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적 보안성

Search Result 2,24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국내외 생체인식 기술표준화 및 평가기술 동향

  • 김재성;방지호;이현정
    • Review of KIISC
    • /
    • v.12 no.2
    • /
    • pp.7-17
    • /
    • 2002
  • 최근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생체인식 분야는 상업적인 활성화와 이에 따른 사용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서로 다른 생체인식 제품들의 상호호환성과 상호연동성을 고려하여 표준화된 생체인식 데이터 및 API에 대한 기술 개발을 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생체인식 제품에 대한 성능 및 보안성 평가기술 개발을 위해 국내외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국외의 경우 ANSI, NIST, IBIA, EU, AfB, 등의 기관을 통해 생체인식 제품들에 대한 표준을 연구하고 있으며, BioAPI, BAPI, HA-API 등과 같은 기술표준과 보안기술표준인 X9.84 및 생체인식 데이터 형식에 대한 표준인 CBEFF를 발표하였다. 그리고, 독일의 GISA, 영국의 CESG와 NPL, 그리고 미국의 NIAP와 BFC 등은 생체인식제품에 대하여 성능평가 및 보안성 평가 연구를 추진 중에 있다. 국내의 경우 KSIA, KBA, TTA TC10/SG3, ETRI 등을 통하여 표준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KISA에서 국책과제인 'Biometric 인증시스템 보안성 평가기술 개발'을 통해 성능 및 보안성 평가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Security Policy,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Uncertainties: The Role of Information Security Role Identity (정보보안 정책, 기술,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불확실성의 영향: 정보보안 역할 정체성의 역할)

  • In-Ho Hwang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9 no.1
    • /
    • pp.241-248
    • /
    • 2024
  • Socially, organizations are required to effectively manage their information resources, both in terms of acquiring information from external sources and safeguarding against potential breaches by insiders. While information security policies and technologies implemented by organizations contribute to achieving internal security, an overly complex or disorganized security structure can create uncertainty among employees. In this study, we identify factors of structural information security (IS)-related uncertainty within organizations and propose that they contribute to non-compliance. We develop a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he information security environment and test these hypothe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ur findings indicate that uncertainties related to IS policy,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decrease employees' IS role identity and their intention to comply with IS measures. By addressing these uncertainties, organizations can improve their IS environment and work towards achieving there is goals.

기술수용모형을 이용한 모바일 뱅킹 이용에 관한연구

  • Lee, Dong-Hyeon;Hwang, Gyu-Seung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5.02a
    • /
    • pp.179-199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 유용성, 용이성과 이용에 대한 태도, 이용에 대한 행동의도 및 실제 이용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동일한 분석 방법으로 인터넷 뱅킹과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터넷 뱅킹의 이용은 기술수용모형에 의해 설명하고, 기술수용모형과 보안성을 통합한 연구모형을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에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뱅킹과 인터넷 뱅킹의 용이성은 모두 이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인터넷 뱅킹과 모바일 뱅킹의 유용성은 모두 이용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은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인터넷 뱅킹의 경우에는 보안성이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바일 뱅킹의 보안성은 이용에 대한 태도와 부(-)의 관계를 갖지만, 유용성과는 정(+)의 관계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모바일 뱅킹과 모바일 뱅킹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전반적으로 모바일 뱅킹과 인터넷 뱅킹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고, 인터넷 뱅킹의 평균이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 PDF

RBAC-Based Workflow Security Technology (RBAC 기반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

  • 원재강;이선현;정관희;김광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a
    • /
    • pp.674-67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기술과 기업과 정부의 다양한 조직 체계를 반영하고 워크플로우의 현실적/효율적 운영관리 및 정보 보안을 위해 적합한 접근제어 모델인 역할기반 접근제어(RBAC : Role Based Access Control)를 이용한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에 관하여 제안하였다. RBAC 기반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은 워크플로우 시스템에 다양한 접근제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워크플로우와 역할기반 접근제어 기술을 접목한 워크플로우 보안 기술은 기업 업무의 효율성을 증대 시키고 정보 보안 분야에 있어 정보 보안성 증대 및 정보보안정책을 구현하는데 유연성을 제공하는 새로운 기술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 PDF

