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술 사회 시스템 위험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3초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echnological Risk)

  • 윤진효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3권1호
    • /
    • pp.75-103
    • /
    • 2003
  • 현대사회가 위험사회에 들어서면서, 기술위험이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라는 기존의 협의의 기술위험의 구조를 넘어서고 있다. 기술에서 직접적으로 유래한 위험이 다양한 사회 경제시스템과 상호작용하면서 확대된 위험인 기술 사회 시스템 위험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 위험사회의 기술위험의 구조변화 양상이다. 때로는 기술위험이 사회 경제시스템과의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자연시스템과의 상호작용으로 확대되어 위험의 일상화와 전면화로 연결되기도 한다. 현대 위험사회는 기술위험의 구조변화와 함께 위험에 대한 관리 절차상의 변화를 요구한다. 위험의 예상, 발생한 위험의 통제, 사후처리라는 위험관리 절차의 전 과정에서 전문가에 의한 합리적 통제뿐만 아니라 직 간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일반시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이해가 요구된다. 즉, 현대사회에 발생하고 있는 기술위험은 위험에 대한 거버넌스의 혁신 즉, 전문가 중심의 거버넌스에서 시민참여적 거버넌스로의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 PDF

조직간 정보시스템 유형별 위험 관리

  • 김미숙;김유일
    • 한국전자거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거래학회 1999년도 종합학술대회발표논문집
    • /
    • pp.713-720
    • /
    • 1999
  • 최근 조직간정보시스템의 연구는 조직간 전략적 협력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잠재적 갈등의 위험 인지에 초점을 두고 있다. 기존 연구 대부분은 조직간의 위험발생에 있어서 경제적 관점의 위험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는 조직간 기술적 호환과 관련된 기술적 문제, 조직상호간의 활동, 서로 다른 문화ㆍ전략 차이간의 조정에 요구되는 사회정책적 문제는 고려하지 않고 있어서 조직간의 합리적이며 경제적인 협력적 동맹관계를 논의하는데는 충분치 않다. 따라서 조직간 협력적인 동맹관계를 다루기 위해서는 기존의 경제적 관점에 기술적 관점, 사회정책적 관점을 추가한 세가지 측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조직간 정보시스템의 개념적 특성을 살펴보고, 조직간의 상호의존성, 구조적 특성, 기술, 조정매카니즘 요소등에 의해 정보자원공유, 가치사슬망, 네트웍 형태의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각 유형별에 대한 경제적, 기술적, 사회정책적 관점의 위험을 분석하고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모듈형 센서를 이용한 주거환경 개선 연구 (A Study of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Using Module-Type Sensor)

  • 차진만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851-853
    • /
    • 2014
  • 현대 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분야들의 기술들이 융합되는 사회이며, 이로 인해 각종 환경적 위험 요소 등이 존재한다. 그중 한가지는 유해 가스에 의한 피해이다. 산업이 발전하고, 편의 시설등이 늘어나면서 다양한 시설들이 설치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함께 시설물들이 가지는 위험도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센서를 이용한 위험요소 탐지와 환경측정 자료를 기반으로 일상 생활에 접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파악하고 개선하고자 하였다. 진행은 유해성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자료 분석을 통한 개선사항를 도출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 PDF

은상 남경연, 유경언_ 청주대-초고층건물

  • 한국건축구조기술사회
    • 건축구조
    • /
    • 제13권3호
    • /
    • pp.80-81
    • /
    • 2006
  • 초고층 건물에 항공기 테러와 같은 충돌에 의한 붕괴위험성이 대두되고 있는 현재. 외부 충격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기존의 구조 시스템들의 조합을 통해 최적의 시스템을 계획하고자 한다.

  • PDF

지역 유산을 가진 전통 마을을 위한 지역 사회 기반 위험지도 작성 지원 시스템의 구현 (Implementation of Community-based Hazard Mapping Support System for Traditional Towns with Local Heritage)

  • 민병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115-120
    • /
    • 2018
  • 본 논문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 생활에서의 연속적인 위험지도 작성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설계 및 시범 개발을 기술한다. 우리는 일본 사가현의 전통 마을 모델에서 인터뷰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결과는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많은 실질적인 문제가 남아 있으며 주민들이 안전하지 않다고 느끼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하여 지역 기반의 방재 및 저감에 기여하는 독자적인 정보통신기술 기반 지원 시스템을 설계, 개발하였습니다. 지속적인 주민 참여 및 게시 디자인은 커뮤니티 기반 접근 방식의 핵심 개념입니다. 우리 시스템은 지역 사회 기반 위험 정보를 통합함으로써 위험지도를 계속 작성하도록 지원합니다. 지역 주민은 재해로 위험 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 (재난 유형, 위험 수준, 사진, 의견, 위치 정보)를 등록합니다. 또한 웹 서버를 통한 정보 공유가 가능합니다. 이 정보 공유를 통해 각 지역의 지역 위험 정보를 사용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

위험 인식론과 STS적 관점: 우리는 더 안전해 졌는가? (Risk Epistemology and STS Perspective)

  • 강윤재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8권2호
    • /
    • pp.1-26
    • /
    • 2008
  • 이 글은 과학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더 위험해졌다는 현대사회의 딜레마를 출발점으로 삼아 STS적 관점의 위험 인식론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근대적 이원론에 근거한 전통적 위험 인식론은 위험의 객관성과 위험의 맥락성 어느 한 쪽만을 주목한 채 위험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는 소홀히 다루는 경향이 있다. STS적 관점은 이와 같은 근대적 이원론을 넘어서서 통합적 위험 인식에 대한 새로운 요구에 기반한다. 이 관점은 객관적 위험(자연)과 맥락적 위험(사회)의 "다리 놓기"를 넘어서서 "공동생산"으로 나아가고 있는데, 그 중심에는 새로운 하이브리드의 출현과 이질적 네트워크의 복잡화가 자리잡고 있다. 이런 특징을 포괄할 수 있는 개념으로 기술권(technosphere)을 제시한 후, 개념의 잠재성을 평가한다.

