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본 정서

Search Result 154,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evelopment of Psychophysiological Indices for Discrete Emotions (정서의 심리적.생리적 측정 및 지표개발: 기본정서 구분 모델)

  • 이경화;이임갑;손진훈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2
    • /
    • pp.43-52
    • /
    • 1999
  • 정서는 생리적 반응을 수반하는 주관적인 경험이다.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의 차이에 의한 기본정서 구분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1) 여섯 기본정서를 뚜렷하게 유발하는 정서자극을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여 2) 기본정서를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국제정서사진체계에서 여섯 기본정서 (행복, 슬픔, 분노, 혐오, 공포, 놀람) 각각을 신뢰롭게 유발하는 여섯 쌍의 슬라이드를 선택하였다. 슬라이드 제시에 의하여 유발되는 뇌파, 심전도, 호흡, 피부전기반응을 기록하여 분석/비교하였다.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뇌파의 상태적 출현량,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은 안정상태와 정서상태간의 비교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뇌파분석결과에서는 theta (F4, 01), slow alpha (F3, F4), fast alpha (O2), fast beta (F4, O2)파의 상대적 출현량 변화값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자율신경계 분석결과에서는 심박률, 호흡률, 피부전도반응이 일부 정서들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들 결과를 토대로 기본정서를 특정적으로 구분할 수 있는 심리생리적 복합 지표 모델을 구성하였다. 네 기본정서 (공포, 혐오, 슬픔, 분노)는 뇌파와 자율신경계 반응패턴에 의한 구분이 가능하였으나, 행복과 놀람은 본 연구에서 사용한 심리생리지표에 의한 최종 구분이 불가능하였다. 여섯 기본정서를 모두 구분할 수 있는 적절한 지표를 찾아내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 PDF

Structure Comparison of Roget's Categories and Basic Emotions (Roget 범주와 기본정서의 구조 비교)

  • Yang Jae-Gun;Bae Jae-Hak J.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5.11b
    • /
    • pp.547-549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Roget 범주 시스템과 Plutchik의 기본정서 구조를 서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서 우선, 8가지 기본정서(Joy, Acceptance, fear, Surprise, Sadness, Disgust, Anger Anticipation) 각각을 Roget 범주에 대응시켰다. 대응한 Roget 범주 간의 참조정보 거리를 토대로 두 구조의 유사성을 가늠하였다. 실험결과, 기본정서에 대응하는 Roget 범주 거리 편차가 일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았다(네 개의 정서차원 중에서 두 차원이 Roget 범주구조와 호응함). 본 논문의 실험 결과를 이용하연 Roget 범주와 기본정서 분류를 상호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개연규칙과 Plot Unit에서 사건과 상태의 선호도를 세분화 하는데 이용하고자 한다.

  • PDF

Recognizing Facial Expressions Using a Neural Network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 표정인식)

  • 신영숙;이일병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04a
    • /
    • pp.101-105
    • /
    • 1998
  • 기존의 표정인식 연구는 Ekman의 기본정서모형의 특에 의하여 표정인식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6가지 기본정서(행복, 놀람, 공포, 분노, 혐오, 슬픔)에 의한 표정인식은 6개 정서 중에서 선택하는 간제 선택법이 아닌 자유응답방식을 택했을때는 훨씬 인식률이 떨어진다. 이는 표정이 기본정서이외에도 여러 가지 미묘한 마음상태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섬세한 표정인식을 우한 방법으로, 차원모형을 근거로 MLP를 적용한 표정인식을 수행하였다. 차원 모형에 의한 표정은 3가지 차원으로 하나의 표정을 이룬다. 3가지 차원은 쾌-불쾌, 각성-수면과 외부지향-내부지향이다. 3가지 차원을 갖는 각각의 표정은 MLP에 의하여 쾌-불쾌차원 68%, 각성-수면차원 60%, 외부지향-내부지향차원 76%의 인식률을 보였다. 연구결과에서 차원모형에 근거한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기본정서모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섬세한 표정인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

  • PD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Golf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 Adherence Behavior (골프 참여자의 기본적 심리욕구와 운동정서, 그리고 운동지속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

