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 요소

Search Result 12,617, Processing Time 0.048 seconds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Special Format Archives (특수형태 기록물 관리를 위한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Park Jin-Hee;Lee Too-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39 no.1
    • /
    • pp.241-263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scription element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the special format archives. In this study, the existing description rules for data elements including that of both general archives and special format archives were analyzed in order to extract the core description elements for special format archives. The result of the study proposed overall description elements in accordance of the basic formats of ISAD(G).

인트라넷 시스템의 요소기술 및 응용사례

  • Lee, Taek-Gyeong
    • 정보화사회
    • /
    • s.115
    • /
    • pp.36-41
    • /
    • 1997
  • 현재 인트라넷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기술들은 다양한 기술들이 존재하며, 또한 나날이 발전하고 있다. 본 글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요소기술들을 살펴보고, 인트라넷 시스템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본다.

  • PDF

Critical Technology Element for Development of Smart Compensation System in Public Sector (공익사업 손실보상체계 스마트화를 위한 핵심기술요소 도출)

  • Seo, Myoung-B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7a
    • /
    • pp.329-331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도로, 하천건설, 댐건설 등 공익사업 중에 발생하는 보상업무와 관련하여 보상민원을 감소시키고 투명한 보상체계 수립을 위해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한 선진화된 보상체계 개발에 필요한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핵심요소 기술도출을 위해 전문가 설문 및 면담 등을 통해 18개의 후보군을 도출하였으며 6개의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12개의 핵심요소기술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내용으로는 보상민원을 줄일 수 있는 다양한 의사결정 및 사전검토 기술, 보상물건 측정 및 계측 자동화 기술, 클라우드 기반의 표준화된 보상자료 관리시스템 개발, 보상 민원 처리 및 공개기술 등이 포함되었다. 본 논문에서 도출된 핵심요소기술을 기반으로 보상업무 체계를 개편할 경우 보상업무 스마트화 및 첨단화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통합된 FPGA 개발 방법 및 환경

  • 조한진;엄낙웅
    • The Magazine of the IEIE
    • /
    • v.23 no.11
    • /
    • pp.23-33
    • /
    • 1996
  • 본 논문은 원판과 전용 CAD 틀로 구성되는 FPGA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서로 다른 요소 기술들의 관계와 이들 요소 기술들과 시스템성능의 관계를 모델하여 시스템 사양을 만족하기 위하여 가장 효율적인 방법을 찾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개발된 시스템을 예로 하여 FPGA시스템 개발에서 고려해야 할 점들을 고찰하였다. 새로운 FPGA 시스템의 개발 순서는 먼저 개발할 FPGA의 응용 분야를 결정하고, 그 응용 분야에 필요한 시스템 사양에 맞게 개발한 요소 기술들과 그 기술들의 범위를 정한다. 개발 흐름도를 이용하여 이 요소 기술들의 연관 관계를 수직적으로는 시스템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하고 수평적으로는 요소 기술간의 서로 미치는 영향을 모델링 하여 시스템 사양을 만족하기 위한 최적의 해를 구한다. 이때 최종적인 FPGA 시스템을 평가하고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을 결정한다. 요소 기술들이 개발 됨에 따라 좀 더 구체적이고 정확한 모델에 의해 전체 시스템의 성능은 평가되고 검증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과 환경은 FPGA 시스템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개발할 수 있게 한다.

  • PDF

Development Trend of Element Technology for Shipboard LED Light Production (선박용 LED 조명등 제작을 위한 요소기술 개발동향)

