.6{\sim}1.7^{\circ}C$ 기온이 더 높았으며 이는 주중에 도시 내에서 방출하는 인공폐열의 양이 더 많음을 의미하며 고밀도지역은 냉난방수요가 많아 토지이용에 따라 기온의 차가 크므로 이를 저감시키기 위한 도시 및 조경계획이 필요하다.

Relationship between Meteorological Elements and Yield of Hot Pepper in Yeosu Area of Korea (여수지역 기상 조건이 고추의 수량에 미치는 영향)

  • 권병선;신동영;현규환;신종섭;신정식;김학진;임준택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3.04a
    • /
    • pp.74-78
    • /
    • 2003
  • 작물은 환경의 영향, 특히 기상조건과는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많은 학자들이 기상과 작물의 생육에 대한 연구결과를 보고하였다. (Kwon 등, 1989, 1993, 1994, cho등, 1979, 1984, Lee,등, 1982, Park등, 1975 ; Won등, 1983). 본 실험에서는 여수 지역의 고추수량과 기상과의 관계에 대한 기초 자료뿐만 아니라 1991년부터 2000년 까지의 기상 환경과 고추의 수량관계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월별 기상요인중 5월의 평균기온이 25.0%로 가장 높았고, 최고기온이 7.1%, 최저기온이 8.8%로 각각 높았으며, 8월의 평균기온이 6.6%, 최고기온이 6,2%, 최저기온이 6,9%로 각각 비교적으로 낮아서 변이가 적었다. 2. 생육 및 수량형질의 변이 계수에서 수량은 13.57%로 매우 높아 품종고유의 유전특성의 지배를 적게 받는 반면, 경장은 9.55%로 높아서 어느정도 환경요인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기상요인과 수량 및 수량구성형질 간에서는 5월의 최고기온과 초장, 과장, 과경, 수량간에는 정의상관으로 유의성이 높았으며, 고추의 개화수정기간인 8월의 강수량과 초장, 과장, 수량간에는 부의 상관으로 유의성이 나타나 초기생육기인 5월의 높은기온과 개화기간인 8월의 적은 강수량이 높은 수량을 올릴수 있었다. 4. 수량과 수량형질 간에는 모두 정의상관으로 높게 유의성을 나타내었었다.

  • PDF

Estim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Functions of Air and Water Temperatures in Korean Coastal Seas (우리나라 연안의 기온과 수온 분포함수 추정 및 비교평가)

  • Cho, Hong-Yeon;Jeong, Shin-Tae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8 no.3
    • /
    • pp.171-176
    • /
    • 2016
  • The distribution shapes of air and water temperatures are basic and essential information, which determine the frequency patterns of their occurrence. It is also very useful to understand the changes in long-term air and water temperatures with respect to climate change. The typical distribution shapes of air and water temperatures cannot be well fitted using widely used/accepted normal distributions because their shapes show multimodal distributions. In this study, Gaussian mixture distributions and kernel distributions are suggested as the more suitable models to fit their distribution shapes. Based on the results, the tail shape exhibits different patterns. The tail is long in higher temperature regions of water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in lower temperature regions of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These types of shape comparisons can be useful to identify the patterns of long-term air and water temperature chang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t is nearly impossible to identify change patterns using only mean-temperatures and normal distributions.

기후변화의 위험헷지와 기온파생상품

  • Son, Dong-Hui;Im, Hyeong-Jun;Jeon, Yong-Il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1 no.3
    • /
    • pp.465-491
    • /
    • 2012
  • Climate change, a result of increasing global warming, has been receiving more public attention due to its serious impact upon many industries. In this study we consider sustainable- (Green-) Growth and Green-Finance, and in particular temperature derivatives, as appropriately active responses to the world's significant climate change trends. We characterize the daily average temperatures in Seoul, South Korea with their seasonal properties and cycles of error terms. We form forecasting models and perform Monte Carlo simulations, and find that the risk-neutral values for CDD call-options and HDD put-options have risen since 1960s, which implies that the trend of temperature increase can be quantified in the financial markets. Contrary to the existing models, the Vasicek model with the explicit consideration of cycles in the error terms suggests that the significant option-values for the CDD call -options above certain exercise prices, implying that there is the possibility of explicit hedging against the considerable and stable increase in temperature.

