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데이터

Search Result 1,142,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nalysis of extreme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using copula (코플라함수를 이용한 극단치 강풍과 강수 분석)

  • Kwon, Taeyong;Yoon, Sanghoo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8 no.4
    • /
    • pp.797-810
    • /
    • 2017
  • The Korean peninsula is exposed to typhoons every year. Typhoons cause huge socioeconomic damage because tropical cyclones tend to occur with strong winds and heavy precipitation. In order to understand the complex dependence structure between strong winds and heavy precipitation, the copula links a set of univariate distributions to a multivariate distribution and has been actively studied in the field of hydrology.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analysis using data of wind speed and precipitation collected from the weather stations in Busan and Jeju. Log-Normal, Gamma, and Weibull distributions were considered to explain marginal distributions of the copula. Kolmogorov-Smirnov, Cramer-von-Mises, and Anderson-Darling test statistics were employed for testing the goodness-of-fit of marginal distribution. Observed pseudo data were calculated through inverse transformation method for establishing the copula. Elliptical, archimedean, and extreme copula were considered to explain the dependence structure between strong winds and heavy precipitation. In selecting the best copula, we employed the Cramer-von-Mises test and cross-validation. In Busan, precipitation according to average wind speed followed t copula and precipitation just as maximum wind speed adopted Clayton copula. In Jeju, precipitation according to maximum wind speed complied Normal copula and average wind speed as stated in precipitation followed Frank copula and maximum wind speed according to precipitation observed Husler-Reiss copula.

A Study on the Safety Distance of Benzene and Acrylonitrile Releases in Sccordance with Dike and Hole Size (벤젠 및 아크릴로나이트릴 누출시 방류벽 유무 및 누출공에 따른 피해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연구)

  • Kawg, Youngmin;Oak, Jaemin;Yoon, Sukyoung;Jung,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s
    • /
    • v.22 no.1
    • /
    • pp.18-25
    • /
    • 2018
  • As the industries become more developed, the amounts of hazardous materials have been increased. Because of that, the possibility of accidents in plants is expected to increase. Especially, the dispersions of toxic materials cause serious effect to human life and environment, So it is very important to confirm safety distance of discharge accident. For this paper, we proposed new algorithms for toxic liquid, such as benzene and acrylonitrile. and using this argorithm, we are going to predict safety distance. The scenario of accidental release was assumed to be the release of entire quantity in 10 minutes is defined as worst-case scenario and Instantaneous release. Also the release from a partial rupture of line is used as an alternative case scenarios as NICS(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guidelines. Using ALOHA program and the algorithm for liquid toxic materials and suggested the graph, as well as correlated equations which can utilize emergency responders.

Analysis of Temperature Gradients in Greenhouse Equipped with Fan and Pad System by CFD Method (CFD 기법을 이용한 팬 앤 패드 냉방 온실의 온도경사 분석)

  • Nam Sang Woon;Giacomelli Gene A.;Kim Kee Sung;Sabeh Nadia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14 no.2
    • /
    • pp.76-82
    • /
    • 2005
  • Evaporative cooling pad system is one of the main cooling methods in greenhouses and its efficiency is very high. However, it has some disadvantages such as greenhouse temperature distributions are not uniform and installation cost is expensive. In this study, a CFD simulation model f3r predicting the air temperature distribution in the fan and fad cooling greenhouse was developed. The model was calibrated and validated against experimental data and a good fit was obtained. The influence of different outside wind, fan and pad height, ventilation rate, shading, and greenhouse length, were then examined. In order to reduce the internal temperature gradients, it is desired that the prevail wind direction and the fan and pad heights are considered. The simulation indicates that high ventilation rates and shading contribute to reduce the temperature gradients in the fan and pad cooling greenhouse. In order to maintain the desired greenhouse temperature, the pad-to-fan distance should be restricted according to the design climate conditions, shading and ventilation rates. The developed CFD model can be a useful tool to evaluate and design the fan and pad systems in the greenhouses with various configurations.