  • Bum, Chul-Ho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8 no.3
    • /
    • pp.127-134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empiricall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golf participants' basic psychological needs, exercise emotion, and exercise-adherence behavior. Using two-hundred thirty questionnair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golf participant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ositive emotions. On the other hand, only competence lowered the negative emotions, and the other variable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Second, golf participant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creased the exercise-adherence behavior. Third, golf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 increased the exercise-adherence behavior but a negative emotion decreased it. In terms of the indirect effect, golf participants'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influenced the exercise-adherence behavior, which was mediated by exercise emotion. This study is useful to sports participants interested in real value and a happy life through exercise-adherence behavior.

A fMRI Meta-analysis on Neuroimaging Studies of Basic Emotions (기본정서 뇌 영상 연구의 fMRI 메타분석)

  • Kim, Gwang-Su;Han, Mi-Ra;Bak, Byung-Gee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0 no.4
    • /
    • pp.15-3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basic emotion theory based on the emotion-related research using functional brain imaging technology. For this purpose, a meta-analysis on the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MRI) studies was performed. Six individual emotions-joy, happiness, fear, anger, disgust, sadness-were selected. In order to collect the fMRI data of individual emotions, we searched the electronic journals such as Medline, PsychInfo, PubMed for the past 10 years. fMRI experiment data aimed at healthy subjects for 6 emotions were collected, and only studies reported in Talairach or MNI standard coordinate system were included. In order to eliminate the difference between Talairach and MNI coordinate systems, we analyzed fMRI data based on the Talairach coordinate system. A meta-analysis using GingerALE 2.3 program adopting the activation likelihood estimates (ALE) techniques was performed.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individual emotions are associated with consistent and distinguishable regional brain responses within the framework of the basic emotion theor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of the brain areas associated with each individual emotional reaction was substantially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existing review article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ome sugges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Development of a Standardized Korean Affective Picture System (KAPS): A Preliminary Study (표준화된 한국정서사진체계 개발: 예비연구)

  • 이경화;이임갑;박경진;최상섭;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74-79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정서 연구에 적합한 시각자극의 표준화를 위해서 한국정서사진체계(Korean Affects Picture System: KAPS)의 제작을 수행하면서 얻어진 결과를 간략히 보고하고자 한다. 총 210개의 시각자극 사진을 선정하여 슬라이드로 제작하고, 충남대학교 남녀 대학생 442명 (20-25세)을 대상으로 의미변별척도와 기본정서 평정척도를 사용하여 주관적 정서반응을 측정하였다 의미변별척도 평정치의 요인분석 결과 18개의 양극성 형용사는 3개의, 정서차원, 즉 즐거움, 각성도, 지배성 차원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국제정서사진체계 (IAPS)의 시각자극을 사용하여 미국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 및 한국인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 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다. KAPS에 포함되는 시각자각 수는 연구가 계속됨에 파라 지속적으로 확대되며, 실험방법 및 각자의 사진에 대한 세 차원(즐거움, 각성도, 통제력) 및 비연속 기본 정서(기쁨. 공포, 슬픔, 혐오, 놀람, 분노)에 관한 주관적 평정치를 포함하는 manual을 제작하여 정서연구자들에게 제공한다. 다른 연구자들에 의해서 얻어진 평정치 자료들도 계속해서 추가 보완될 것이다. 이를 통해서, 안으로 우리 나라에서의 정서 연구방법의 표준화 및 인구성과의 공유화를 위한 토대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Affective Representations of Basic Tastes and Intensity using Multivariate Analyses (다변량분석방법을 이용한 미각 자극의 기본 맛과 강도에 따른 정서표상 )