  • PDF

Building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 for Climate-Induced Future Water Temperature Prediction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하천 수온 예측을 위한 비선형 기온-수온 상관관계 구축)

  • Lee, Khil-Ha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 /
    • v.13 no.2
    • /
    • pp.21-38
    • /
    • 2014
  • In response to global warming, the effect of the air temperature on water temperature has been noticed. The change in water temperature in river environment results in the change in water quality and ecosystem, especially Dissolved Oxygen (DO) level, and shifts in aquatic biota. Efforts need to be made to predict future water temperature in order to understand the timing of the projected river temperature. To do this, the data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Korea Meteororlogical Administration has been used to build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 The logistic function that includes four different parameters was selected as a working model and the parameters were optimized using SCE algorithm. Weekly average values were used to remove time scaling effect because the time scale affects maximum and minimum temperature and then river environment. Generally speaking nonlinear logistic model shows better performance in NSC and RMSE and nonlinear logistic function is recommendable to build a relationship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 in Korea. The results will contribute to determine the future policy regarding water quality and ecosystem for the decision-driving organization.

  • PDF

Projection and Analysis of Futur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East Asia Region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 (RCP 기반 동아시아 지역의 미래 기온 및 강수량 변화 분석)

  • Lee, Moon-Hwa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578-578
    • /
    • 2015
  • 동아시아 지역의 대부분은 몬순의 영향으로 인해 수자원의 계절적 변동성이 크며 이로 인해 홍수 및 가뭄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기후변화에 따른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는 수자원의 변동성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며, 수재해 피해를 더욱 가중시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른 동아시아 지역의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를 전망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CMIP5의 핵심실험인 2개 RCP시나리오(RCP4.5, RCP8.5)에 대한 다수의 GCMs 결과를 이용하였다. 구축한 기후시나리오를 이중선형보간법(bilinear interpolation)을 이용하여 공간적으로 상세화하였으며, Delta method를 이용하여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GCM 모의자료의 편의를 산정하기 위해 관측자료는 APHRODITE의 기온 및 강수량 자료를 이용하였다. GCM에 따라 차이가 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평균적으로 100~300mm 정도 과소모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기온 및 강수량 전망을 위해 과거기간은 1976~2005년, 미래기간은 2021~2050년(2040s), 2061~2090년(2070s)으로 구분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RCP 4.5 하에서 연평균기온은 $1.4{\sim}1.7^{\circ}C$(2040s), $2.2{\sim}3.4^{\circ}C$(2070s) 정도 상승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강수량은 4.6~5.3% (2040s), 8.4~10.5% (2070s) 정도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RCP 8.5에서는 연평균 기온은 RCP4.5에 비해 상승폭이 더 컸으며, 강수량은 유사한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동아시아 지역에서도 연평균 기온이 상승하고 연평균 강수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지역별로 계절별 기온 및 강수량이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아시아 지역과 같이 계절별 강수량 발생패턴이 다른 지역에서는 홍수 및 가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따라서 지역적으로 계절별 강수량의 변화를 분석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유출량 모의를 기반으로 홍수 및 가뭄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분석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aily Gas Demand Forecast Using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함수 주성분 분석을 이용한 일별 도시가스 수요 예측)

  • Choi, Yongok;Park, Haeseo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29 no.4
    • /
    • pp.419-442
    • /
    • 2020
  • The majority of the natural gas demand in South Korea is mainly determined by the heating demand. Accordingly, there is a distinct seasonality in which the gas demand increases in winter and decreases in summer. Moreover, the degree of sensitiveness to temperature on gas demand has changed over time. This study firstly introduces changing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TRF) to capture effects of changing seasonality. The temperature effect (TE), estimated by integrating temperature response function with daily temperature density, represents for the amount of gas demand change due to varia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lso, this study presents an innovative way in forecasting daily temperature density by employing functional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daily max/min temperature forecasts for the five big cities in Korea. The forecast errors of the temperature density and gas demand are decreased by 50% and 80% respectively if we use the proposed forecasted density rather than the average daily temperature density.

