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업가인식

Search Result 142, Processing Time 0.02 seconds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되에 미치는 영향

  • Lee, Chae-Won;O, Hye-M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7.11a
    • /
    • pp.117-123
    • /
    • 2017
  • 본 연구는 '의도(Intention)는 행동을 예측할 수 있다'는 사회 심리학자들의 연구에 근간을 두고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동안 기업가적 의도(Entrepreneurial Intention)에 대한 많은 연구들에서 Ajzen의 계획된 행동이론(Theory of Planned Behavior: TPB)과 Shapero의 기업가정신행동모델(Shapero's Model of the Entrepreneurial Event: SEE)에 근간하여 이루어졌다. 이러한 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가정신 맥락에서 사회적 공감(Compassion), 도덕적 의무감(Moral Obligation),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Perceived Social Support)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자발적으로 사회적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정신 과목 수강을 선택한 대학생 27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귀분석을 통해 가설검증을 하였다. 공감능력(인지적 공감, 정서적 공감, 사회문제 공감)과 주관적 규범으로의 도덕적 의무감은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영향을 미치며, 외부 환경에 대한 인식 즉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의 정도에 따라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의 사회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규명하는 연구들이 주로 기존 기업가정신 연구에서 사용된 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정신의 특성을 잘 설명하지 못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의도(Intention)에 영향요소임을 밝힘으로써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 연구 분야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를 파악하는데 있어서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 PDF

The effect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 인지역량과 사회적 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Su Jin;Kim, Jong Sung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4.04a
    • /
    • pp.103-110
    • /
    • 2024
  •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positive impact of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on entrepreneurial intention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 serve as mediating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ositively influenced entrepreneurial intentions,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 Moreover, it was found that higher levels of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led to higher entrepreneurial intentions. Additionally, it was demonstrated that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of entrepreneurs had paralle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foundations for research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s, which have been relatively underexplored. Furthermore, by identifying cognitive competency and social awareness as mediating variables, this study opens avenues for academic expansion. Finally,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serve as practical groundwork related to individual entrepreneurial orientation.

  • PDF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부모의 인식전환을 위한 기업가정신 역량 도출

  • Lee, U-Jin;O, Hye-Mi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8.11a
    • /
    • pp.57-61
    • /
    • 2018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 들어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변동성의 상시화로 세계 경제가 급변하면서, 기업가정신 교육의 중요성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최근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확산되었다. 지속가능한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시대의 변화와 함께 부모들의 인식과 태도도 함께 변화해야 한다. 부모는 새로운 지식과 그 시대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자녀관을 형성해야 하며, 사회 전반적인 변화에 따른 학교에서의 기업가정신 교육이 가정에서도 일관성 있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부모교육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교육을 통해 부모의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한 역량 도출하기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전문가와 청소년 교육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패널들을 대상으로 3회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 부모 인식 전환을 위해 필요한 최종 8가지 역량(환경의 변화, 도전정신, 주체성/자울성, 창업에 대한 이해, 직업의 다양성, 기업가정신에 대한 이해, 개인의 다양성, 팀/협업에 대한 가치)을 도출하였다. 향후 후속 연구를 통해 도출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부모 기업가정신 교육 모델 및 프로그램을 설계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Perceived Government Support and Small and Medium-sized Ventures Performance: The Mediating Role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중소벤처기업 정책지원의 인식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기업가 끈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Kim, Young Jin;Yang, Dong Woo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8 no.6
    • /
    • pp.105-116
    • /
    • 2023
  • While there have been studies on the impact of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on the performance of these enterprises, there is limited research on how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such policies affect business performance. Additionally, there is scarce domestic research on the role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in achieving and sustaining entrepreneurial goals and its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policy support affect business performance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shedding light on the significance of perceptions and deepening the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This study utilizes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support for South Korean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and entrepreneurship as independent variables, with entrepreneurial persistence as a mediating variable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businesses as the dependent variable. Data was collected through surveys targeting founders, CEOs, and executives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After excluding incomplete responses, a total of 205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hypothesis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was verified that the perception of SME polic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t was verified that entrepreneurial persistence partial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SME policy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wofold. First, it highlights th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f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policy support on the non-financial performance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This contributes to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by demonstrating that entrepreneurs' perceptions play a role in affecting business performance, in contrast to previous research that focused on the impact of policy financial support on business performance. Second, this study extends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entrepreneurial persistence, a relatively understudied concept in domestic research, by demonstrating its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government support and,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performance. Practically, the study suggests that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small and venture enterprises, the government should not only expand policy support but also seek ways to increase entrepreneurs' perceptions of such support.