ITU-T SG17에서의 차량 통신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 Sang-Woo Lee;Yong-Sung Jeon
    • Review of KIISC
    • /
    • v.33 no.4
    • /
    • pp.83-87
    • /
    • 2023
  • 차량통신기술은 차량 간, 차량과 인프라 간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센서 기반의 자율 주행 차량의 센서로 인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자율주행의 구현 요소 기술이다. 이러한 차량통신기술의 활용성이 증대됨에 따라,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도 활발히 연구 개발 추진 중이다. 또한, 이와 연관된 국제표준화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ICT 보안 국제표준화 기구인 ITU-T SG17에서는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보안 연구반(Q13)에서 지속적으로 차량통신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TS 보안 연구반의 최근 활동 및 표준화 진행 계획을 소개한다.

차세대 핀테크 인증 기술

  • Kim, Su-Hyeong;No, Jong-Hyeok;Kim, Yeong-Sam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34 no.3
    • /
    • pp.29-36
    • /
    • 2017
  • 모바일 결제, 스마트 뱅킹 등 우리 생활의 일상적인 금융 업무에서 차별화된 편의성을 제공하기 시작한 핀테크 서비스는 사람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고도화된 해킹, 정보 유출 등 보안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현재의 ICT 서비스 환경에서도 전자금융 서비스가 보안 이외에 소비자의 이용 편의에 관심을 갖고 서비스할 수 있도록 지원한 대표적인 보안 기술은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잡은 FIDO 인증 기술이다. FIDO는 지문, 홍채, 정맥 등 높은 보안성과 편의성을 갖춘 다양한 인증 수단을 지원하여 패스워드와 같은 기존 인증 수단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는 중이다. 본고에서는 현재 상용화 적용되어 보편적인 인증플랫폼으로 자리잡기 시작한 FIDO의 추가적인 인증 요소로서 활용되어 보안을 좀 더 강화할 수 있는 상황인지 기반 인증 기술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 고에서 소개되는 상황인지 기반 인증 기술은 사용자의 고유한 행동적 특징과 환경적 특징을 기계학습 기법을 통해 분석하여 사용자 본인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기술로 사용자에게 명시적인 인증 절차를 요구하지 않아 이용 불편 없이 기존 서비스에 쉽게 적용될 수 있고, 타인이 위조하기 어려운 행동 및 환경적 특징을 활용하는 장점을 갖고 있어 향후 핀테크 서비스의 보안을 한단계 끌어 올려줄 기술로 활용이 기대된다.

정보보안 기술유형 분석

  • Lee, Gyeong-Seok
    • 정보화사회
    • /
    • s.104
    • /
    • pp.35-39
    • /
    • 1996
  • 정보화사회가 정착되면서 현재 정부나 민간의 거의 모든 분야에서 다양한 용도로 전산화가 추진되고, 국내외의 각종 통신망을 통하여 수많은 양의 정보를 유통시키고 있다. 이러한 정보통신망 이용의 급격한 증가로 최근에는 정보의 역작용에 대한 정보보안 문제가 새로운 이슈로 떠오르고 있으나, 정보보안을 위한 적절한 대책은 아직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보안이 필요한 주요 정보를 각종 정보관련 사고로부터 보호한다는 것은 전산기에 보관되어 있는 상태거나, 보관된 정보의 이동시에 사용자의 과실이나 제3자의 불법행위 혹은 물리적인 자연재해등으로 부터 정보의 안정성을 보장해주는 행위 일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정보보안이란 물리적인 장애에 의한 정보파괴와 불법적 정보조작등의 모든 장해로부터 정보를 보호하는 것이다. 국방이나 외교적인 측면에서는 물론이고, 최근에는 기업에서도 동종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하고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정보보안 유지가 반드시 필요한 주요요소중의 하나이다. 그러므로 컴퓨터와 정보통신망의 확산으로 발생되고 있는 불법적인 정보의 이용, 유출, 파괴, 등의 정보의 역작용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이 시급히 필요하다. 이러한 정보의 역작용에 대한 보안기술로는 물리적 보안기술과 기술적(논리적) 보안기술로 구분할 수 있으며, 주요한 논리적 보안기술의 유형은 다음과 같은 암호시스템(Cryptosystems), 디지탈서명(Digital Signature), 키관리(Key Management), 인증(Authentication), 접근제어(Access Control) 및 부인봉쇄(Non-Repudiation)등이 있다.

