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상관측센서

Search Result 16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Introduction to high resolution weather observation of SK Planet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소개)

  • Myung, Kwang Min;Park, Won Se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77-77
    • /
    • 2015
  • 기상이변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피해의 증가로 기상정보에 대한 중요성이 커지면서 해외에서는 민간 기업이 기상 관측망을 구축하는 사례가 나타났다. 미국의 Earth Network은 전 세계에 1만개의 기상 관측센서를 설치하였고, 일본의 통신회사인 NTT DoCoMo는 일본에 4000여 개의 기상 및 환경관측 센서를 구축하였다. 국내에서는 SK플래닛이 자사의 플랫폼 기술과 SK텔레콤의 기지국 인프라를 활용하여 수도권 지역에 국지기상 관측망을 구축하였다. SK플래닛은 2013년 서울지역에 1km 간격으로 264개의 기상센서를 설치하고, 2014년 인천 경기지역에 3km 간격으로 825개의 기상센서를 추가 설치하여, 현재 1089개의 국지기상 관측망을 운용하고 있다. 관측에 사용한 센서는 우량계와 복합 기상센서로 강수량, 기온, 습도, 바람, 기압을 측정한다. 관측된 자료는 데이터로거에서 기상청의 자료처리 표준규격에 따라 처리한 후 M2M 모뎀을 통해 1분마다 서버로 전송한다. 전송된 자료는 기상정보 플랫폼의 수집 서버에서 프로토콜 변환 후 원본자료 DB에 저장하고, 실시간 품질관리를 마친 후 품질관리 자료 DB에 저장한다. 관측 지점의 기본정보 및 작업이력은 메타데이터 DB에 저장되고 관리자 페이지를 통해 조회 및 수정 된다. 관측 자료의 품질 보증은 제조사의 센서 Calibration부터 서비스 모니터링 까지 각 단계별로 체계적인 품질관리를 통해 이루어진다. 품질관리를 마친 국지기상 관측 데이터는 응용프로그램 개발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형태로 제공된다. 2013년 여름부터 수집된 1~3km 해상도의 SK플래닛 국지기상 관측 자료를 통해 그 동안 정량적으로 확인하지 못한 국지성 호우 시의 강수량 편차에 대해 알 수 있었다. 2014년 7월 31일 양평지역에 내린 국지성 호우는 시간당 최대 90mm 이상의 비가 내린 사례로, 귀여리 관측소(SK 플래닛)에 시간당 93.1mm가 내리는 동안 퇴촌 관측소(기상청)에는 17.5mm의 비가 내려, 두 관측지점 간 거리가 3.4km 임에도 불구하고 시간당 75mm 이상의 강수량 차이를 보였다. 앞으로 SK플래닛의 국지기상 관측 자료가 국지성 호우의 조기 경보 및 예측 정확도 향상에 활용되어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데 많은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PDF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the Traffic Weather Information Based on the Rain Rainfalling Sensor Information (차량용 강우센서기반 강우센서 정보를 활용한 도로 기상정보 관리에 관한 연구)

  • Lee, Byung-hyun;Lee, Suk-Ho;Kwon, Bo-Ra;Kim, Byu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27-27
    • /
    • 2018
  • 최근 국지적인 집중 호우에 따른 홍수 피해와 도로에 홍수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기존의 도로위 강우관측 방식은 인근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을 활용하며 지상 관측소 또는 AWS기상관측소의 관측 네트워크와 근접한 거리에서 강우량 편차가 크고 원하는 위치에서의 강우량과 다르며 인근관측소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강우량의 정확도는 감소하게 된다. 국지적인 집중호우로 인한 도로위의 홍수에 따른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현재 운영 중인 관측망 외에 보다 상세화된 위치에서 강우량을 관측하고 이에 따라 실시간으로 강우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원하는 위치에서의 보다 정확한 강우량 값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강우 관측망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차량용 강우센서는 관측시 차량을 사용하기 때문에 고밀도 강우 관측 망을 형성하기 용이하다. 하지만 기존 강우량계와 달리 차량용 강우센서는 빛의 양을 이용하여 강우량을 변환시켜 측정되기 때문에 정확한 강우보정기술의 개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차량용 강우센서를 활용하여 정확도 높은 강우량 관측을 위한 관계식을 개발했습니다. 관계식은 실내실제 관측되는 차량용 강우센서 정보 값에 적용하여 강우량을 생산하고 실제 강우관측 값과 비교 검실험을 통해 도출한 후 강우 관측장비 인근에서 실제 주행실험을 통해 강우관측소에서 관측된 강우량 값과 비교 및 검증을 수행하였습니다. 차량용 강우센서 정보 수집을 위해 데이터 스키마를 표준화하여 실시간으로 수집체계를 구축하였고 이는 보다 여러 위치에 있는 많은 차량에서 재해 관리를 위해 도로기상정보를 수집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DF

