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트리

Search Result 96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the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 Focused on the Tech-Tree and TRM Integration - (전략기술정보 '레포지터리'로서 기술트리(Tech. Tree)의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기술로드맵(TRM)과의 전략적 통합방안을 중심으로 -)

  • Lee, Won-Il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9 no.3
    • /
    • pp.205-220
    • /
    • 2008
  •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major determinants for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after the adoption of the technology tree in the R&D intensive organization. The study was performed based on both theoretical study and qualitative case study approaches. The result is as follows; for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he technology tree for the information repository, it should be the market base and be closely related with the technology roadmap. In terms of the needs of times, this study regarding the strategic utilization of technology tree as a strategic technology information repository and as a s strategic supplement for technology roadmap is anticipated to be a good reference for the R&D-oriented organizations and technology-related studies in coming years.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s of Technology Holding Company : A Case Study of ETRI Holdings (국내 연구소 기술지주회사 운영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에트리홀딩스 사례를 중심으로)

  • Lee, Hyun-Keun;Han, Kwan 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5 no.10
    • /
    • pp.597-606
    • /
    • 2015
  • Technology is one of important factors to start-up. Researchers or engineers have led to make start-up, and research based company is one type of technology-based start-up. Technology holding company has made to encourage start-up and support research based company. Research based company was introduced in 2005 according to the Korean related law. In 2014, the number of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of university is up to 39, but technology holding company of research institute is only one called ETRI Holdings. ETRI Holdings is a technology holding company to promote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that established by ETRI in 2010. This study analysed the financial statements of ETRI Holdings for 5 years, and grasped the status of ETRI Holdings and 15 invested companies, research based companies. According to analysis ETRI Holdings played a role as technology holding company that invested in research based company, but had no virtual circle model until now. Also improvement directions for the management of technology holding company is suggested in this paper based on the analysis of financial statement.

Binary Image Trimming using Chain Code (체인 코드를 이용한 이진 영상 트리밍)

  • Jung, Min-Chul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7.05a
    • /
    • pp.216-21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영상 인식을 위해 그레이 레벨로 획득된 영상을 이진화할 때 발생되어 패턴의 윤곽선을 울퉁불퉁하게 만드는 랜덤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으로 체인 코드 트리밍(chain code trimming) 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패턴의 외부 윤곽선과 내부 윤곽선의 체인 코드 분석을 통해 랜텀 노이즈의 체인 코드를 제거, 교정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실험에서는 트리밍을 사용하기전과, 단순 트리밍을 한 경우, 체인 코드 트리밍을 한 경우를 서로 바로, 분석한다. 실험 결과는 패턴에 첨부되었던 랜덤 노이즈가 모두 성공리에 제거된 것을 보인다.

  • PDF

A Fuzzy Decision Tree to Partition Feature Space with Oblique Planes (특징 공간을 사선 분할하는 퍼지 결정 트리)

  • 이우항;이건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21-23
    • /
    • 1999
  • 결정 트리는 실세계에서 얻어지는 많은 사례들로부터 분류 정보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유용한 방법중의 하나이다. 분류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사례, 즉 데이터들은 실제 현장에서 얻어지기 때문에 관측오류, 불확실성, 주관적인 판단 등의 원인으로 참 값이 아닌 근사 값으로써 기술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잠재적 오류로 인해 잘못된 결정 트리가 생성될 수 있다. 한편, 트리를 생성하는 각각의 과정에서 하나의 특징 값만을 고려하지 않고 두 가지 이상의 특징 값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 트리를 생성할 경우 보다 정확한 분류 정보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치 특징 값으로 기술된 데이터로부터 보다 정확한 분류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작은 오류에 강건한 사선형 분할 퍼지 결정 트리를 제안한다. 또한 제안된 사선형 분할 퍼지 결정 트리의 생성 절차 및 생성된 결정 트리를 이용하여 새로운 데이터에 분류 정보를 부여하는 추론 과정을 소개한다.

  • PDF

The Technical Trend of Hair Care (두발화장품의 기술동향)

  • 서성환
    •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 /
    • v.24 no.2
    • /
    • pp.128-141
    • /
    • 1998
  • 소비자의 욕구의 다양화와 관련기술의 발달로 인해 단순 청결, 미화의 개념에서 치료의 기능을 가진 두발 화장품의 개발로 변화되고 있다. 스타일링, 트리트먼트 샴푸, 린스, 염모제 등 모든 두발화장품에 모발 손상을 치유한다는 트리트먼트의 개념을 소구하고 있음에 트리트먼트제의 기술동항에 고찰해 보고, 실제로 치료의 효과를 주는 항 비듬샴푸의 기술동향과 화중품으로 분류되진 않지만, 차세대 상품으로 예측되는 탈모방지제품의 기술동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

Diagnostics of treeing degradation in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by inage processing (화상처리에 의한 유기절연재료의 트리열화 진단법)

  • noboru Yosimura
    • Electrical & Electronic Materials
    • /
    • v.4 no.3
    • /
    • pp.229-238
    • /
    • 1991
  • 본 논문에서는 영상센서를 이용하여 유기절연물질내의 트리 열화현상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하여 논하였다. 기존의 육안관찰법으로서는 관측하는 것이 매우 어려웠던 트리형상의 변화를 화상처리 기술을 이용하므로서 트리발생 직후부터 관측할 수 있게 되었다. 실험결과, 화상처리장치는 최초로 발생된 트리에서 부터 그 진전상황을 즉각적으로 기록할 수가 있었으며 트리의 신장도, 열화면적 및 연속 화상처리 측면에서 트리의 진전특성을 고찰하였다.