  • PDF

스마트공장 보안성 강화를 위한 제어 시스템 보안 기술

  • Heo, Shinwook;Lee, Garam;Kim, Dongju;Kim, Howon
    • Review of KIISC
    • /
    • v.27 no.2
    • /
    • pp.29-33
    • /
    • 2017
  • 최근 현장에서는 4차 산업혁명 이슈 확산과 함께 스마트공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불과 몇 년 전만 해도 정부와 연구소, 대학의 주요 관심 대상이었던 스마트공장은 현업에서 활동하는 경영진에게 스마트공장이 현재의 제조업 위기 탈출과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유일한 탈출구로 인식되어 적극적인 관심 표명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현장의 경영자들은 스마트공장 실현 기술 개발과 현장 적용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지만, 적용에 대해 우려하는 부분도 아직 많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스마트공장 도입에 많은 금액이 필요하다는 점, 그리고 보안 취약성 문제, 기업 데이터 유출 문제가 그 대표적 우려 사항이라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고에서는 투자 금액 이슈는 고려하지 않고 스마트공장을 실현하기 위한 필수 요소인 보안 취약성 문제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보안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즉, 스마트공장의 주요 네트워크와 플랫폼에 대한 보안 이슈 및 기술, 그리고 산업 현장의 보안 기술의 특성 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 보안 기술

  • Lim, Cheol-Su
    • Review of KIISC
    • /
    • v.19 no.3
    • /
    • pp.14-17
    • /
    • 2009
  • 최근 IT 분야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IT 기술의 기술적/산업적 성장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실현을 목표로 확장가능하고 자원의 연동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의 관심을 높이고 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의 실현을 위해서는 보안적인 문제점 해결이 선결 과제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통해 데이터가 연동되고 자원을 다양하게 활용하는 것에는 데이터 보호와 자원의 관리 정책, 기업 비밀 관리나 개인의 프라이버시 측면에서의 문제점도 존재한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체계와 보안적인 문제점을 분석하여 클라우드 컴퓨팅 이용자를 위한 보안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의 산업적 확장성을 강화하고 활용성을 높임으로써 서비스의 확대 및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강화하고자 한다.

ITU-T SG17에서의 차량 통신 보안 국제 표준화 동향

  • Lee, Sang-Woo;Jeon, Yong-Sung
    • Review of KIISC
    • /
    • v.31 no.4
    • /
    • pp.17-21
    • /
    • 2021
  • 최근 자율주행차량등의 활발한 기술 개발 및 상용화가 추진되고 있다. 차량통신기술은 자율주행차량이 주변 환경을 보다 정확하고 상세하게 인지하기 위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차량통신기술의 활용성이 증대됨에 따라,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보안 기술도 활발히 연구 개발 추진 중이며, 이와 연관된 국제표준화의 필요성도 부각되고 있다. IT 보안 국제표준화 기구인 ITU-T SG17에서는 최근 연구반 구조 조정을 진행했으며,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 보안 연구반(Q13)은 지속적으로 차량통신표준화를 추진한다. 본 논문에서는 ITS 보안 연구반의 최근 활동 및 진행 계획을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