Research on the Meteorological Technology Development using Drones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산업혁명에서 드론을 활용한 기상기술 개발 연구)

  • Chong, Jihyo;Lee, Seungho;Shin, Seungsook;Hwang, Sung Eun;Lee, Young-tae;Kim, Jeoungyun;Kim, Seungbum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9 no.11
    • /
    • pp.12-21
    • /
    • 2019
  •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ones have become a flexible device that can be integrated with new technologies. The drones were originally developed as military unmanned aircraft and are now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In the environment and weather observation area,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is near the surface where the atmosphere is the most active in the meteorological phenomenon and has a close influence on human activities. In order to carry out the study of these atmospheric boundary layers, it is necessary to observe precisely the lower atmosphere and secure the observation technology. The drones in the meteorological field can be used for meteorological observations at a relatively low maintenance cost compared to existing equipment. When used in conjunction with various sensors, the drones can be widely used in atmospheric boundary layer and local meteorological studies. In this study, the possibility of meteorological observations using drones was confirmed by conducting vertical meteorological (temperature and humidity) observation experiments equipped with a combined meteorological sensor and a radio sonde on drones owned by NIMS.

정지궤도 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 및 기술 동향

  • Kim, Jung-Py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74-82
    • /
    • 2006
  • 정지궤도 상에서 기상 관측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주요 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의 전송 및 분배 시스템의 구성 현황 및 주요 전송 파라미터를 분석하고 현재 개발되고 있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관측 데이터 전송 시스템 구성 및 채널별 주요 전송 파라미터를 제시한다. 제한된 기상 주파수 전송 대역에 대해 갈수록 고성능화 되어가는 기상 센서에 따른 대용량 기상관측 데이터 전송 및 분배를 위한 전송 방법 및 주파수 대역의 변경, 지상망 및 상업용 위성 통신망의 활용방안을 살펴본다.

  • PDF

Development of Correction Formulas for KMA AAOS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기상청 농업기상관측망 토양수분 관측자료 보정식 개발)

  • Choi, Sung-Won;Park, Juhan;Kang, Minseok;Kim, Jongho;Sohn, Seungwon;Cho, Sungsik;Chun, Hyenchung;Jung, Ki-Yuol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 /
    • v.24 no.1
    • /
    • pp.13-34
    • /
    • 2022
  • Soil moisture data have been collected at 11 agrometeorological stations operated by The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accuracy of soil moisture data of KMA and develop a correction formula to be applied to improve their quality. The soil of the observation field was sampled to analyze its physical properties that affect soil water content. Soil texture was classified to be sandy loam and loamy sand at most sites. The bulk density of the soil samples was about 1.5 g/cm3 on average. The content of silt and clay was also closely related to bulk density and water holding capacity. The EnviroSCAN model, which was used as a reference sensor, was calibrated using the self-manufactured "reference soil moisture observation system". Comparison between the calibrated reference sensor and the field sensor of KMA was conducted at least three times at each of the 11 sites. Overall, the trend of fluctuations over time in the measured values of the two sensors appeared similar. Still, there were sites where the latter had relatively lower soil moisture values than the former. A linear correction formula was derived for each site and depth using the range and average of the observed data for the given period. This correction formula resulted in an improvement in agreement between sensor values at the Suwon site. In addition, the detailed approach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correction value for the period in which a correction formula was not calculated. In summary, the correction of soil moisture data at a regular time interval, e.g., twice a year, would be recommended for all observation sites to improve the quality of soil moisture observation data.

Research on the meteorological technology development using drones for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차산업혁명의 드론을 활용한 기상기술 개발 연구)

  • Chong, Jihyo;Lee, Seungho;Shin, Seungsook;Kim, Jeoungyun;Kim, Seungbum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173-174
    • /
    • 2019
  • 4차산업혁명시대의 기상 분야에 드론을 활용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기경계층은 지표면에 가까워 기상현상이 활발하여 인간 활동에 밀접한 영향을 미쳐 하층 대기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상센서를 기상관측용 드론에 탑재하여 연직 기상관측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드론을 활용한 기상관측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An Implementation of Radiosonde for Atmospheric Pressure Information Acquisition (대기압 정보획득을 위한 상층기상관측기 구현)

