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술난이도

Search Result 258,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난이도별 초급항해사의 운항기술 능력 분석

  • Lee, Myeong-Gi;Park, Yeong-Su;Park, Sa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8.11a
    • /
    • pp.189-190
    • /
    • 2018
  • 국내 해기 교육기관에서는 초급항해사들이 운항 경험과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선박조종시뮬레이션 교육을 필수로 이수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시뮬레이션 교육은 교육 기간 및 내용에 대해서만 국내외 지침에 명시되어 각 교육기관에서는 자체 커리큘럼에 의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 어떠한 환경의 해역에서 시뮬레이션 실습을 수행하였는지는 초급항해사가 경험과 기술을 습득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ARK Model을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의 난이도를 추정하고, 난이도에 따라 초급항해사의 운항기술을 타선박과의 이격거리, DCPA, PARK Model 위험도 값, 항로탈거리의 요소로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이는 추후에 난이도 별로 시나리오를 구성하여 균일한 교육 커리큘럼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Neural Question Difficulty Estimator with Bi-directional Attention in VideoQA (비디오 질의 응답 환경에서 양방향 어텐션을 이용한 질의 난이도 분석 모델)

  • Yoon, Su-Hwan;Park, Seong-Bae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01-506
    • /
    • 2020
  • 질의 난이도 분석 문제는 자연어 질의문을 답변할 때 어려움의 정도를 측정하는 문제이다. 질의 난이도 분석 문제는 문서 독해, 의학 시험, 비디오 질의 등과 같은 다양한 데이터셋에서 연구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질의문과 질의문에 응답하기 위한 정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으로 질의 난이도 분석 문제를 접근하여 이를 BERT와 Dual Multi-head Attention을 사용하여 모델링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모델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하여 최근 자연언어이해 부분에서 높은 성능을 보여주는 기 학습 언어 모델과 이전 연구의 질의 난이도 분석 모델과의 성능을 비교하였고, 제안 모델은 대표적인 비디오 질의 응답 데이터셋인 DramaQA의 Memory Complexity에서 99.76%, Logical Complexity에서는 89.47%의 정확도로 가장 높은 질의 난이도 분석 성능을 보여주었다.

  • PDF

G-Learning Cont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based on Individual Level (개인 수준을 고려한 G-러닝 콘텐츠 설계 및 구현)

  • Oh, Jeong-Hun;Ryu, In-Ho;Jeong, Hye-Jin;Kim, Hyoung-Ji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2.05b
    • /
    • pp.722-725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G-러닝 콘텐츠를 사용자 수준에 맞는 난이도 조절을 위해 학습자의 수준을 평가하여 반영하고자 한다. 이때, 학습자의 수준은 게임의 적응도까지 고려하여 설계함으로써 사용자의 적응 훈련도까지 고려한 난이도 조절을 설계한다. 그럼으로써 학습자의 난이도에 맞는 G-러닝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 PDF

A Deep Learning Model to Predict BIM Execution Difficulty Based on Bidding Texts in Construction Projects (건설사업 입찰 텍스트의 BIM 수행 난이도 추론을 위한 딥러닝 모델)

  • Kim, Jeongsoo;Moon, Hyounseok;Park, Sangmi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6
    • /
    • pp.851-863
    • /
    • 2023
  • The mandatory use of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 in larger Korea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necessitates participants to have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relevant procedures and technologies, especially during the bidding stage. However, most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companies possess limited BIM proficiency and understanding. This hampers their ability to recognize bidding requirements and make informed decisions. To address this challenge, our study introduces a method to gauge the complexity of BIM requirements in bidding documents. This is achieved by integrating a morphological analyzer, which encompasses BIM bidding terminology, with a deep learning model.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arameters in our proposed deep learning model and examined its predictive validity. The results revealed an F1-score of 0.83 for the test data, indicating that the model's predictions align closely with the actual BIM performance challenges.

The Research of Mini-Game by Using Online Image Automatic Detection Technology (온라인 이미지 자동 검색 기술을 이용한 미니게임에 관한 연구)

  • Huang, Chun-Hua;Cho, Kwang-Hyeon;Kim, Gye-Young;Choi, Hyung-Il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1 no.2
    • /
    • pp.115-129
    • /
    • 2011
  • In this paper, we will introduce some method about retrieving suitable images to game or adjusting game difficulty in enjoying some contents like mini-game. It will use the technology about extracting color and texture features in content-based image retrieval in image processing. So in card game, it select card image automatically. And by controlling seed image number, we can adjusting game difficulty. Through the experiment, it shows that our image retrieval method can retrieve more useful images that can be used in game than others.

