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자

Search Result 17,742, Processing Time 0.06 seconds

이런 과학자, 저런 기술자 - "재산은 귀찮다" 평생 떠돌이 수학자 폴 에어 디쉬

  • Hyeon, Won-Bo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0 no.1 s.332
    • /
    • pp.26-27
    • /
    • 1997
  • '과학과 기술'지는 괴짜 과학자나 특이한 기술자를 소개하는 '이런 과학자, 저런 기술자'난을 신설했다. 이번 호에는 자식도, 부인도, 집도 없이 평생을 공책 몇권이 든 가방만을 들고 다닌 수학계의 큰 별 '폴 에어 디쉬'의 생애를 조명해 본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f Middle School Students' Images and Perceptions of Scientist, Technician and Engineer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 Kim, Hyeon-Yeong;Park, Soo-Kyeong;Kim,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
    • v.32 no.1
    • /
    • pp.64-8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middle school students' images and perceptions about scientist, technician and engineer and to compare the images of male students with those of female students. Fralick et al.(2009)'s "Draw a scientist at work and draw an engineer at work" was modified and administered to 110 middle school 3rd grade students (43 male students, 67 female students) from 5 middle schools. They drew the figures at work and took explanation of what the person was doing in a draw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presentative image of scientist was the man with glasses and lab gown performing the chemical experimen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scientist images. Second,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echnician was the man who was fixing a car and working with his hands. The technicians were illustrated as working with tools such as wrench, hammer and so o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in terms of the technician images. Third, the students involved in this study frequently perceived male engineers as working indoors. But perceptions about performance of engine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male students and female students. A majority of male students recognized that engineers should design, invent and create the products, however many female students perceived the engineers as car mechanics. Fourth, the students perceived differently the scientists' task compared with the technicians', but they had difficulty in distinguishing the scientists' task from the engineers' task.

기술이전에서 참여자 간의 갈등 양상에 대한 연구

  • 이정동;정진아;류태규
    • Proceedings of the Technology Innovation Conference
    • /
    • 2004.06a
    • /
    • pp.112-127
    • /
    • 2004
  • 기술의 상업화를 추구하는 기술이전 활동의 참여자는 그 역할과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다양한 목적을 가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참여자들의 역할의 차이가 기술이전 및 상업화의 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기술이전의 활성화에 관련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기술이전 및 상업화의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갈등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기술이전 참여자를 중심으로 기술이전 과정에서의 참여 범위 및 권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기술이전참여자는 크게 공공연구소, 대학 등지에서 활동 중인 연구 개발 담당자, 기술이전기여자, 기술도입자 이렇게 세 부류로 구분하였으며, 연구개발 담당자는 다시 연구개발자와 연구개발책임자의 입장으로 나누어서 조사하였다. 또한 이러한 기준으로 분류된 참여자 간의 갈등의 유형을 다시 개인내의 갈등, 개인간의 갈등, 개인과 조직 간의 갈등, 조직 간의 갈등으로 구분하여 각 갈등 유형의 원인에 대해 인터뷰 형식으로 정보를 수집하였다. 설문지와 인터뷰를 위한 질문지는 문헌 조사 및 전문가와의 토론을 거쳐 완성되었으며 응답자는 하나의 기술이전 및 상업화 과정에 관련된 여러 주체들을 최소 설문단위로 묶어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에 대한 결과는 각 갈등의 원인에 대한 참여자의 유형 간의 편차를 보기 위하여 분산 분석(Z-Test)으로 해석하였다.

  • PDF

2-D Invariant Descriptors for Shape-Based Image Retrieval (모양에 기반한 영상 검색을 위한 2-D Invariant Descriptor)

  • 박종승;장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554-556
    • /
    • 1999
  • 모양 정보를 이용하는 내용기반 영상 검색 시스템에서 검색 정확도는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모양 기술자에 매우 의존한다. 정확한 검색을 위해서 기술자는 이동, 회전, 스케일에 불변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모멘트 불변량과 푸리에 기술자를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유사도 기법을 제시한다. 이 방법은 하나의 불변량 기술자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푸리에 기술자와 네 개의 모멘트 불변량(Hu의 모멘트 불변량, Taubin의 모멘트 불변량, Flusser의 모멘트 불변량, Zernike 모멘트 불변량)을 구현하여 성능을 측정하였다. 영상분할된 이진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각 기술자의 검색 정확도를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경계선에 기초하는 푸리에 기술자와 영역에 기초하는 모멘트 불변량을 동시에 사용하는 방법이 영상 검색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 PDF