The Risk Analysis of Flood in Nakdong-river Basin-Focused on the Effect of Hydraulic Structure (수공구조물 영향을 고려한 낙동강 유역에서의 홍수 위험 분석)

  • Kim, Hyun-Jung;Moon, Bo-Ram;Bae, Sung-Hwan;Han, Kun-Ye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08-608
    • /
    • 2012
  • 현재 기후변화의 기상변동성이 커짐에 따라 태풍 및 집중호우 등의 이상기후 현상이 전 지구상에 걸쳐 광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IPCC에서는 이러한 기후변화가 기온 상승에 따른 증발산량의 증가, 강수량 및 유출량의 시공간적 분포의 변동 등을 초래하여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안정적인 공급에 어려움을 증대시킬 것으로 전망하였다. 뿐만 아니라 현재 국내 전반에 걸쳐 4대강 사업이 진행되고 있고, 낙동강에서도 낙동강 살리기 사업이 실시되어 주변 지형들의 변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지형의 변화는 현재까지 구축되어 있는 기존자료의 대폭적인 변화를 의미하므로 홍수관련 연구결과에도 변화를 의미하고 있다. 이에 따라 4대강 사업 이후의 기후 변화에 따른 낙동강유역에서의 유출량의 증가를 분석하여 극한홍수의 발생가능성을 제시하고 이러한 극한홍수발생에 따른 위험지역도 과거에 의해 변경될 것으로 판단되어 국내외적으로 하천의 수리검토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1차원 수리해석 프로그램인 FLDWAV를 이용하여 취약지점을 분석하고 위험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낙동강 살리기 사업으로 낙동강에 건설된 8개의 보를 고려한 본류 및 지류에서의 제내지 및 제외지 지형데이터를 구축하고 구축된 자료을 이용해 낙동강 본류 및 지류에 대해서 극한홍수시 200년 빈도, 500년 빈도 홍수량 및 홍수위를 FLDWAV를 통해 정상류로 계산해서 예측하고 500년 빈도 홍수량과 홍수위를 부정류로 계산하여 제방고와 홍수위를 비교하여 범람위험지역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통해 GIS를 통하여 범람위험지역 제내지의 주요도심 구간 포함, 범람 범위를 분석함과 동시에 극한홍수에 따른 도심구간, 비도시구간 등의 범람범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정한 범람위험지역의 범람 피해규모를 산정하고 피해범위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500년 빈도 홍수시 범람위험지역은 낙동강 본류의 하류부에서 각각 154.7km, 123.2km, 12.9km에 위치한 지점이 선정되었으며 각 지점의 피해규모는 제내지에 범람된 유출량의 수위는 각각 21.7m, 24.3m, 2.11m로 계산되었고 이때의 피해면적은 각각 $2.68km^2$, $2.64km^2$, $1.25km^2$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한 극한홍수 발생 가능성과 취약지점의 분석을 통한 지역의 홍수피해 저감과 정책개발에 기본 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낙동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한 하천주변 지형의 변화를 제공함으로서 앞으로 진행될 연구의 기본 자료로서 이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전의 홍수방어계획을 개선한 새로운 홍수방어계획의 수립을 통하여 향후 발생될 홍수의 예방 및 대응방안 수립의 참고자료로 이용될 것이며 제내지 및 제외지의 공간확보 연구를 통해 해당 지자체의 토지매수계획의 참고자료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Estimation of Surplus Solar Energy in Greenhouse Based on Region (지역별 온실내의 잉여 태양에너지 산정)

  • Yoon, Yong-Cheol;Im, Jae-Un;Kim, Hyeon-Tae;Kim, Young-Joo;Suh, Won-Myung
    •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 /
    • v.45 no.4
    • /
    • pp.135-141
    • /
    • 2011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of surplus heat for designing solar heat-storage systems. The surplus heat is defined as the heat exhausted by forced ventilations from the greenhouses to control the greenhouse temperature within setting limits. Various simulations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thermal behaviors among greenhouse types as well as among several domestic areas by using pseudo-TMY (Typical Meteorological Year) data manipulated based both on the weather data supplied from Korean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nd the TMY data supplied from The Korean Solar Energy Society. Additional analyses were carried out to examine the required heating energy together with some others such as the energy balances in greenhouses to be considered. The results of those researches are summarized as follows. Regional surplus solar heats for the nine regions with 4-type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 of surplus solar energy compared to heating energy was the highest in Jeju (about 212.0~228.0%) for each greenhouse type. And followed by Busan, Kwangju, Jinju, Daegu, Daejeon, Jeonju, Suwon and Daekwanryung. And irrespective of greenhouse types, surplus solar energy alone could cover up nearly all of the required supplemental heating energy except for a few areas.

