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재난관리표준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 Study on Directions to Unify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and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 through Improvement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활동계획의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 Cho, Jong-ye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85-1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세우는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있는 "재해경감활동계획"에 대한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대한 개정안의 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미비점들을 도출하고, 해당 미비점을 바탕으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목차에 대한 사전적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Legal Character and System Improvement Methods of Enterprises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기업 재난관리 표준의 법적성격과 제도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Rhee, Sang-Soo;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11a
    • /
    • pp.329-330
    • /
    • 2017
  • 재난은 인류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하게 발생되어왔다. 최근 21세기 들어 발생하는 재난은 그 현상이 더욱 다양하고 복잡하며 그 피해의 정도가 대규모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졌다. 태풍, 집중호우, 강풍, 폭설, 지진, 황사 등의 자연재난은 지구온난화현상으로 국내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고 있으며, 화재, 구축물의 붕괴, 지하철사고, 테러 및 감염병 등의 사회 재난도 더욱더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나아가 사스, 메르스, 지카 바이러스 및 대형 테러 등 전 세계적 차원의 사회 재난의 발생 또한 급증하고 있다. 이와 같이 현대사회에서 발생하는 재난는 개인이나 국가의 정책만으로 예방하고 관리할 수 없는 특성이 있다. 따라서, 자본주의 경제의 한축을 이루고 있는 기업의 재난을 관리하여 연속성을 확보하고 더나아가 리질리언스(Resilence)를 보장하기 위한 일환으로 2007년 7월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기업재해경감법 이라함.)이 공포된 지 약 10여년이 경과하였다. 이는 법 제도화를 통하여 기업의 재해경감활동을 지원하기 취지에서 출발한 것 이다. 그 후 현재 까지 어느 정도의 발전이 있었지만 경과 년 수에 비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후 그 기업들이 좀 더 원활하게 재해경감활동을 위한 계획을 수립, 실행, 검토 및 유지하기 위한 지침으로서 기업재난관리표준을 2010년 4월 2일 제정하였고 이후 재해경감활동 수립계획을 제정하여 시행하기에 이르렀다. 또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은 제정된 이후 2013년 12월 9일 전면 개정작업을 통해 경영관리 프로세스 모델(Plan-Do-Check-Act)이 적용된 관리체계를 접목시키고 용어정의를 국제표준과 일치시켜 기업재해경감활동 상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현 정부에서는 주무부처가 바뀌고 조직이 변화되어 행정안전부고시 제2017-1호(2017.07.26.일)로 개정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업재난관리표준과 연관된 제반 법령 및 규정 등에 대한 법적성격 과 지위를 규명하고,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관련분야 적용 시 문제점 및 바람직한 제도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Supplier Management Research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Prevention of Major Disasters (재해경감활동과 중대재해예방을 위한 공급자 관리 연구)

  • Kim, Sang-D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1-72
    • /
    • 2022
  • 본 연구는 발주기관과 사내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연계성 강화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에 정하고 있는 공급자 전략에 대한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발주기관과 공급자의 적용사례를 검토 분석하여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절차를 도출한다. 기업재난관리표준의 요구사항인 공급자 전략에 대하여 명확히 정의하고, 연계성 강화를 위해서 발주기관과 공급자가 적용하는 절차와 그 절차에 의하여 산출된 결과물을 공유하는 표준화된 절차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연구하였다. 공급자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립 절차중 중요한 절차의 연계성 강화를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제안된 내용과 절차를 기업재난관리표준과 관련 규범에 반영할 것을 제시한다

  • PDF

A study on the legal status and problem improvement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법적성격과 문제점 개선에 관한 연구)

  • Rhee, Sangsoo;Jung, Uiyun;Park, Jeonghun;Cheung, Chong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4 no.2
    • /
    • pp.115-121
    • /
    • 2018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legal status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established as part of 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and to ensure resilience, and to improve the problem of application of industry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related industries. Method: We collected relevant data for the study and conducted a literature review on the logistical definition of laws and academic systems such as constitution and enterprise disaster reduction law, and HLS structure. Result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in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re higher in the legal status than the ISO 22301: 2012 international standard.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development direction of application and related regulations by clarifying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ccording to the enterprise disaster reduction law.

A Proposal of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for Strengthening Disaster Prevention Activities (재난 예방활동 강화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모델 제안)

  • Kim, Sang Duk;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5 no.4
    • /
    • pp.502-51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procedure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plan for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and the system for the management of disaster mitigation activities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Method: The requirements,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defined within the scope of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operational cases of 'A' institution were reviewed, and the targets of continuous planning were reviewed to meet the requirements. Result: It was reviewed that the contents and procedures of each phase of disaster management, which is a requirement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re clearly defined, and a task continuity plan is established for each stage of activity. Conclusion: Conclusion : The PDCA model including the activities of each stage of disaster management activities was presented for the requirements of the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he disaster mitigation activity management system model of the broad concept of disaster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and preparedness plans for disasters was presented.