  • PDF

공항의 잠재적 위험 연구 (Potential Risk in Airport -Terrorism Caused by Immigration System's Drawbacks-)

  • 김한별;윤홍식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년 정기학술대회
    • /
    • pp.407-41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미래의 공항에서 일어날 위험인 테러에 대한 위험과 그에 따른 대비 방안을 제시하였다. 현재 세계 곳곳에서, 테러와 관련된 범죄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그 위험도는 높아지고 있으나, 인천공항을 비롯한 한국 공항에서 출입국 관리 시스템은 감사 결과 허술함이 드러났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책방안을 출입국 관리 시스템을 비롯한 행정적 대책, 공항 보안법 관련 법적 대책, 기술적 대책, 사회적 대책으로 제시하였다.

  • PDF

행정구역 홍수위험 판단기준 설정 방안 연구 (A Study on Guideline of Flood Risk Evaluation Standards by Local Authorities)

  • 최천규;김경탁;최윤석;김길호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9년도 학술발표회
    • /
    • pp.366-366
    • /
    • 2019
  • 홍수피해가 발생하면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이에 국내에서는 홍수로 인한 피해를 경감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홍수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기상청은 예상되는 강우량을 수치예보를 활용하여 기상특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홍수통제소는 하천에서 예상되는 홍수위를 기준으로 홍수특보를 발령하고 있다. 그러나 기상특보는 전국을 동일한 기준으로 홍수위험을 전망하여 각 행정구역별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며, 홍수특보는 주요 하천이 없는 행정구역은 활용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과거 홍수피해 현상 조사를 통해 제시된 각 행정구역별 강우기준과 수치예보 자료 중 하나인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ENS, 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자료를 활용하여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구성하고, 이를 통해 홍수위험 대응단계설정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행정구역별 홍수위험 매트릭스는 향후 추가적으로 자료 수집을 통해 매트릭스 적용 및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서비스주의 기술 산업 기업 연구 (A Servicism Model of the New Technology Industry Enterprise System)

  • 김현수
    • 서비스연구
    • /
    • 제12권3호
    • /
    • pp.1-25
    • /
    • 2022
  • 본 연구는 인류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기술개발과 산업 및 기업시스템 디자인을 위해 수행되었다. 인류사회는 위기에 직면해있다. 핵무기나 정보통신기술의 개발로 인류의 힘이 증대된 만큼 인류사회의 위험도 크게 높아졌다.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시스템으로 인해 성장과 자유의 가치가 높아져서 기술혁신은 가속화되고 있고 산업과 기업은 크게 성장하고 있다. 새로운 기술과 산업이 인류사회를 크게 발전시킬수도 크게 위험에 빠뜨릴수도 있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지구라는 한정된 공간 위에서 삶을 영위하는 인류가 좀 더 오래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과학기술개발시스템과 산업육성 전략과 기업 운영시스템을 재설계해야 한다는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장기 지속가능한 인류사회를 위한 실용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인류 전체에서 그리고 각 개별 국가사회에서 어떠한 철학과 방법론으로 과학기술을 개발하고 산업을 육성하고 기업시스템을 운영해야 할지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현재 인류사회의 기술개발시스템, 산업시스템, 기업시스템의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인류사회의 지속가능성 차원에서 특징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는 대안 시스템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조건들을 충족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여 제시하였다. 대안 시스템은 서비스철학에 기반을 둔 시스템으로서 서비스주의 시스템으로 명명되었다. 새로운 기술 산업 기업시스템의 구조와 운용모델, 구현방안을 제시하였다. 개별국가나 개별산업 그리고 개별기업들은 각기 자신의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행동할 것이고 또한 각 의사결정 주체들의 비이성성까지 고려한다면 본 연구에서 도출된 거시적 모델이 성공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후속 보완 연구들이 필요하다. 인간과 자연, 경제, 정치행정, 법제도, 사회시스템과 이에 관련되는 모든 학문들이 다차원으로 융합되어 수행되는 심화 모델 개발 연구가 필요하다.

RFID 기반 청각장애인을 위한 자동차 위험감지 시스템 설계 (Design of Automobile Risk Detection System for Hearing Impaired Person based on RFID)

  • 안하철;박석천;김종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761-764
    • /
    • 2013
  • IT의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많은 기술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을 활용하여 사회적 약자인 장애인의 위험에 미리 대처하여 사고를 예방을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일반인들은 소리를 들을 수 있거나 볼 수 있고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위험을 미리 감지하여 사고를 미리 대처할 수 있지만 청각장애인은 소리를 들을 수 없기 때문에 그만큼 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위험한 상황이 아님에도 불구하고 사고가 일어나는 청각장애인을 위해 큰 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는 자동차 위험감지 시스템을 설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