  • PDF

A Study on Mediating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Satisfaction betwee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 Focusing on the Founding Bizcool Startup Camp Program - (기업가정신과 진로인식간의 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매개효과 연구 - 창업영재캠프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 No, Hyun-Churl;Kim, Kyoung-Jae
    • Management & Information Systems Review
    • /
    • v.36 no.3
    • /
    • pp.51-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and effectiveness of youth entrepreneurship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level and career change perceptions, And suggested ways of mutual cooperation and cooperation for activa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The research hypothesis is the effect of entrepreneurship on career recognition,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awareness, and the difference in entrepreneurship chang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First, all factors such as innovativeness, risk sensitivity, entrepreneurship, autonomy, achievement desire, etc., Which are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have positive influence on career recogni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gram satisfaction on entrepreneurship and career recognition has positive effects on innovativeness, enthusiasm, autonomy and achievement desire. However, the risk sensitivity was not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change before and after entrepreneurship education, all components of entrepreneurship were analyzed as positive (+). Considering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method and cont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focus on student participation and experience. Second, it is necessary to coordinate and manage entrepreneurship education councils in government ministries with various stakeholders. Third, it is expected that future-oriented education will be possible if software educati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areer education are integrated and operated in preparation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PDF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은 청소년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을까?: 4가지 영역에 대한 교육효과성 검증

  • 김종성;김도현;이우진;김수진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3.04a
    • /
    • pp.89-92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효과성검증에 관련한 선행 연구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4가지 변인(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이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는지 탐색적으로 분석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101명을 대상으로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인식 요소를 교육 사전-사후로 나누어 대응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 2020년 및 2021년 JA Korea-삼성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에 참가한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 메타인지, 진로정체성, 기업가징신 요소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이는 향후 청소년기업가정신교육 연구에 있어 교육대상자의 역량 변화와 성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다양한 요소 간의 관계 분석을 하는데 있어 기반이 되는 연구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Potential Entrepreneurships in South Korea and China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 비교 연구)

  • Ahn, Jinwon;Yoo, Daeh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6.04a
    • /
    • pp.221-223
    • /
    • 2016
  • 동아시아 경제권의 국가들 중에서도 한국과 중국의 잠재적 기업가정신을 측정하고 양국 잠재적 기업가정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화적 요인에 대해 비교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적 기업가라고 여길 수 있는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210명의 한국 대학생들과 157명의 중국 대학생들이 본 설문에 응하였다. 설문은 크게 두 가지 영역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한 질문과 개인의 기업가적 성향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 요인들을 측정하는 질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개인의 기업가적 지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자기통제력(Locus of Control)과 혁신성(Innovativeness)을 묻는 세부 질문을 만들었고, 문화적 요인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학생들이 느끼는 경제적자유(Economic Freedom), 개인주의(Individualism) 그리고 불확실성 회피성(Uncertatinty Avoidance)의 정도를 묻는 질문을 만들어 설문을 실시하였다. 첫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의 대학생들이 경제적 자유, 개인주의,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한다'이며, 두 번째 연구가설은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고 더 개인주의적인 문화에서 기업가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나며 확실성 회피성이 높을수록 기업가적 성향은 더 낮게 나타난다, 세 번째 연구가설은 '한국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지향성 정도가 중국 대학생들의 그것보다 더 높다'이다. 설문조사는 가설과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 보다 자국의 문화에 대해 더 경제적 자유가 보장되며 개인주의적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불확실성 회피성에 있어서는 가설과 동일하게 중국 대학생들보다 한국의 대학생들이 자국에 대해 불확실성 회피성이 더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양국의 대학생들은 기업가정신 형성에 있어서 각각 다른 문화적 변수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한국의 대학생들은 경제적 자유의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중국의 대학생들은 불확실성 회피성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가설과 달리 기업가적 지향성은 중국의 대학생들이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더 높은 수치를 보인다. 혁신성에 있어서는 양국 대학생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기 어려웠으나 내재적 통제력에 있어서 중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대학생들보다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 PDF

