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반시설 용량

Search Result 82,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1980년대의 전력수급전망

  • 이주희
    • 전기의세계
    • /
    • v.25 no.1
    • /
    • pp.17-20
    • /
    • 1976
  • 전원공급원으로서 발전시설용량은 표1과 같이 변천하였는데 1963년까지는 발전방식의 대종이 수력발전으로서 30%이상을 점하였으나 유리한 수력발전지점의 미개발로 이의 점유율은 점차적으로 하강하여 1973년부터는 10%이하로 되어 화력발전 즉 수입연료에 의한 발전방식으로 대체되었다. 전원연료의 수입의존도는 탈석유를 촉진할 수 있는 대체연료로서 원자력발전 또는 조력발전등이 본격적으로 개발되기 이전까지는 앞으로 계속하여 심화될 것으로 믿어진다. 이상과 같이 1970년대의 전반기까지 실적은 수요의 고도성장지속과 전원연료의 수입의존도를 심화시켰다. 이와 같은 실적을 기반으로 다음에 1980년대의 수급변모를 예상하고저 한다.

  • PDF

해외자료 - 서구의 질산암모늄시장에 대한 요소의 도전

  • 한국비료공업협회
    • 비료회보
    • /
    • v.14 no.16 s.383
    • /
    • pp.38-49
    • /
    • 1989
  • [ $\ulcorner$ ]서유럽에서의 주요 질소질단비인 질안의 지위는 역사적 및 농경학적 기반위에서 오래도록 유지되어왔다. 그러나, 1980년대중반이래 서유럽에서 비교적 요소의 대량이용력이 이 지역 질안의 우세에 대한 주요도전이 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질안생산자에 대한 도전이 된셈이다. 요소의 시장침투 정도는 저가의요소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성장이 유지될 전망이 별로 없는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ㅇ르 고수하려는 기존생산자들의 행동으로 반영된다. 첫 번째 대응은 수입자에 대한 법적조치를 취한것이며 최근에는 이들 기존생산자들이 시장의 변하는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시설용량과 제품형태면에서 그들 자체의 제품을 평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대책으로 충분할것인가하는 의문은 사라지지 않는다.$\lrcorner$

  • PDF

Station Capacity Calculation on High-Speed Railway Considering the number of Sidings and Train Halting Patterns (부본선 및 정차패턴을 고려한 고속철도 정거장 용량산정)

  • Joo, JinHyeong;Kim, KyungMin;Oh, SukMun;Lim, KwangMan;Park, OhS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 /
    • v.20 no.4
    • /
    • pp.539-549
    • /
    • 2017
  • This paper proposes an analytical methodology of station capacity calculation on high - speed railway. Our method explicitly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the number of sidings and the combination of train halting patterns (stop - stop, pass - stop, stop - pass, pass - pass) on the capacity of a station.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our model, we conducted capacity analysis of selected stations using the Railsys simulator. We found that the difference in calculated capacity between our model and Railsys was less than 10%. After Monte Carlo simulation, our model was determined to be a good one. In addition, the consistency in capacity between our model and the train-path allocation program (Korea Rail Network Authorit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 Study of Walkway Level of service reckon with Pedestrian Characteristic on Complex-transit center (복합환승센터 인근 보행자도로의 시간대별 보행특성을 고려한 서비스수준에 관한 연구)

  • Lee, Gwang-Seon;Choe, Byeong-Mu;Geum, Gi-Je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8 no.5
    • /
    • pp.7-15
    • /
    • 2010
  • The walkway level of service (LOS) is conceptualized using pedestrian flow rate, speed, and density according to the Korean Highway Capacity Manual (KHCM). However, as it is based on the data of commuters at peak hours, it needs to be reevaluated considering various trip purposes and a pleasant pedestrian environment. Thus, the authors aim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group: pedestrians during the peak hour and those during the non-peak hour. Then they were verified statistically for the walkway evaluation criteria. In this study, the authors investigated pedestrian speed and flow in a complex transit center walkway with diverse trip purposes by peak and non-peak hour. Then the authors statistically ver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A model was built for estimating pedestrian density by speed and flow; it was used to calculate the walkway capacity (67.3p/m/m) corresponding to LOS E. The authors established new criteria for LOS, applying the LOS from the HCM. These standards can then be used as the design standards for pedestrian walkways.

