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상 정보

검색결과 2,245건 처리시간 0.037초

서·남해권역 해양기상정보 시스템 구축 및 서비스 제공

  • 강영록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1-302
    • /
    • 2015
  • 목포청 외 4개청(인천, 여수, 진도, 대산)의 해양기상정보시스템을 진도항로표지사무소에 통합구축 (통합 DB, 시스템 등)하여 효율적인 정보생성과 해경 및 유관기관(기상청, 국립해양조사원)에 항행선박 안전을 위한 해양기상정보를 제공하고 있음.

  • PDF

국지성 기상변화로부터의 피해방지를 위한 WSN 기반의 기상용 필드서버 제작 (Design of WSN-based Weather Field Server for Damage Prevention from Local Weather Condition Changes)

  • 안성모;김재경;유재호;정완영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51-15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IEEE 802.15.4 기반의 신뢰성 있는 기상데이터의 계측과 모니터링을 위한 기상용 필드서버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제안된 기상용 필드서버는 무선통신을 담당하는 센서노드와 각각의 기상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센서보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합한 필드서버를 구축하여 산림, 계곡지역의 국지성 기상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서버 PC에서는 각각의 기상관련 정보를 모니터링 및 분석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구축하여 국지성 기상변화로부터의 피해방지를 위해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하였다.

  • PDF

가뭄감시를 위한 지면모델 앙상블 GLDAS의 활용성 평가 (Evaluation of Land Surface Model Ensemble GLDAS for drought monitoring)

  • 박준형;김문현;박향숙;김연희;김백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7-227
    • /
    • 2016
  • 일반적으로 가뭄은 신뢰성 높고 활용이 쉬운 강수량 자료를 활용하여 판단되고 있으나, 복합적인 대응을 하기 위해서는 증발산량, 토양수분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수문기상정보들은 관측자료의 자료 확보기간이 통계 분석을 하기에 짧거나, 시공간적 대표성 부족 등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면모델이 대안으로 널리 활용중이나, 이를 실제로 가뭄에 활용한 응용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NASA의 전지구지표자료동화체계 GLDAS (Global Land Data Assimilation System) 산출물을 활용하여 지면모델 기반의 수문기상정보를 국내 가뭄감시 연구에 적용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LDAS 프로젝트를 통해 제공되는 다중모델 기반의 증발산량, 토양수분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직접 활용할 수 있는 가뭄판단 지수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GLDAS 산출 정보가 가뭄판단에 있어 발휘하는 성능을 평가함으로써, 향후 본원에서 구축할 지면 모델 앙상블 시스템의 가뭄감시정보 산출의 효과를 간접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 PDF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개념 설계

  • 오세웅;최현수;강동우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64-365
    • /
    • 2018
  •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는 필수정보로서 현재 Weather Fax나 수로서지를 통해 정보를 활용하고 있다. e-Navigation 전략이행계획에는 해사서비스목록(MSP)을 정의 하였으며,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를 전자 데이터로 서비스 하기 위해 서비스 개념과 기술 사양을 개발 중이다.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개발 연구에서는 기상청과 국립해양조사원에서 생산하는 데이터를 이용하고 S-100 기반의 국제표준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형 e-Navigation 서비스 아키텍처와 개발 기술을 기반으로 해양기상 및 수로환경정보 서비스 운영 개념을 설계 하였다.

  • PDF

기상레이다에서의 비대칭 도플러 모델 (A Skewed Doppler Spectrum Model in a Weather Radar)

  • 이종길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853-856
    • /
    • 2007
  • 기상 레이다에서의 반사 신호는 비, 구름 등에 의하여 산란되는 전자파 신호로서 이러한 도플러 신호를 분석함으로서 여러 가지 특징적인 기상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기상정보를 정확히 추출하기 위해서는 지표면 클러터 및 레이다에서의 도플러 기상정보들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그 특징을 잘 파악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대칭형 도플러 스펙트럼 모델을 개선할 수 있는 비대칭 도플러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상 도플러 스펙트럼 모텔은 기상조건, 운영환경 및 시스템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모의될 수 있으므로 기상 레이다 정보추출의 신뢰성 검증 및 성능향상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기상신호표지 시스템 구축과 비젼

  • 나성진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09년도 공동학술대회
    • /
    • pp.525-531
    • /
    • 2009
  • 우리나라 항로표지의 원격관리는 항로표지집약관리로 2002년부터 목포 등 5권역에 설치가 되었다. 항로표지의 원격관리의 핵심요소는 정확한 항로표지의 정보의 수집과 원격관리가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해당 시기의 통신매체와 정보통신기술의 제약성과 자국 시스템의 전원의 효율성이 원인이 되어 유지보수와 안정적인 운용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기상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기상신호표지에 대한 새로운 시도는 항로표지관리의 새로운 관리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고찰을 통해 향후 기상을 통합한 항로표지통합관리시스템으로의 발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해보고자 한다.