1D, 2D interpretation of stream flooding by HEC-RAS and TELEAMC-2D (HEC-RAS, TELEMAC-2D 모형을 이용한 1, 2차원 하천 범람 해석)

  • Sim, Gyu Hyeon;Song, Si Hoon;Lee, Byung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94-394
    • /
    • 2015
  •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산업화와 도시화로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기상이변의 발생빈도가 높아졌고 기후가 불안정하여 예전보다 많은 집중호우가 발생하면서, 홍수로 인한 제내지 침수가 발생되기도 한다. 기후변화로 인한 수재해에 대응하기 위하여 하천 호소 수리 예측 모형의 개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자연하천 유역의 강우-유출 상관관계와 지표면 유출현상 및 하도 수리 특성을 자연현상의 복잡성, 강우발생의 시간적 공간적인 발생과정의 임의성, 정확한 해석방법 및 확률 분석에 따르는 불확실성 들을 토대로 단순한 이론과 제한적인 경험공식 등에 의해서 해석, 재현 및 평가를 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최근 I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많은 연구자, 엔지니어들이 기존 수리 수문학적 지식과 IT기술을 융합하여 복잡 다단한 수자원 환경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최근 연구 동향에 의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HEC-RAS, TELEMAC-2D 1, 2차원 수리 모형을 연계하여 하천 흐름 분석 및 홍수 범람 해석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HEC-RAS, TELEMAC 모형을 적용하여 2012년 태풍 '산바(SANBA)'로 인해 홍수 피해를 입은 고령군에 위치한 낙동강 본류 회천 유역(상류 회천교 ~ 하류 도진교)의 하도 내 흐름 분석과 하천 인근 제내지 홍수범람을 예측하였다. 범람해석에 필요한 지형자료를 기초로 하여 각 지형의 조건에 맞게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하였고, 수자원 정보를 이용하여 유랑, 수위 등 시계열자료를 지류 및 상 하류의 경계조건으로 설정하고, 조도계수 등 하천 기본정보들을 입력하였다. HEC-RAS 모형은 회천교부터 도진교까지 전구간에 대한 종단면과 횡단면별 홍수침수범위 및 홍수위 크기 등 거시적인 1차원 수리해석에 적용하였고, TELEMAC 모형은 HEC-RAS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HEC-RAS에서 나타내기 힘든 2차원 흐름특성, 침수현상 등 일부 범람 구간에 대해 수리해석에 적용하였다. HEC-RAS 시스템은 수공구조물들의 영향과 하천의 영향을 종 횡단면으로 다양한 홍수침수 범위를 1차원으로 나타 낼 수 있으며, TELEMAC 시스템 수리 모의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유속, 유량, 수심, 하상고 높이 등 2차원으로 나타낼 수 있다. TELEMAC 시스템을 활용한 2차원 분석은 실측자료와 비교적 유사하고 시각, 공간적으로 이해하기 쉽게 표현되므로, 모형 적용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유역 해석을 위한 수치데이터, 수위, 유량자료를 확보하여 HEC-RAS, TELEMAC 1, 2차원 연계 모형을 적용 한다면, 하천 준설, 하천 구조물 설치, 홍수피해 등 전반적인 하천관리 계획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PDF

Factors analysis of the cyanobacterial dominance in the four weirs installed in of Nakdong River (낙동강의 중·하류 4개보에서 남조류 우점 환경 요인 분석)

  • Kim, Sung jin;Chung, Se woong;Park, Hyung seok;Cho, Young cheol;Lee, Hee su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413-413
    • /
    • 2019
  • 하천과 호수에서 남조류의 이상 과잉증식 문제(이하 녹조문제)는 담수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감소시키며, 음용수의 이취미 원인물질을 발생시켜 물 이용에 장해가 된다. 또한 독소를 생산하는 유해남조류가 대량 증식할 경우에는 가축이나 인간의 건강에 치명적 해를 끼치기도 한다. 그 동안 국내에서 녹조문제는 댐 저수지와 하구호와 같은 정체수역에서 간헐적으로 문제를 일으켰으나, 4대강사업(2010-2011)으로 16개의 보가 설치된 이후 낙동강, 금강, 영산강 등 대하천에서도 광범위하게 발생되고 있어 중요한 사회적 환경적 이슈로 대두되었다. 한편, 대하천에 설치된 보 구간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녹조현상의 원인에 대해서는 전 지구적 기온상승에 따른 기후변화의 영향이라는 주장과 유역으로부터 영양염류의 과도한 유입, 가뭄에 따른 유량감소, 보 설치에 따른 체류시간 증가 등 다양한 의견이 제시되고 있으나, 대상 유역과 수체의 특성에 따라 녹조 발생의 원인이 상이하거나 또는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보편적 해석(universal interpretation)이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각 수계별, 보별 녹조현상에 대한 정확한 원인분석과 효과적인 대책 마련을 위해서는 집중된 실험자료와 데이터마이닝 기법에 근거로 한 보다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2년 보 설치 이후 남조류에 의한 녹조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는 낙동강 4개보(강정고령보, 달성보, 합천창녕보, 창녕함안보)를 대상으로 집중적인 현장조사와 실험분석을 수행하고, 수집된 기상, 수문, 수질, 조류 자료에 대해 통계분석과 다양한 데이터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보별 남조류 우점 환경조건과 이를 제어하기 위한 주요 조절변수를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 보 별 수질과 식물플랑크톤의 정성 및 정량 실험은 2017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2년에 걸쳐 실시하였으며, 남조류 세포수 밀도와 환경요인과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단계적 다중회귀모델(Step-wise Multiple Linear Regressions, SMLR), 랜덤포레스트(Random Forests, RF) 모델과 재귀적 변수 제거 기법(Recursive Feature Elimination using Random Forest, RFE-RF)을 이용한 변수중요도 평가, 의사결정나무(Decision Tree, DT), 주성분분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기법 등 다양한 모수적 및 비모수적 데이터마이닝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보별 남 조류 우점 환경요인을 종합적으로 해석하였다.