  • 서정호;황소영;김영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achine Tool Engineers Conference
    • /
    • 2002.04a
    • /
    • pp.618-620
    • /
    • 2002
  • 일기예보나 기상예측 등을 위해서 필요한 대기압, 온도, 습도와 같은 기상정보 중에서 대기압의 변화를 측정하기위한 고층기상관측기를 설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 구현되어 있는 고층기상관측기의 구조와 특징을 파악, 분석 후 대기압 상용센서를 하여 기존의 고층기상관측기와 비교해 구조적으로 간단하고 저가에 구현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Oceanographic and Meterological Information Service System Construction using Yeosu Area Aid to Navigation (여수권역 해양교통시설을 이용한 해양기상정보 서비스 시스템 구축)

  • Park, In-Hwan;Gug, Seung-Gi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2.10a
    • /
    • pp.393-395
    • /
    • 2012
  • 여수권역 해양교통시설에 해양기상 수집 시스템을 구축하여, AtoN AIS를 이용하여 주변을 항해중인 선박에 해양기상 정보를 직접 제공하고, AIS 기지국을 통해 해양기상 정보를 수집 처리하여 연안여객터미널, 해경 파출장소, 유관기관을 해양기상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도서민이나 해양에 종사하는 사람, 레져 인구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서 해양교통시설을 활용하여 좀 더 안전한 해양 업무를 수행하고 사고로 인한 인명 및 물적, 환경적인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여수권역 해양교통시설에 6개 국소와 별도의 기상관측 부이를 설치하여 대기기상(풍향/풍속, 기온/습도, 기압, 시정) 과 해양기상(유향/유속, 파향/파고, 수온)을 관측 할 수 있도록 구축하였으며, 기상관측 표준화법에 맞게 센서를 검정하고, 설치하여 관측 자료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 PDF

Channel Design of COMS Sensor Data Transmitter and Receiver System (COMS 센서 데이터 송수신 채널 시스템 설계)

  • Kim, Young-Wa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1 no.3
    • /
    • pp.444-451
    • /
    • 2007
  • The design parameters of transmitter and receiver channel systems for COMS, which provides meteorological and ocean data services, were analyzed and the channel design parameters for a proper design of a small user-terminal were proposed in this paper. The COMS transmits the oceanic observation data by using the S/L-band link to the earth station. The meteorological data also are transmitted to the earth station, the meteorological data services, which are processed in the earth station, are provided to user. The sensor data are transmitted as digital signal type and are received by bilateral small-sized user terminals. So the optimal channel system for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sensor data should be designed on the basis of the channel modeling and analyzed results for primary technologies.

차량용 강우 센서의 신호체계(signal)와 관측자료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회귀식 개발

  • Kim, Young Gon;Jung, Se Jin;Lee, Suk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218-218
    • /
    • 2016
  • 차량용 강우 센서는 강우측정이 어려운 지역의 강수량 측정이 가능하고, 실시간으로 강우정보를 생성해 내기 때문에 차세대 강우측정기로써 전망이 기대된다. 차량용 강우 센서는 일반적인 강우관측기와 달리 물 입자가 커질수록 빛의 산란이 크게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한다. 산란이 크게 일어나면 강우 센서에 입력되는 값이 줄고 이는 강수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강우가 발생하면 자동차 전면 유리창에 부착된 강우 센서가 감지하는 우적량을 강우량으로 환산하는 방법을 통해 강우량을 산정한다. 강우가 쌓이고 나서 나중에 그 값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즉시 그 값을 계산하여 강우량을 산출해야하기 때문에 단계가 복잡하다. 수식이 복잡할수록 오차가 발생할 확률도 크고 처리 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W-S-R 관계식을 이용하여 복잡한 수식을 간단하게 정리할 필요가 있다. AWS 기상관측소와의 비교 분석을 위해 차량에 우량계를 장착하였으며 W-S-R 관계식을 통하여 상관관계 분석하여 회귀식을 도출 한다. W-S-R 관계식이라 함은 와이퍼의 속도관계(W), 강우센서(S), 실제 강우(R)을 의미한다. 여기서 와이퍼의 속도관계는 와이퍼의 한 번 이동 했을 시 실제 강우는 실내강우발생 장비를 제작하여 10~80mm의 강우를 발생시키고 그 값은 우량계로 관측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 입자의 산란과 차량용 강우 센서 간의 관계식 도출과 W-S-R 관계식을 이용하여 실제 강우 정보와의 상관관계를 위한 분석을 통한 회귀식 개발을 목표로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