재미 한국과학기술자 국내유치에 관한 간담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11 no.8 s.111
    • /
    • pp.33-45
    • /
    • 1978
  • 지난 7월10일 부터 7월20일가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민관식)와 재미한국과학기술자 협회(회장 최상일)는 제5차 국내외한국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를 개최한바 있다. 종합학술대회 개최 목적의 하나인 재외 한국과학기술자 국내유치을 위해 대회 마지막 날인 7월20일 과학기술회관9층 강당에서 재미한국과학기술자 국내유치를 위한 간담회가 열렸다. 해외에서 활약하고 있는 한국과학기술인의 우수한 두뇌를 국내에 유치하여 과학기술의 진흥과 산업발전에 가속화 하자는 것은 오늘의 시점에서 볼 때 충분한 타당성을 지닌 의도이다. 반면에 해외에서 활동중인 우리 과학기술인들이 조국의 현실을 이해하면서도 선뜻 돌아오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들의 희망은? 그들의 요구는? 또한 이미 유치되어 일하고 있는 이들의 형편은? 국내 산업기술계와 기업체 대표들의 발언을 간추려 본다. 이날 간담회에는 국내측에서 민관식 과총회장을 비롯 산업기술계 중진들과 재미측에서 최상일 박사 (재미과협화장)등 재미과학기술자(제5차 종합학술대회 참가자)100여명이 참석하여 성황을 이뤘다.

  • PDF

이런 과학자, 저런 기술자 - 대통령이 된 '토종' 기술자 "압둘칼람"

  • Korean Federa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Societies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5 no.10 s.401
    • /
    • pp.26-27
    • /
    • 2002
  • '토종 미사일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인도의 과학자 압둘 칼람이 지난 7월 12대 대통령에 선출되었다. 결혼도 안한 채 42년의 오랜 세월을 인도의 원자력과 미사일 개발에 몸바쳐온 그가 어떻게 10억 인구의 인도 대통령이 되었는지를 알아본다.

  • PDF

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

  • Park, Ik-Keun;Park, Un-Su;Chang, Hong-Ke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19 no.4
    • /
    • pp.300-313
    • /
    • 1999
  • 비파괴검사 기술의 레벨 향상과 안정화를 통한 시간적 재현성이 있는 비파괴검사 결과의 확보를 위해서는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 인정 및 인증(nondestructive testing qualification and certification of personnel)제도의 확립이 매우 중요하다. 비파괴검사 결과에 대한 유효성은 비파괴검사을 실시하는 사람의 능력이나 비파괴검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있는 사람의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1974년부터 원자력 선진국들이 중심이 되어 수행된 PISC 프로그램(program for inspection of steel components) 및 EPRI 등에서는 순회시험 (piping inspection round-robin: PIRR trial) 결과 기존 비파괴검사 방법은 모의 시험편에 있는 상당히 큰 결함도 탐지하지 못하거나 정확한 결함크기를 측정하는데 실패한 경우가 있으며, 검사자의 기량 또는 신체조건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 국제표준화기구(ISO)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규격안 DIS(draft international standard) 9712에서는 비파괴검사를 기획 실시 감독 감시 평가를 하기 위한 적절한 이론적 및 실무적 지식을 필요로 하는 기술자의 능력을 평가하고, 문서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절차를 제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에 의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량인정 및 인증에 대한 국제통합을 추진하는 동기는 제 3자에 의한 체계적인 인증시스템을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와 새로운 NDT 방법에 대해서 인증제도를 적용할 때 세계적인 공통성을 갖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현재, 우리나라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기술자격 인증제도는 국가기술자격법에 의거하여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여 기술사, 기사, 산업기사, 기능사로 구분하여 실시하고 있다. 국제표준화기구의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과 인증에 대한 국제 통합화(안)[2]이 거의 마무리 단계에 있고 일본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국제규격을 기초로 한 새로운 인증제도를 발족시켜 거의 시행 단계에 있다. 반면 국내에서는 한국비파괴검사학회(KSNT)에서 비파괴검사 기술자의 자격인정 및 인증제도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바 있고 [3], 표준화위원회에서 나름대로 준비를 하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실천단계에와 있지 못하다. 본 고에서는 최근 대폭수정 보완된 ISO/DIS 9712 국제규격(안)을 회원들에게 소개하고, 우리나라의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회원 여러분의 의견 수렴에 도움을 주고자 ISO/DIS 9712(1997)를 번역하여 제공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