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위험

Search Result 4,450,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The Structure and Process of Technological Risk (기술위험의 구조와 절차)

  • Yun Jin-Hyo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3 no.1 s.5
    • /
    • pp.75-103
    • /
    • 2003
  • The technological risk has two major aspects. The one is technological aspect of the risk which consists of rules of nature and rational behaviors of humans. The other is social aspect of risk which consists of human values and nonrational and emotional behaviors of humans. So the technological risks should be called and treated as the technological and social risks. Because of these, not only technological professionals but also public people should have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the management of technological risks.

  • PDF

Relationship among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Risk Severity, Risk Perception and Risk Acceptability of Human Stem Cell Technology (공중의 체세포복제기술에 대한 위험특성, 위험심각성, 위험인식 및 위험수용의 관계)

  • Song, Hae-Ryong;Kim, Won-je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7
    • /
    • pp.415-424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risk severity, risk perception and risk acceptability of human stem cell technology. The subjects were 300 Koreans selected.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ing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severity. Second,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Third, public's risk severity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positively on risk perception. Fourth, public's risk characteristics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negatively on risk acceptability. Fifth, public's risk severity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risk acceptability. Sixth, public's risk perception on human stem cell technology influenced not significantly on risk acceptability.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develop th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on the acceptability of human stem cell technology.

Technology Risk Management in the Post-catchup Innovation System (탈(脫)추격형 혁신체제에서의 기술 위험 관리)

  • Seong, Ji-Eun;Jung, Byung-Kul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7 no.1
    • /
    • pp.33-66
    • /
    • 2007
  • In the post-catchup era, the probability of technology risk are growing according to technology innovation activities with high uncertainty are increasing. Risk acceptance and management are appearing as a more important policy issue. This paper examines the technology risk as a political and social sight and the character of technological risk in the post-catchup era. In the post-catchup, new technology and policy are more undergone trial and err. In particular, we need new approach and policy countermeasures to cope with risky environment and overcome catchup legacy. Accordingly, Korea risk management is needed reshaping of risk management system, increment of risk communication, risk management according to technology type, precautionary approach, bounded trial and err strategy, knowledge accumulation and learning reinforcement.

  • PDF

Politicized Risk and Failed Management of Technological Risk (정치화된 위험과 기술위험 관리의 실패: 미국산 쇠고기 수입과 광우병 논란)

  • Jung, Byung-Kul;Seong, Jie-Un
    •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Studies
    • /
    • v.8 no.2
    • /
    • pp.27-56
    • /
    • 2008
  • The controversy over the mad cow disease in Korea can be understood as a demonstration of complex and skeptical public sentiments toward the government that were all mixed with expectations, demands, hope and mistrust. The governments decision to resume the import of American beef turned such expectations into mistrust and public hope into nationwide resistance expressed in the form of candlelight vigils. This phenomenon can not be simply explained as a fear of risks. Concerns over mad cow disease were a trigger but they were riot sufficient cause to explain the nationwide controversy involving all the Koreans. It was mad cow disease that triggered a sharp confrontation between the government trying to stick to its decision to resume the import of American beef and the opponents who were not convinced by the government. In fact, this is not simply an issue of a disease. It is rather a complex issue of the acceptance of risks, the consistency of the government policy, trust in the government, and the public consensus on the government policy. In this context, this study analyzes the controversy over the mad cow disease from the perspectives of risk management, public policy-making, and public trust and social consensus-building.

  • PDF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시나리오 위험도 모델 개발

  • 이동준;나성;김선진;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3.11a
    • /
    • pp.222-224
    • /
    • 2023
  • 자율운항선박의 해상 운용은 인간의 개입 최소화 등 새로운 운용 방식의 적용과 첨단 디지털기술의 적용으로 기존 선박의 운용과 다른 형태의 다양한 새로운 위험요소들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위험을 분석하기 위한 적절한 위험도평가 방법론의 적용이 요구될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 선박과 달리 인간의 개입이 최소화된 상태로 운용되는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사고 위험도를 실시간으로 분석하기 위한 실시간 위험도 모델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모델 개발을 위하여, 먼저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감지 및 제어, 비상대응 기능들을 분석하고, 기능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화재 감지 및 제어 시스템들에 대한 Faul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자율운항선박의 화재 시나리오 표현을 위하여 기관구역 화재와 화물구역 화재로 분류하여 Event Tree Analysis를 수행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 운용 외부 조건에 따라 변화하는 변수들을 식별하여 각 변수들의 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자율운항선박 화재 위험도 변화량을 검토하였다.

