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여율

Search Result 1,403, Processing Time 0.057 seconds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Economic Growth and Contribution in China (중국경제의 성장요인과 성장요인별 기여도에 관한 실증연구)

  • Kim, Jong-Sup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15 no.2
    • /
    • pp.151-17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impact of production factors on economic growth in China during 1979~2008. In order to grasp the determinant and contribution analysis, we take fixed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and Hausman test to choice model. The results show that the finance variable (rsav) and SOC variable (rsoc)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economic growth in the long run except some models. But unimproved raw labor variable (rlab), physical capital variable (rcap) and education variable (redu) shows strongly positive effect for the same time. We found the meaning of coefficients of growth factors. relative contribution of each input to per-capita growth in China. The direct elative contribution of physical investment to per-capita growth gives 35.9 percent in total model (TMO) and unimproved raw labor contributes only 4.7 percent. In all modes, physical investment (rcap) was the most important contributor of predicted growth in China economy.

The Estimation of the contribution rate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to the Improvement of Marine Water Quality in Mokpo Harbour (목포항 수질개선에 대한 목포하수처리장의 기여율 산정)

  • Kim Kwang-S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4
    • /
    • pp.37-44
    • /
    • 2003
  • In order to evaluate the contribution of MMSTP operation to the improvement of marine water quality of Mokpo harbour and to estimate the change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after the operation of Mokpo Municipal Sewage Treatment Plant (MMSTP), the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ur from land in dry weather were surveyed and estimated on the bases of the seasonal flow rates and the seasonal water qualities of streams and effluents located around Mokpo harbour from summer, 1997 to spring, 1998 before the operation of MMSTP, and the pollution loads of the inflow and the effluent of MMSTP were also surveyed and estimated from winter, 1998 to spring, 1999 after the operation of MMSTP. The treatment rates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49% in COD, 76% in TSS, 79% in VSS, 3% in T-N, 7% in DIP, 29% In T-P and -32% in DIN. The change rates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inner harbour of Mokpo due to the operation of MMSTP were shown to be about 56% in COD, 78% in TSS, 84% in VSS, 45% in DIN, 22% in T-N, 34% in T-P and -14% in DIP The contribution rates of MMSTP operation to the reduction of total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the entire Mokpo harbour were found to be about 3% in COD, 3% in TSS, 5% in VSS, 1% in DIP, 3% in T-P and -1% in DIN.

  • PDF

Numerical Simulation of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from Combined Cycle Power Plants (복합화력발전소 대기오염영향 평가)

  • Kim, Ji-Hyun;Park, Young-Koo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3 no.3
    • /
    • pp.529-539
    • /
    • 2016
  • Modeling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atmospheric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scientifically. Recent development of model computation enabled to simulate more diverse area. As flowing out from the emission source, the concentration profiles of air pollutants could be estimated in three dimensional space. This study used CALPUFF diffusion model to predict the diffusion of discharged NO2 and TSP on the atmosphere near a combined heat power plant and incinerator. It was investigated contribution concentration of the surrounding area by sources by comparing the actual measurement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e modeling. Contribution of emission sources to the local level of NO2 was found quite high particularly at the site, A-3. The estimated results by modelling revealed more significant effect on TSP at A-5.

연안대도시에서 강하먼지 중 수용성 이온의 침적량과 해염입자의 영향

  • 황용식;김유근;박종길;문덕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2.05b
    • /
    • pp.70-74
    • /
    • 2002
  • 해염농축계수는 해양기원인 $Cl^{-}$, $K^{+}$ 그리고 $Mg^{2+}$ 는 1.0 이상이고 10이하의 분포를 보였으나, $Ca^{2+}$${SO_4}^{2-}$는 10 이상의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So_4}^{2-}$는 상업지역, 공단지역, 주거지역 그리고 농업지역 순으로 조사되었다. 지역별 비해염 성분의 기여율은 $F^{-}$, $Ca^{2+}$ , ${So_4}^{2-}$, $K^{+}$, $Cl^{-}$ 그리고 $Mg^{2+}$ 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인위적 기원인 ${SO_4}^{2-}$은 상업지역(97.5%)이 가장 높은 해안지역 (71.5%)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해염입자의 기여율은 겨율 > 여름 > 가을 > 봄의 순으로서 겨울철 (47.4%)이 가장 높고, 봄철 (22.4%)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 PDF