  • Chaery Park;Inik Kim;Jongwan Kim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6 no.2
    • /
    • pp.39-52
    • /
    • 2023
  • According to the core affect theory, affect consists of two independen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various types of stimuli, such as pictures, videos, and music, ar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However, the research on affect using gustatory stimuli has not been explored sufficiently.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affects elicited by tastes could be mapped onto the core affect space. Stimuli were selected based on two factors (taste types and intensity).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each stimulus, evaluated the tastes, and rated their affective responses on taste and emotion scal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s and multivariate analyses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assification). The results of univariate analyse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felt positive for sweet stimuli but negative for bitter and salty. Furthermore, participants reported high arousal with high intensity. Multidimensional scaling revealed that taste stimuli are also represented on the core affect dimensions. Specifically,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first dimension, sweetness was represented as a positive affect, while bitter and salty tastes were represented as a negative affect. In the second dimension, bitterness was represented as low arousal and sourness as high arousal. Classification analyses confirmed that the taste was identified consistently based on the affective responses within and across participants. This study showed that the taste stimuli in daily life are also located on core affect dimensions of valence and arousal.

Wheelchair tennis has ever fusion of classroom participation of the physically disabled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emotional and exercise commitment (지체장애인의 융합적 휠체어테니스 교실 참여가기본적 심리욕구, 운동정서 및 운동 몰입에 미치는 영향)

  • Kim, Dong-Won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6 no.4
    • /
    • pp.15-2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impact on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and emotional and motor sports commitment to participate in 12 weeks of Physically Disabled wheelchair tennis class. Results: First,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s a difference between groups was found in the autonomy and the relationship of the sub-factors autonomy, competence, was the difference in time measured between the castle. Second, the movement was born immersed in the measuring point to see a difference in cognitive involvement and engagement of sub-behavior factors, the mutual effect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the two groups and sub-factors. Third, the movement was born in sentiment appears to have overlooked the measurement point in the sub-group differences in factors such as positive emotions and negative emotions, collective and cross effects were measured at the time of the two sub-factors. Subsequent studies in qualitative research, as well as be able to induce a more active ongoing participation of the disabled being difficult to draw parallel with the subjective experience of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thought to be possible to develop a variety of programs.

Effects of the facial expression presenting types and facial areas on the emotional recognition (얼굴 표정의 제시 유형과 제시 영역에 따른 정서 인식 효과)

  • Lee, Jung-Hun;Park, Soo-Jin;Han, Kwang-Hee;Ghim, Hei-Rhee;Cho, Kyung-Ja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10 no.1
    • /
    • pp.113-125
    • /
    • 2007
  • The aim of the experimental studies described in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face/eye/mouth areas using dynamic facial expressions and static facial expressions on emotional recognition. Using seven-seconds-displays, experiment 1 for basic emotions and experiment 2 for complex emotions are executed. The results of two experiments supported that the effects of dynamic facial expressions are higher than static one on emotional recognition and indicated the higher emotional recognition effects of eye area on dynamic images than mouth a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dynamic properties should be considered in emotional study with facial expressions for not only basic emotions but also complex emotions. However, we should consider the properties of emotion because each emotion did not show the effects of dynamic image equally. Furthermore, this study let us know which facial area shows emotional states more correctly is according to the feature emotion.

  • PDF

Development of Protocol for Standardized Emotion Induction in Children (아동정서유발 프로토콜 개발)

  • 양경혜;이경화;이정미;최지연;방석원;김재우;이형기;손진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0.11a
    • /
    • pp.20-25
    • /
    • 2000
  • 본 연구는 아동을 대상으로 기녈 정서(기쁨\ulcorner슬픔\ulcorner분노\ulcorner스트레스\ulcorner무료함)를 유발시키는 정서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표준화하고자 실시되었다. 음악\ulcorner색깔\ulcorner정서전달도구를 이용하여 각각의 정서를 유발시키는 상황을 구성하였다. 정서평가를 위해서 아동용 정서평가척도를 개발하였다. 아동은 5가지의 정서상황을 경험한 후, 자신의 정서상태를 평가하였다. 정서프로토콜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자기보고와 전문가의 행동관찰분석으로 이루어졌다. 그 결과, 개발된 정서프로토콜은 각각의 기본정서를 효과적으로 유발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ulcorner성별 비교에서는, 남아보다는 여아가 무료함을 더 강하게 느꼈으며, 학령이후의 아동은 학령이전의 아동보다 슬픔에 더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