Th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on Training and Transfer Performance (인지 능력이 훈련 및 전이 수행에 미치는 효과)

  • Jung Hong Chun;Lee Kyung Soo;Lee Suji;Jang Joo Young;Lee Hye Seung;Koo JaYoung;Sohn Young Woo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16 no.4
    • /
    • pp.287-303
    • /
    • 2005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ognitive ability levels on skill acquisition and transfer as a function of training difficulty.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result of cognitive ability tests. They were trained with difficult or easy tasks and then transferred to novel difficult tasks. Results suggest that cognitive ability levels influenced training performance, though the effect of training difficulty on transfer performance varied with cognitive ability. The training difficulty was most effective for those who have the medium level of cognitive ability. Thes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respect to individual differences and skill transfer performance.

  • PDF

The Effect of Technology Difficulty and Safety Perception on Customer Value Perception and Intention to Use Self-Service Technologies (셀프서비스기술 환경에서 기술난이도와 안전성 지각이 고객가치인식과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Bu, Shaoyang;Liu, Tianyuan;Koh, Joon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 /
    • v.23 no.1
    • /
    • pp.47-67
    • /
    • 2022
  • Computer and Internet information technologies(ICTs) have changed the modern service industry and people's life style. In particular, the global spread of COVID-19 has attracted more attention to contact service types such as self-service technology. With the increase in labor costs and the enhancement of consumer self-awareness, more and more companies transfer part of their work to customers through their own service technology. This study seeks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1) Do technology difficulty and safety perception affect customer value recognition in the self-service technologies? (2) Does customer value recognition influence the intention to use such technologies continuously?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with 327 samples to validate the influence of self-service characteristics(technology difficulty and safety perception) on customer value recognition and continuous utilization intentions. Also, it analyzes the moderating effects of age and frequency of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service characteristics and customer value recognition. The study results show that the technology difficulty does not affect the customer's perceived value recognition; and the higher the customer's value recognition, the higher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Implementation of an Item Pool System with XML (XML 기반 학습 평가 시스템의 구현)

  • 김일민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Industrial Systems Conference
    • /
    • 2003.11a
    • /
    • pp.441-445
    • /
    • 2003
  • 사이버 교육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각종 멀티미디어 자원을 이용함으로써 기존 교육 방식을 보조하거나 대체하게 되었다. 온라인 학습자들을 평가하고 교육과정을 개선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교육 컨텐츠에 비하여 부족한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JSP 와 JDBC 기술을 이용하여 문제 은행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기존의 학습 평가 시스템과는 달리, 데이터 표현을 위하여 XML 언어를 사용하였으며, 객관식 문제의 난이도 조절을 위한 피드백 및 단답형 주관식 문제에 대한 채점방식에 대한 고려를 평가 시스템 설계에 포함하였다. 문제은행은 문항의 형태, 내용, 난이도 등을 포함한 문항의 특성과 관련된 정보들을 체계적으로 저장하여, 보다 정확한 학습 평가 시스템이 되도록 설계하였다.

  • PDF

선박운항 안정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실험조건 도출 연구

  • Gong, In-Yeong;Gwon, Se-Hyeok;Kim, Seon-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07.12a
    • /
    • pp.81-83
    • /
    • 2007
  • 항만이나 항로에서의 심층적인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해상에서 선박이 조우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매우 다양한 반면, 비용이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실시간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은 극히 한정 된 경우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이 기법을 실제 선박 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에 적용한 실증 분석 결과를 사례 연구로 기술하였다. 실증 분석에는 주성분을 이용한 종합 운항 난이도 산정 방법과 누적 확률분포 개념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 난이도가 높은 실험 조건을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으로 선택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

Questions Selection System of Studying Territory due to a Studentcentered Class Level Training Management System (학습자 수준별 교육관리시스템에 의한 학습 영역의 문제 추출 시스템)

  • Park Kyung-Jun;Koh Jae-Jin;An Hyoung-Keun;Yang Sang-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07a
    • /
    • pp.94-96
    • /
    • 2005
  • e-Learning 교육관리시스템은 다양한 교육 정보와 평가를 바탕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학습자의 학습 동기와 평가 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연구와 기술들이 많이 적용되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교육관리시스템은 동일한 학습 내용을 일방적으로 제공하며, 학습 영역에 맞는 난이도별 문제를 추출해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의 사전진단평가와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수준을 결정하고, 그에 따른 학습 영역의 내용과 문제를 난이도별 문항수를 적용, 추출하여 학습 동기와 학습 성취도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시스템은 학습자 수준에 따른 난이도별 문항수 비율을 비례하게 적용하여 흥미도를 최대화하여, 학습 내용과 문제를 재사용하여 피드백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