  • Nam, Dae-Geun;Lee, Su-Hyung;Jung, Chang-Il;Yoon, Hyung-Pyo;Jo, Hyung-Ho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11a
    • /
    • pp.164.1-164.1
    • /
    • 2010
  • 최근 에너지 절감과 환경 문제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LED에 대한 관심이 대두되고 있으며, 국가 저탄소 녹색성장에 맞는 신성장동력산업의 하나로 LED가 선정되어 적극적으로 육성되고 있다. LED를 활용한 조명등은 현재까지 활발한 연구개발이 진행되었으며 백열전구를 능가하는 조명 효율을 확보하여 조명 광원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선박용 조명등의 경우에는 아직 관련 기술개발이 초기단계에 머물러있어 대부분의 선박들이 기존의 백열등 및 형광등과 같은 조명등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유리 조명등은 고소비전력과 제한된 수명에 따른 높은 유지비 및 제품 누수나 파손 등과 같은 안전성의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장기적인 관점에서 선박용 LED 조명 등에 대한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이며 기술 개발을 저해하는 요소인 방열, 가격 등에 대한 추가적인 기술개발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생산기술연구원에서는 부산광역시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선박용 LED 조명등을 개발하고 있으며,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선박용 LED 조명등의 요소기술에 대한 연구동향과 기술특성을 분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서 요구되는 요소기술에 대한 기술개발동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고효율의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에 필요한 요소기술로는 방열, SMPS, 광학, 제품 내진동, 제품 방수 등의 설계 및 제작기술이 있다. 이러한 요소기술을 알아보고 선박용 LED 조명등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Korean data elements for archival description (한국기록물 기술요소에 관한 연구)

  • Park, Jin-Hee;Lee, Too-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4.08a
    • /
    • pp.195-202
    • /
    • 2004
  • 기록물의 관리, 검객 및 이용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기록물 기술요소가 필수적이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아직 기록을 기술요소에 대한 표준이 제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록물을 기술하는데 필요한 기술요소를 설정하기 위해 각국의 기록물 기술규칙과 국제표준을 분석·비교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ructure of Waste Heat System with Energy Technology (에너지 요소기술을 이용한 폐열 활용 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이덕기;양종택;김상문
    • Proceedings of the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Conference
    • /
    • 2000.05a
    • /
    • pp.74-88
    • /
    • 2000
  • 본 연구는 폐열 활용을 보다 실질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사건 단계로서 에너지 요소기술들을 폐열활용을 위해 필요한 용도별, 성상별 등과 같은 요인들을 고려한 분석과 함께 이에 따른 체계도를 구축하였다. 또한, 이들 기술들을 이용하여 수요처에 알맞는 적용 시스템들을 구성하기 위해 폐열활용 요소기술의 접목을 통한 시스템의 최적화를 구현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폐열발생처별 특성과 이에 가능한 시스템을 선정하고 요소기술을 적용할 시스템 모형의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특히, 기술체계도와 요소기술의 시스템 분석을 통하여 폐열활용의 기본틀을 제시하였으며, 폐열 활용의 종합적인 이용 방법과 함께 적용처별로 시스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특집 : 레이저 기반 초정밀 초고속 가공시스템 - 초고속/대면적 레이저 가공을 위한 핵심요소 기술

  • Lee, Je-Hun;Kim, Gyeong-Han
    • 기계와재료
    • /
    • v.22 no.1
    • /
    • pp.36-42
    • /
    • 2010
  • 초고속 레이저 가공을 위한 스캐너 장비와 초정밀/대면적 가공을 위한 스테이지 시스템을 동기화함으로써 가공을 정밀도를 보장하고 대면적 가공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핵심요소 기술을 소개하였다. 스캐너-스테이지 동기화를 위한 핵심요소 기술인 두 시스템 사이의 하드웨어적 동기 기술 및 스캐너-스테이지의 가공 경로 분할을 위한 연동 알고리즘 기술에 대한 내용을 수록하였다.

  • PDF

Study on Extraction of Sub-element and Construction of System Mode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기술적 의사소통능력의 하위요소 추출과 체제모형 구축)

  • Kim, Ju Hyun;Lee, Yong Jin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v.40 no.1
    • /
    • pp.105-12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of Sub-element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to construct of a system model.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f the study, it was carried out in two steps: (1)Extraction sub-elements and definitions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2)Development of a system model of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Obtained conclusions by the proces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sub-elements of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extracted and they were images, sketches, flowcharts, drawings, prototyping, symbols tables graphs and presentations. Second, using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tools' based on the "collaborative activities in online and offlin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fined as communication skills to be raised through the process of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 Third,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ere described as the system, in which 'Idea through the Communication(images, sketches, flowcharts)', 'Realiz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design, prototyping)', 'Wrap up through the Communication(symbol table graph, presentation)' were collaboratively activated. Fourth, checking tool for the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was developed, based on checking tool for the exis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system model for technological communication skills. And it was improved by the expert validity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