  • PDF

자율운항선박 정성적 위험도평가 방법론 개발 및 적용

  • 나성;이동준;백재하;정정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22.11a
    • /
    • pp.385-387
    • /
    • 2022
  • 근래에 들어,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기술을 비롯한 첨단 디지털 기술의 발전으로, 선박/해양 산업에서 운용되는 시스템들은 더욱 복잡하고 다양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첨단 시스템 운용의 증가는 기존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위험에 대한 불안과 함께 더욱 체계적인 방식으로 이러한 위험을 분석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발전된 위험도평가 방법론 적용의 필요성을 야기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첨단 디지털 기술이 적용되는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위험도평가 절차 및 방법론과 정성적 위험도평가(Qualitative Risk Assessment) 적용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자율운항선박의 정성적 위험도평가를 위하여 자율운항 시스템들이 탑재된 자율화 등급 3 수준의 가상 자율운항선박을 선정하고, 기존 유인선박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과 자율운항선박 운용에 필요한 기능들을 식별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또한, 자율운항선박의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들의 실패로 인하여 발생 가능한 위험시나리오들을 식별하고, 식별된 위험시나리오를 바탕으로 자율운항선박의 운용 안전성 향상을 위하여 추가 고려되어야 할 안전조치들을 식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이후 연구 수행 계획인 자율운항선박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평가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방법론 개발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 PDF

Arc Flash Hazard Analysis (전력기술.정보 - 아크 플래시 위험 분석)

  • Lee, Seong-U
    • Electric Engineers Magazine
    • /
    • s.350
    • /
    • pp.21-25
    • /
    • 2011
  • 전기설비에 접근하여 활선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안전조치, 작업공구, 먼지, 분진, 쥐, 절연" 등의 문제로 기인하는 단락사고가 발생하면 플라즈마(plasma) 아크 형태의 전기적 방전이 일어나므로, 아크 플래시 위험에 노출된 작업자는 심각한 화상은 물론 생명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근로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IEEE Std. 1584에 수행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해설하고 있고, NFPA 70E는 보호기준 등을 규정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 기준 등을 참고하여 산업안전기준에 관한 규칙에 의거,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작업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E-3G-2005)과 난연성 전기 작업복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KOSHA CODE E-32-2006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외국 기업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크 플래시 위험분석 업무를 실무에 적용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적용 범위에 있어서도 난연성 전기 작업복 선정에 관한 기술지침을 600V 이상의 활선작업 및 활선근접 작업시만 착용하도록 한정한 것은 아크 플래시 위험에 대한 보호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오히려 고압보다도 저압회로 고장 지점의 최소 단락전류에서 차단기의 동작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사고에너지를 더 증가시키기 때문에 위험성과 빈도는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문에서는 "아크 플래시 위험" 분석 및 평가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 PDF

Technology Risk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Innovation: The Shut-Down Law and On-line Game as a Post Catch-up Innovation (기술위험과 혁신의 사회적 책임 - 셧다운제와 탈추격형 혁신으로서 온라인게임 -)

  • Jung, Byung Kul
    • Informatization Policy
    • /
    • v.20 no.4
    • /
    • pp.71-88
    • /
    • 2013
  • Probability of technology risk is expected to increase as the post catch-up innovation, characterized by high uncertainty and high risk, would dominate in the coming era of post catchup. Social controversy on online game as a post catch-up innovation is still ongoing, though the shutdown law was enacted by the government. Socio-technical vulnerability causing technology risk paradoxically arose from the world top-level ICT infrastructures and has been reinforced by developmentalism. While both the pros and cons of the regulation fail to recognize dilemma objectively, social cost is brought about and accumulated. With recognizing dilemma between technology innovation and risks, we can tackle technology risks and ensure responsible innovation in post catch-up era.

  • PDF

정보기술 위험관리 과정과 기법

  • 김정덕;이성일
    • Review of KIISC
    • /
    • v.11 no.3
    • /
    • pp.16-23
    • /
    • 2001
  • 위험관리는 정보기술 보안관리의 초석이라고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고 비용효과적인 보안대책을 구현, 운영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실행되어야 하는 과정이다. 특히 최근의 보안관리체계 인증에 대한 수요가 점증되면서 위험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고에서는 위험관리 과정에 대한 표준문서의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고 새로운 위험관리 기법의 발전방향인 시나리오 기반의 위험관리에 대해 소개하며 기존의 대표적인 위험분석 자동화 도구에 대한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