Evaluation of temperature change by development phase in Gwangju area using the ENVI-met model (ENVI-met 모형을 이용한 광주 지역의 발전 단계별 기온변화 평가)

  • Sungshin Yoon;Munseok Lee;Yumin Kim;Chulsang Y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190-190
    • /
    • 2023
  • 습지, 호수 및 강 등을 포함하는 수체는 증발 및 비교적 높은 열용량을 통하여 주변 기온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효과는 수체의 크기, 형태, 그리고 깊이 등 수체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난다. 대부분의 경우 수체는 주변 기온을 저감시키지만, 특정 경우 반대로 기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불러온다. 아울러, 같은 수체라도 수체 주변 지역의 구조나 형태, 그리고 기후 조건에 따라 그 영향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에 대부분 연구자는 수치해석, 원격탐사 기법, 혹은 관측을 사용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여 경험적으로 수체마다 기온변화 효과를 달리 평가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는 대부분 국외에서 수행되어왔으며, 강, 하천, 그리고 호수 등이 주로 연구되어왔다. 탄소저감 및 높은 기후조절 효과를 가지는 습지는 물을 포함하고 있어, 당연히 수체로 취급될 수 있다. 습지의 다양한 기능 중 기온조절 효과는 습지의 가치 및 중요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드시 연구되어야 한다. 국외의 경우,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관련 연구가 아직 수행되지 않았다. 수체의 기온조절 효과는 수체의 특성, 주변 지형의 특성, 그리고 기후 조건 등에 영향을 받음으로 국외 연구 결과들을 국내 습지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우리나라습지에 대한 평가가 달리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습지의 기온조절 효과를 평가하고자 광주호 습지를 대상으로 ENVI-met 수치해석 모형을 사용하여 그 지역의 여러 가상의 발전시나리오를 구축하고 모의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주호 습지의 기온저감 효과는 약 2km 정도까지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그 규모는 기후 조건 및 주변 지형의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 PDF

Effect of Difference between Soil- and Air-temperatures on Agronomic Characters of a Barley Cultivar Kangbori(Hordeum vulgare L. Emend. Lamark) (기온과 지온의 차이가 강보리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 하용웅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34 no.4
    • /
    • pp.358-363
    • /
    • 1989
  •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t air- and soil-temperatures on the major traits of barley including grain yield. Outdoor growth cabinet and soil temperature equipment were used for this study to control the air- and soil-temperatures during the plant growth. Earlier heading appeared at the higher soil-temperature under same air-temperature, and more stems showed when conbined with 25$^{\circ}C$ of air-temperature and l0$^{\circ}C$ soil-temperature than any treatment. There appeared, however, the longest spike length, awn length, distance from flag-leaf to spike and culm length at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r 15$^{\circ}C$ of soil-temperatures. As far as grain yields are concerned, there showed the highest yield on the condition combined with 20$^{\circ}C$ of air-temperature and 10$^{\circ}C$ of soil-temperature.

  • PDF

Correlation and Hysteresis Analysis between Air and Water Temperatures in the Coastal Zone - Masan Bay (연안해역 기온과 수온의 상관관계 및 이력현상 분석)

  • Cho, Hong-Yeon;Lee, Khil-Ha;Cho, Kyung-Jun;Kim, Jun-Su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3
    • /
    • pp.213-221
    • /
    • 2007
  • In response to anthropogenic global warming due to a buildup greenhouse gas, the effect of the air temperature on water temperature has been noticed and some efforts have been made to build an air/water temperature relationship at the Masan Bay area by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 Fisheries (MOMAF).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uto- and cross-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air/water temperature, high correlation $(\sim0.9)$ is shown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ai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at of water temperature at the lag time less than approximately 10 days. Separate functions are fitted to the air/water relationship at the Masan Bay to take hysteresis into account. The slopes of the straight line for the rising limb are 0.829 and 0.774 for MA1 and MA2 station respectively, while 1.385 and 1.444 ($\sim1.75$ times larger) for the falling limb. Consequently, the seasonal hysteresi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determine an air/water relationship and accurately estimate the water temperature using the air temperature at Masan B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