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활동

Search Result 3,352,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Strategic CSR, Globalization, and Performance of Korean and Chinese Companies (중국과 한국기업의 전략적 CSR 활동과 기업성과)

  • Byun, Sun-Young;Zhu, Xiaoyan;Li, Tai
    • Korea Trade Review
    • /
    • v.43 no.2
    • /
    • pp.205-227
    • /
    • 2018
  • This study reviews strategic CSR, which recently has become a controversial topic, and examines the implications of strategic CSR activities on corporate performance. For this, three hypotheses were set. First we categorize CSR activities into economic, legal·ethical, philanthropic, and social innovation responsibility, and to verify if these CSR activities have positive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Chinese and Korean companies. Second, we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s of globalization between the CSR activities and corporate performance. In addition, CSR activities were separated into traditional and strategic in order, and to determine whether the strategic activities ha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corporate performance than traditional CSR activities. For this, a total of 646 surveys (401 from China and 245 from Korea) were collectd from MBA students in China and Korea, and the result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 PDF

The Effec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the Formation of Trust: Focusing on the Comparison of Korean-Chinese Consumers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소비자 신뢰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韓)·중(中) 소비자 비교를 중심으로)

  • Park, Jong Chul;Bang, Kwang-Su
    •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 /
    • v.15 no.4
    • /
    • pp.101-121
    • /
    • 2012
  • In this study we postulated that the trust plays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corporate evaluation and product evaluation. In addition, we examined the perception difference to the Korean-Chinese consumers in these relations. A model integrating four types of CSR activities(economic, legal, ethical, and philanthropic), three dimensions of trust(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social benevolence trust), and the corporate evaluation, product evaluation was tested using data of 400 consumer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econom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grity trust,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the Korean consumers. But, in the Chinese consumers, the economic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xpertise trust and benevolence trust. The legal esponsibility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Also, ethic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integrity trust and benevolence trust in the case of Chinese consumers. Finally,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had no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expertise trust in case of both Korean consumers and Chinese consum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corporations to understand the relative importance among the four responsibilities and to make decisions in allocating their resource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Entrepreneurial Activity and Conditions for the Korean Local Government (지역별 창업활동 및 여건분석)

  • Kim, Kong-Soo;Lee, Kook-Y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23-22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17개 광역자치단체(시 도)별 창업활동과 창업여건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지자체별 기업 지원현황, 지역별 중소기업 부도 및 신설법인 현황, 벤처기업 현황, 산업분류별 중소기업 사업체수 현황, 산업시설용지 분양 현황, 지자체별 창업기업 지원현황 등을 이용하여 지역별 창업여건지수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광역지자체별로 창업여건과 창업활동의 영향력 관계를 살펴보았는데, 지자체 창업여건 및 환경에 따라 창업활동이 영향을 받고 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지역내 창업활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중소기업이 영업활동을 수행하기 좋은 여건을 마련하고 제공해야 함으로 의미하는 것으로, 지역별 창업여건 차이가 향후 지역내 창업예비자들의 창업활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은 향후 지자체의 창업지원정책에 있어 기업하기 좋은 환경과 여건을 마련해주어야 한다는 실무적인 시사점을 보여 주었다.

  • PDF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Win-Win Growth Activity on Management Performance (동반성장 활동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 Shin, Young-Mi;Lee, Chan-Ho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6 no.7
    • /
    • pp.71-78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win-win growth activity of domestic large firms on their management performance. we classified the management performance into four factors such as ROE(Return On Equity), ROA(Return On Assets), net income to net sales and operating income to sales. The finding of this study is outlined as follows. This paper show that the win-win growth activity has a negative impact on the firms' management performance. This study shows that win-win growth activity could generate additional costs of business activity. So, we think that industrial policy is needed for expansion of win-win growth activity.

사회화 경험과 여성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개인 및 맥락 효과: 성별 및 사회안전성의 삼원조절효과

  • Gong, Hye-Wo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239-251
    • /
    • 2018
  • 최근 들어 기업가적 활동을 촉진하는 데 있어 무엇보다도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사회화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맥락적 차이 규명에 초점을 두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 효과와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에 대해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화경험(창업경험,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고,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의 조절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사회화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가 사회안전망과 같은 국가 맥락적 차이가 존재하는지에 대해 삼원상호작용 분석을 통해 검증한다. 상기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재)한국청년기업가정신재단에서 제공한 글로벌 기업가정신 추세 리포트(GETR) 자료를 활용하였다. GETR자료는 한국을 포함한 총 20개국(한국, 일본, 중국, 인도네시아, 인도, 싱가포르, 런던, 독일, 러시아, 덴마크, 핀란드, 영국, UAE, 이스라엘, 남아공, 터키, 이집트, 미국, 브라질, 칠레, 호주)을 대상으로 국가별 최소 2,000명을 표본으로 선정해 설문조사가 이루어진 자료이며, 유효 응답자 기준 총 40,388명이 설문에 응답하였다. 그러나 자료 검증과정에서 전체 응답자 중 2,506명이 불성실 응답자 및 이상치로 확인되어 최종 분석과정에서 삭제되었다. 따라서 37,882개의 표본이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으며, 여성 17,997명 (47.5%), 남성 19,885명(52.5%)으로 확인되었다. 분석 도구는 Hayes의 Process를 활용하여 사회화 및 교육, 성별, 성별 격차의 삼원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다. 분석 결과, 첫째, 창업경험 및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은 기업가 활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이들 관계에 대한 성별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성별 조절효과는 기업가정신 교육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관계에 대해서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경험이 기업가 활동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안전망의 삼원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창업경험과 기업가 활동의도의 긍정적 관계는 여성이 남성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효과는 사회안전망이 높은 집단에서 더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여성은 사회안전망이 높다고 인식할 경우 과거 창업경험이 있는 남성보다 기업가 활동의도가 더 많이 증가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논의는 본문에 제시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Image: Focusing on Dimension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기업의 환경적 책임활동이 기업이미지에 미치는 효과: 환경적 책임활동 차원을 중심으로)