  • PDF

Design of an Algorithmic Debugging Technique for Java Language (자바 언어를 위한 알고리즈믹 디버깅 기술의 설계)

  • Kouh, Hoon-Joon;Yoo, Weon-Hee
    • The KIPS Transactions:PartA
    • /
    • v.11A no.1
    • /
    • pp.97-108
    • /
    • 2004
  • This paper proposes to use an algorithmic debugging technique for locating logical errors in Java programs. The algorithmic debugging is a semi-automated debugging technique that builds an execution tree from a source program and locates logical errors, if any, included in the program from the execution tree with top-down method. So, it is very important to build a suitable execution tree from the various programming language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for building an execution tree iron Java programs and walk through an example. This approach could reduce the number of interactions between a user and a debugging system than the traditional step-wise debugging technique.

컨조인트와 트리즈의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Jun-Yeong;Gang, Nam-U;Park, Yong-Tae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9.02a
    • /
    • pp.627-647
    • /
    • 2009
  • 일반적으로 실무에서 공학적인 상충(Trade-offs)의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트리즈(TRIZ)가 있다. 지금까지 트리즈관련 연구에 의하면 공학적 파라미터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데는 트리즈의 유용성이 이미 확인되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제품 설계에 있어 트리즈의 사용 범위를 반드시 공학적인 파라미터간의 모순을 해결하는 데 사용을 국한시킬 필요는 없다. 관점을 달리하여 선행설계 엔지니어가 처음부터 소비자의 요구사항에 대한 컨조인트(Conjoint)단계에서 모순을 푼다면 공학적인 문제로 환언(Reduce)시키거나 분화(Breakdown)시켜 제한조건하에서 지엽적이고 복잡한 모순 문제를 풀지 않아도 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고객 니즈 중심의 컨조인트와 공학 파라미터 모순 해결의 트리즈의 사고를 자연스럽게 연결하기 위해서 제약이론(TOC)의 갈등해소도(CRD : Conflict Resolution Diagram)를 도입하도록 한다. 갈등해 소도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행조건의 갈등요소를 확인한 후 타협안을 찾지 않고 잘못된 가정을 엎을 대책으로서 주입(injection) 제시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컨조인트의 고객 니즈 최적화를 달성하기 위해 세부 고객 니즈의 갈등요소를 확인하고 트리즈를 주입시켜 제품 설계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적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제약이론(TOC)의 사고를 바탕으로 트리즈를 이용하여 고객니즈의 모순관계를 해결하는 진보된 컨조인트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 방법론을 앞으로 Conjoint-TRIZ라 표기하도록 하겠다. 둘째, 본 연구에서 제시한 Conjoint-TRIZ 방법론을 자동차 인테리어 설계의 새로운 접근법으로 적용을 시도하여 그 유용성을 검증한다.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Distributed Streaming Protocol for Media Transmission (미디어 전송을 위한 분산형 스트리밍 프로토콜 설계 및 구현)

  • Jung, Tae Jun;Lee, Hong-rae;Seo, Kwang-D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4.11a
    • /
    • pp.29-31
    • /
    • 2014
  • 스트리밍 전송을 위한 P2P 구조는 크게 메쉬구조와 트리 구조로 구분된다. 실시간 스트리밍에 유리한 트리 구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두개 이상의 트리 구조를 유지하는 다중 트리구조와 사용자들 중에서 안정적인 사용자를 트리의 중심에 위치시키는 백본 트리 구조가 있다. 다중 트리 구조는 단일트리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트리와 메쉬 구조를 혼용한 구조로 안정적인 반면, 사용자들의 출입이 잦아지면 구조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다. 백본 트리 구조는 안정적인 사용자들로 트리의 중심 빼대를 구축한 후 나머지 사용자를 뼈대의 가지에 위치시키는 방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새롭게 설계한 분산형 스트리밍 전송기술을 위한 프로토콜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제안된 프로토콜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P2P 기반의 스트리밍 서비스의 가능성을 본다.

  • PDF

R-tree Update Technique for Indexing the Positions of Moving Objects (이동 객체 위치 색인을 위한 R-트리 갱신 기법)

  • 권동섭;이상준;이석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737-739
    • /
    • 2003
  • 최근에 이동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기술은 여러 응용 분야에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이동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매우 많은 수의 인덱스 변경 연산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R-트리와 같은 전통적인 공간 인덱스 구조로는 처리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객체의 움직임을 간단한 선형 함수로 가정하여 색인하는 연구들이 있어왔지만, 실제 응용에서는 객체의 움직임이 매우 복잡하므로 이러한 방법을 이용하기 적합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복잡한 움직임을 가지는 객체를 효율적으로 색인하기 위한 R-트리의 지연 갱신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객체가 이동할 때마다 트리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고, 객체가 이전에 속해 있던 R-트리의 MBR(Minimum Bounding Rectangle)을 벗어날 때만 트리의 구조를 변경하므로 R-트리의 갱신 연산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R-트리의 구조와 연산을 그대로 이용하므로 다양한 R-트리 변종 트리에서도 쉽게 적용이 가능하고, R-트리를 이용하여 이미 구축되어 있는 다양한 응용 환경에 쉽게 이용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