  • PDF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품질 개선 성과

  • 김남영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0-32
    • /
    • 2023
  • 전국 항만, 연안해역의 항로표지에 해양기상 및 조류신호표지를 구축하여 국지적 해양관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품질분석과 관계자간 간담회를 통해 얻은 현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조치사항들을 통해 정상자료율을 높여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품질을 개선하였다.

  • PDF

농업기상관측 및 작물병 예찰용 통합 시스템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Agricultural Meteorological Data Acquisition and Plant Disease Forecasting)

  • 김규랑;박은우;양장석;김성기;홍순성;윤진일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1-128
    • /
    • 1996
  • 농업 기상 자료의 수집 및 식물병 예찰 절차를 통합한 시스템을 -32비트 개인용 컴퓨터 운영 체계인 OS/2에서 개발하였다. 통합 시스템은 무인기상관측기(AWS)로부터 자료 수집을 하는 절차, 준실시간 기상자료로부터 병예찰을 하는 절차, 기상 정보와 병예찰 정보를 글과 그림으로 출력하는 절차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 있다. 통합 시스템은 여러 지역의 실시간 기상 자료를 수집하며 기상 자료를 이용하여 각 지역의 병예찰 정보를 즉시 생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 자료를 이용한 병예찰 모형의 예로서 도열병 예찰 시뮬레이션 모형을 사용하였다. 또한 식물병 예찰을 위하여 무인기상관측기가 갖추어져야 하는 최소한의 요구 사항을 검토하였다. 본 시스템은 각종 식물병 예찰 모형의 개발과 관련하여 각 모형의 구동을 위하여 쓰여질 수 있을 것이다. 현재 각 농촌진흥원과 지도소에는 많은 수의 무인기상관측기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본 시스템을 실용화 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정지궤도 기상위성자료 서비스 동향 (Trends on Data Services of Geostationary Meteorological Satellite)

  • 이보람;김태정;최장섭;신동기;안도섭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1권3호
    • /
    • pp.91-100
    • /
    • 2016
  • 뉴스와 신문, 라디오, 인터넷에 이르기까지 기상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매체가 없는 시대가 되었다. 그만큼 기상정보는 세계적이며 동시에 개인적인, 무엇보다 생활에 밀접한 정보이다. 국민은 보다 정확하며 신속한 정보를 요구하며, 이에 답하기 위해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는 유관기관들과 천리안의 뒤를 이을 후속 기상위성 개발에 착수하였다. 자연재해 대비에서부터 수많은 산업과 서비스업에 이르기까지, 기상정보는 관련 분야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다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한민국 최초의 기상위성 천리안과, 일본 Himawari-8호의 위성자료 서비스 현황을 소개한다.

  • PDF

식생가뭄반응지수(VegDRI) 국내 적용방안 기초연구 (Preliminary Research on Domestic Application of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VegDRI))

  • 박준형;지희숙;임윤진;김백조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8-248
    • /
    • 2017
  • 최근 가뭄 모니터링을 위해 과거에 비하여 고해상도의, 물리적으로 기반을 두는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통계적 방법론 기반의 가뭄지수들은 지니고 있는 한계에 대해 여러 개선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기상변수로부터 지표상의 식생 관련 변수로의 전파 과정에 대한 개별 통계적 가뭄지수 간의 관계 설명이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관계로, 국내 유역에서의 물리적 기반을 둔 고해상도 가뭄 판단방법에 대한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Brown et al. (2008)은 위성기반 식생정보, 기상학적 가뭄지수, 지형학적 조건을 고려한 식생가뭄반응지수(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이하 VegDRI)를 개발하였다. 학습자료에 대해 CART 기반의 경험적 모델을 구축하여, 격자마다 근-실시간 자료를 적용한 VegDRI를 산출하여 고해상도의 지도를 산출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VegDRI는 NCDC의 U.S. Drought Monitoring에 활용되고 있으며, NOAA의 Drought Task Force Assessment Protocol에서는 가뭄 모니터링의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VegDRI를 적용하고자 필요한 자료수집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상청 ASOS 기상관측소에서 얻은 기상변수, MODIS 위성으로부터 추출된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지형학적 정보와 기상학적 가뭄지수(SPI, PDSI)를 기계학습으로 모델링하여 VegDRI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VegDRI 공간분포도에 대하여 기존에 활용되던 유관기관의 가뭄 판단방법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