Introduction of the STPA Mechanism to Derivation of Risk Scenarios for Establishment of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s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에 위험 시나리오 도출을 위한 STPA기법 도입)

  • Kim, Sang Duk;Lee, Seok Hyung;Kim, Chang S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6 no.4
    • /
    • pp.784-795
    • /
    • 2020
  • Purpose: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risk assessment procedures specified in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Method: The requirements for each stage of risk assessment stipulated in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were identified, the case of application of the organization'A' and the partner companies were reviewed, and the risk assessment procedure in line with the requirements was reviewed. Result: It was reviewed that it was necessary to clearly define the method and procedure for deriving risk scenarios, which are the requirements of the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and to introduce a standardized procedure for deriving risk scenarios. Conclusion: A method of deriving risk scenarios was implemented by applying the STPA technique based on the system theory for power generation fuel supply and demand, and it was suggested that the STPA technique be reflected in corporat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s as a risk scenario derivation technique for the establishment of a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he Survey on the Preparation Status of Business Continuity(Mature Level) (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효과성 고찰)

  • Ya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73-74
    • /
    • 2022
  • 본 논문은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 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의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따라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수립함에 있어 최초 단계인 재해경감활동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함이 목적이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재해경감활동의 도입 수준이 결정된다. 그러나 현재 수행되는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문항은 문항 간의 중요도를 고려하지 않아 결과에 대한 신뢰성 및 변별력 저하,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수행 단계별 차별성이 고려되지 않은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기업 'K사'의 준비상태(성숙도) 조사의 사례에 대해 기존 결과와 조사 문항의 가중치를 반영한 결과의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문항 간 변별력 부재로 인한 결과의 신뢰성 부족과 그로 인한 준비상태(성숙도) 조사 대상자의 동일 응답 가능성을 배재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ning Framework - Focusing on High Level Structure - (기능연속성계획 프레임워크 개선 방안 연구 - HLS 기반 중심으로 -)

  • Lee, Young-Jun;Kim, Jae-Hak;Lee, Mi-Sun;Cheung Cho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263-264
    • /
    • 2022
  • 2010년부터「기업재해경감법」에 따라 기업재난관리표준으로 기업재해경감 우수기업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하지만 「기업재해경감법」이 자율로 되어 있어 민간기업 스스로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실행하는 문화가 정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처럼 새로운 제도 시행을 하기 전 공공분야에 적용하여 효과성이 검증되면 민간으로 확대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기능연속성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의무화가 되지 않은 민간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기수립 되어 있는 기능연속성계획의 성숙도 측정이 어렵고 평가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후속 정책 지원을 위하여 HLS 기반의 프레임워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an Effective Countermeasure for Certification of Development of Disaster Management International Standards - Focus on ISO 22301 and Top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in the Reduction Law - (재난관리 국제표준 개발에 대한 인증의 효율적인 대응 방안에 관한 연구 - ISO 22301과 경감법의 우수기업인증제도를 중심으로 -)

  • Cheung, Chong S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5 no.1
    • /
    • pp.49-56
    • /
    • 2012
  • As ISO22301 (Societal security-Business continuity management systems-Requirements) related to BCM (BCP) was established in May 2012, KS A ISO22301 (National Standards) will be enacted at the end of the year. Foreign certification agencies at home and abroad are expanding their business, accordingly. And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a trade barrier such as a demand for compliance with the Standards in the trade between companies. Hence I am trying to find the countermeasures of domestic companies and ways to invigorate Top Company Certification System in the reduction law (The Legislative bill on the support of voluntary activities of enterprises for disaster reduction).

기업 사이버재난 관리를 위한 재해경감활동계획 수립

  • Lee, Young-Jai;Lee, Sung-Joong
    • Review of KIISC
    • /
    • v.20 no.4
    • /
    • pp.42-51
    • /
    • 2010
  • Government legislates a private sector preparedness act related to disasters such as natural, technological, and social ones. According to the law, it announces new standard for private sector preparedness. This paper illustrates a mitigation action plan based on the standard in terms of a cyber disaster. This plan includes organization, policy, assessment, impact analysis, strategy, plan, action, evaluation, and feedback. It will also help for business to mitigate a cyber disaster. Private sector accreditation and certification preparedness program which introduces on the law is the realization that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will be expected as a great tipping-poi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