  • PDF

Application of DINEOF to Reconstruct the Missing Data from GOCI Chlorophyll-a (GOCI Chlorophyll-a 결측 자료의 복원을 위한 DINEOF 방법 적용)

  • Hwang, Do-Hyun;Jung, Hahn Chul;Ahn, Jae-Hyun;Choi, Jong-Kuk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6_1
    • /
    • pp.1507-1515
    • /
    • 2021
  • If chlorophyll-a is estimated through ocean color remote sensing, it is able to understand the global distribution of phytoplankton and primary production. However, there are missing data in the ocean color observed from the satellites due to the clouds or weather conditions. In thisstudy, the missing data of the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chlorophyll-a product wasreconstructed by using DINEOF (Data INterpolation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DINEOF reconstructs the missing data based on spatio-temporal data, and the accuracy was cross-verified by removing a part of the GOCI chlorophyll-a image and comparing it with the reconstructed image. In the study area, the optimal E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mode for DINEOF wasin 10-13. The temporal and spatialreconstructed data reflected the increasing chlorophyll-a concentration in the afternoon, and the noise of outliers was filtered.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DINEOF is useful to reconstruct the missing images, also it is considered that it is able to use as basic data for monitoring the ocean environment.

Improvement of Ortho Image Quality by Unmanned Aerial Vehicle (UAV에 의한 정사영상의 품질 개선 방안)

  • Um, Dae-Yong;Park, Joon-Kyu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9 no.11
    • /
    • pp.568-573
    • /
    • 2018
  • UAV(Unmanned Aerial Vehicle) is widely used in space information construction, agriculture, fisheries, weather observation, communication, and entertainment fields because they are cheaper and easier to operate than manned aircraft. In particular, UAV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the speed and cost of data acquisition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However, ortho image images produced using UAVs are distorted in buildings and forests. It is necessary to solve these problems in order to utilize the geospatial information field. In this study, fixed wing, rotary wing, vertical take off and landing type UAV were used to detect distortions of ortho image of UAV under various conditions, and various object areas such as construction site, urban area, and forest area were captured and analysed. Through the research, it was found that the redundanc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is the biggest factor of the distortion phenomenon, and the higher the flight altitude, the less the distortion phenomenon. We also proposed a method to reduce distortion of orthoimage by lowering the resolution of original image using DTM (Digital Terrain Model) to improve distortion. Future high-quality unmanned aerial vehicles without distortions will contribute greatly to the application of UAV in the field of precision surveying.

Application of recurrent neural network for inflow prediction into multi-purpose dam basin (다목적댐 유입량 예측을 위한 Recurrent Neural Network 모형의 적용 및 평가)

  • Park, Myung Ky;Yoon, Yung Suk;Lee, Hyun Ho;Kim, Ju Hwa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1 no.12
    • /
    • pp.1217-1227
    • /
    • 2018
  •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dam inflow prediction model using recurrent neural network theory. To achieve this goal, the Artificial Neural Network (ANN) model and the Elman Recurrent Neural Network(RNN) model were applied to hydro-meteorological data sets for the Soyanggang dam and the Chungju dam basin during dam operation period. For the model training, inflow, rainfall, temperature, sunshine duration, wind speed were used as input data and daily inflow of dam for 10 days were used for output data. The verification was carried out through dam inflow prediction between July, 2016 and June, 2018.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rediction performance between ANN model and the Elman RNN model in the Soyanggang dam basin but the prediction results of the Elman RNN model are comparatively superior to those of the ANN model in the Chungju dam basin. Consequently, the Elman RNN prediction performance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or better than the ANN model. The prediction performance of Elman RNN was notable during the low dam inflow period. The performance of the multiple hidden layer structure of Elman RNN looks more effective in prediction than that of a single hidden layer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