질소 동위원소를 이용한 옹포천 유역의 질산성 질소 오염원 추정

  • 현승규;이용두;김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71-73
    • /
    • 2001
  • W3와 W4는 질산성 질소의 농도가 자연 토양의 농도 범위에 있고 질산성 질소의 기여율도 토양이 각각 찔.8과 75%로 질산성 질소에 의한 오염이 없다고 볼 수 있다. Sl의 경우 토지 이용이 주거지와 상류에 밭 경작지가 있어서 생활 하수와 화학비료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S2와 W6의 경우는 생활 하수와 화학비료의 영향이 48.1%와 48.2%로 거의 유사하게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Wl, W2 그리고 W7은 각각 73.2%, 82.7% 그리고 48.8%의 화학비료의 기여율로 보아 주로 화학비료의 영향을 받고 있다고 사료된다.

  • PDF

Contribution assessment of each pollutant source to total loads using delivery characteristics (오염물질 유달 특성을 이용한 오염원별 기여도 평가)

  • Kim, Chul-Gyum;Kim, Nam-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991-995
    • /
    • 2010
  • 충주댐 유역을 대상으로, SWAT-K 모형의 적용을 통해 신뢰성 있는 장기간의 유량 및 수질모의자료를 기반으로 오염물질의 거동 특성을 파악하는 한편, 각 하천구간내 오염물질의 침식과 퇴적, 생물학적 변환 및 자정작용 등을 고려한 하천구간별 유달율을 산정하였으며, 각 하천구간별 유달 특성을 이용하여 점원 비점원에 의한 배출부하량 및 토지이용별(논 밭 산림) 배출부하량이 유역 하류측 충주댐 지점에서의 총 유달부하량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오염원별 기여도 분석 결과, 전체 유사량의 84%, 총질소의 93%, 총인인 92% 정도가 비점오염원에 의한 영향으로 나타났으며, 토지이용별로는 유사나 총인은 밭의 기여도가 높게 나타난 반면, 총질소는 유역내 면적비중이 큰 산림에 의한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Region-Based Contribution Culling for Uniform Rendering Workload (균일한 렌더링 부하를 위한 영역기반의 기여도 컬링)

  • Lee, Bum-Jong;Yoon, Jong-Hyun;Park, Jong-S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6.10a
    • /
    • pp.148-152
    • /
    • 2006
  • 가상공간의 시각적 렌더링에 있어서 카메라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서 현재 보여지고 있는 장면의 복잡도가 달라지게 된다. 단순한 장면과 복잡한 장면이 혼합되어있는 경우에 렌더링의 프레임율이 크게 달라지게 되어서 사용자의 가상공간의 항해에 대한 카메라 이동 시에 끊김 현상이 느껴지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장면이 복잡도에 크게 의존되지 않으면서 지속적으로 안정된 프레임율을 보장할 수 있는 기여도 컬링 기법을 제시한다. 컬링 기술은 복잡한 장면의 빠른 렌더링을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왔다. 자연스럽고 빠른 렌더링을 위해 본 논문에서는 이미지 공간에서 모든 객체에 대한 바운딩 사각형의 넓이를 빠르게 계산한다. 영상 영역에서의 계산된 넓이가 작은 객체들을 프레임율을 만족시키도록 렌더링 파이프라인에서 제외시킨다. 전체적으로 기여도가 높은 객체들은 최대한 포함시키기 때문에 렌더링의 질을 보장한다. 복잡한 환경에서의 기여도가 작은 많은 객체들을 배제시킴으로써 속도를 향상시킨다. 실제 대도시의 일정 영역에 제안한 기법을 적용하여 본 결과, 복잡한 장면들이 질적인 저하 없이 균일하고 빠른 렌더링을 보장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