  • Park, Jong-Chul;Mool, Prashant;Hong, Sung-Jun
    • Journal of Korea Society of Industrial Information Systems
    • /
    • v.19 no.5
    • /
    • pp.91-102
    • /
    • 2014
  • Different from the past studies, in this study we postulates that the consumers' trust play an essential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dimensions (eco-friendly manufacturing, eco-friendly campaign)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corporate image. Trust is conceptualized into three different forms: expertise-based trust, benevolence-based trust, and honesty-based trust. A model integrating two dimension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three forms of trust, and the corporate image is tested using data of 374 student and general consumers. The results of data analysis show that the eco-friendly manufacturing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expert-based trust and the eco-friendly campaign positively influences on the benevolence-based trust. The Effects of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Image: Focusing on Dimension of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However, eco-friendly manufacturing, eco-friendly campaig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not on the honesty-based trust. Finally,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expert-based trust, the benevolence-based trust, and honesty-based trust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corporate image. Thus,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trust indeed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corporate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and the corporate image.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조직몰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Chu, Jeong-Wan;Heo, Cheol-Mu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11a
    • /
    • pp.115-118
    • /
    • 2020
  •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으며,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사회적 책임 활동은 선택이 아닌 필수적인 요소가 되어 가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의 이미지, 고객만족 및 재방문 등 기업의 성과와 관련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에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원들의 내부 고객인 직원들의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직원들의 직무만족을 증진하고, 증진된 직무만족이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인과적 경로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적 책임활동과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을 조절 변수로 설정하여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 PDF

The Effect of Corporation Cultural Support Activities in Customer Loyalty : Focus on Mediating Role of Corporate Image (기업의 문화지원 활동이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기업이미지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 Hwang, Rak-Gun
    • Journal of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 /
    • v.13 no.8
    • /
    • pp.41-54
    • /
    • 2019
  • Today, companies are supporting filed of culture and art forms as part of its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to cultural support. Also, improvement of commercial interests and profit structure for enhancing the image of support taking shape at the same time, such as a strategic approach. Culture of companies in building confidence and enhance its operational activity is the image of the positive effect that charitable point of view social contribution projects and strategic point of view of culture support activity. Therefore, corporate culture in the study formed in supporting a variety of factors recognized the importance, culture support for business activity is the image of the factors which are behavior,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corporate contributions to analyze the impact. Then the company's corporate image formed by supporting a culture and see if any influence on customer loyalty to carry out an empirical study.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corporate culture support activity is affecting contributions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ons and behavior of the corporate image, and image formed to consumers has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Second, corporate image formed by supporting a culture wac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 loyalty.

The Policy of Industry-University Network Building and the Firm Networking: A Focus on the Daegu-Gyeongbuk Region (정부의 산.학.연 네트워크 형성 정책과 기업의 네트워킹 활동 -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

  • Choi, Kyung-Hee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15 no.3
    • /
    • pp.404-423
    • /
    • 2012
  •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the impact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rms on firm's networking. We develop a framework theorizing firm's networking according to sales, size, research facility, the percentage of R&D staff to total employees, the percentage of R&D investment to total sales, the number of the certification, the intention of attending seminars,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subsidy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research capacity, openness to a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 the experience of participating in the government subsidy program are significant in determining the firm's networking. The government needs to encourage the firms to improve their research capacity, and to train the coordinators to help the firms get higher openness to a variety of information source, use the government subsidy program.

  • PDF

서비스 기업의 연구개발 활동에 관한 연구

  • Lee, Yeon-Hui;Lee, Hye-Jin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489-518
    • /
    • 2009
  • 선진국의 경제구조가 서비스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고부가가치를 낼 수 있는 지식기반 (Knowledge-based) 또는 기술기반 (Technology-based)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서비스 기업들간의 경쟁도 매우 치열해지고 있다. 서비스 기업들은 보다 차별화 된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미래의 핵심역량을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으나 제조기업과는 달리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들에게 연구개발 (Research and Development, R&D)이라는 개념은 매우 생소한 상태이다. 최근 유럽을 중심으로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에 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서비스기업의 특성을 포괄하는 연구개발에 대한 정의를 내리는 수준에 머물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정부에서도 서비스 연구개발에 관한 정책입안을 위해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바, 서비스기업에서의 연구개발에 대한 정의, 조직, 예산, 활동영역, 산출물 및 이에 따른 정책적 지원 등에 관한 학계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을 도출하고 연구개발투자와 기업성과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연구개발 투자규모를 도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 때 서비스기업의 연구개발활동이라 함은 연구개발 대상, 수행조직, 연구개발의 중요성이 포함된다. 또한 연구개발투자와 1-2년 후의 매출 및 순이익의 변화를 분석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기술기반 서비스를 대표하는 국내 IT서비스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양한 통계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대부분의 서비스 기업 응답자가 연구개발의 중요성을 크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마다 부서별 또는 중앙 연구개발센터를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연구개발투자가 기업성과로 연계되기 위해서는 최고경영자의 관심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지적되었다. 가장 효과적인 연구개발 투자규모는 매출액 대비 15-19%인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벤처기업의 특성을 갖는 중소 IT서비스 기업들의 참여가 많았기 때문일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이 미래준비를 위한 활동을 전개함에 있어 고려해야 할 주요 요인들을 제시해 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