대학 창업교육과정 만족도가 기업가적 기민성, 기회인식,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교육과정특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Han, Won-Hui;HwangBo, Yun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0.06a
    • /
    • pp.75-84
    • /
    • 2020
  • 2010년 이후 정부는 일자리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창업활성화를 국정과제로 내세우고 있다. 새로운 기회와 가치창출을 통한 창업활성화를 위해 창업의지는 필수적인 요소지만 창업의지를 높이기 위한 방법론 적에 대하여는 많은 연구들의 견해가 엇갈리고 있다. 본 연구는 창업활성화의 첫걸음으로 창업의지를 꼽았으며 창업의지를 가지기위한 선행조건으로 기업가적 기민성·기회인식 역량을 갖추어야 하며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현재 중점 추진되고 있는 정부주도의 대학 창업교육과정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창업교육과정별(교과과정 VS 비교과과정) 비교를 통해 향후 나아가야 할 창업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연구와 이를 토대로 한 실증연구 결과는 대학 창업교육과정이 창업에 필수적인 창업의지를 키우기 위한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 역량을 증대 및 영향을 끼치는 것을 시사하며 교육 만족도에 따라 그 효과는 변화된다는 것을 보여 준다. 또한, 창업교과과정(학점) 보단 창업비교과과정이(비학점) 창업의지에 더욱 영향을 끼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대학창업교육과정이 기업가적 기민성과 기회인식의 역량을 증대 시킬 수 있는 창업교육으로 커리큘럼을 수립해야 할 것이며 이론과정 보단 실습 위주의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을 보여준다.

  • PDF

An Effect of Compassion, Moral Obligation on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Examining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미치는 영향)

  • Lee, Chaewon;Oh, Hyemi
    •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 /
    • v.12 no.5
    • /
    • pp.127-139
    • /
    • 2017
  • In recent 10 years the attention to social entrepreneurship has raised increasing among scholars, public sector, and community development. However les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how social entrepreneurship intention create a social enterprise and what factors can be affected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This paper aims at contributing to identify the antecedents of entrepreneurial behavior and intentions. Especially, we have had a strong interests in compassion factors which haven't been used as important variables to encourage for people to do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Also, we try to find the moral obligation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as antecedents of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s. Finding show that compassion and moral obligation affect to the social entrepreneurial intention. Especially this study identify the external factor of society with the variable, perceived social support. Once individuals recognize that the infrastructure and societal positive mood on social entrepreneurship is friendly to social entrepreneurship, people have a tendency to try to do som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Only few empirical studies exist in this research domain. A study of more than 271 Korean college students has studied which personal traits predict certain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repreneurs (such as having social vision or looking for social innovational opportunities). In addition to those antecedents, students experience is the critical factor that enabled continued expansion of the social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 how we can nurture social entrepreneurs and how we can develop the social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entrepreneurship.

  • PDF

Subjective Recognition Typ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Comparison to the European Union and OECD - Using Q methodology - (유럽연합과 OECD의 기업가정신교육 비교를 통한 한국 기업가정신교육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 Q방법론을 사용하여 -)

  • Do, Hyewon;Kim, Kyong-hwan
    •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 /
    • v.22 no.1
    • /
    • pp.188-211
    • /
    • 2018
  •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which equate entrepreneurship with startups, unlike the global trend of approaching entrepreneurship with a broad concept. On the basis of overseas cases such as European Union and OECD, this study derived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inking and behavioral patterns. In addition, Q methodology was used to reason out various recognition patterns and approach solutions for problem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such as awareness of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concepts separate from start-ups, reasons for infertility, and why it is difficult to activate. This approach was conducted for educators and educatees that carries ou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In conclusion, there were four typ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bout the differe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startup education, and three types were recognized for the need to differentiate entrepreneurship education from startup education, and the two types that made up the upper majority strongly supported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to be implemented individually. According to the conclusion, this study proposed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common teaching materials made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Ministry of SMEs and Startups, which is the competent Ministry, to train professional teachers, training methods, and continuous refresher education. It also proposed that there should be a social atmosphere for eliminating rejection of entrepreneurship not only among the youth but also the adult population, and for continuous awareness of concepts that can be applied within the organization and the community, and that a policy basis is required to do 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