Development of treatment facilities for improving water cycle in the water cycle analysis model for the urban catchment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의 물순환 개선시설 모듈 개발)

  • Jang, Cheol-Hee;Kim, Hyeon-Jun;Noh, Seong-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360-1364
    • /
    • 2010
  • 도시유역 물순환 해석 모형(Catchment hydrologic cycle Analysis Tool, CAT)은 기존의 개념적 매개변수 기반의 집중형 수문모형과 물리적 매개변수 기반의 분포형 수문모형의 장점을 최대한 집약하여, 도시유역 개발 전/후의 장/단기적 물순환 변화특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물순환 개선시설의 효과적인 설계를 지원하기 위한 물순환 해석 모형이다. 이 모형은 수문학적으로 균일하게 판단되는 범위를 소유역으로 분할하여 지형학적 요인에 의한 유출 특성을 객관적으로 반영할 수 있으며, 개발 공간 단위별로 침투, 증발, 지하수 흐름 등의 모의가 가능하도록 하는 링크-노드 방식으로 개발되었다. 모형의 UI(User Interface)는 사용자가 손쉽게 모형을 적용/관리하고, 여러 시나리오를 동시에 효과적으로 모의하여 분석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모든 입/출력 자료를 엑셀이나 텍스트 형식과 연동되도록 하여 프로젝트별 매개변수 관리가 용이하도록 개발하였다. 특히 본 모형에서는 사용자의 목적에 맞는 다양한 물순환 개선시설(침투시설, 저류지, 습지, 빗물저장시설, 리사이클 및 외부급수 등)의 구현 및 모의가 가능하도록 개발하였다. 여기서, 물순환 개선시설이란 빗물을 흡수하고 저류할 수 있는 도시녹지시설 혹은 구조물로서 도심 내의 불투수면을 저감시키고 유출수를 줄이면서 동시에 녹지를 확보하여 효과적인 물순환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시설들이다. 이러한 물순환 개선시설은 신도시 및 지역 혁신도시 개발 등의 대규모 토지이용변화가 예상되는 개발지역에 대한 평가 및 개선 기술을 제공하여 물순환 건전화를 위한 설계에 직접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큰 장점을 지니고 있다. 먼저 침투 시설은 계획침투량을 반영하며 토양으로의 침투량과 지하수로의 이동을 모의한다. 저류시설은 하도 내에 위치한 online 저류지와 하도 외에 위치한 offline 저류지로 구분하고 저류지 수면의 증발량과 취수량을 고려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offline 저류지의 경우는 하도 내의 흐름의 규모에 따라서 일정량을 넘는 경우만 offline 저류지로 유입될 수 있는 양을 산정하도록 하였으며 하류 하천으로의 방류를 반영하여 홍수 후에 저류지가 비워지도록 하였다. 유역 내의 습지는 식생과 수면에서의 증발산을 반영하였다. 습지의 저류능력을 넘는 양은 월류되어 하류로 유출되며, 방류구를 통한 방류량을 반영하였다. 빗물저장시설의 경우는 초기우수와 같은 일정량 이하의 유입량과 시설용량을 초과하는 양은 방류하도록 하였고, 물 사용량을 반영하였다. 또한, 본 모형에서는 하천 내에서 취수하여 유역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리사이클 처리노드를 계획하였다. 리사이클은 용수 이용 목적에 따라 필요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으로 하였으며, 하천유지용수의 목적으로 취수되어 상류 혹은 하류의 임의 지역으로 공급되는 것을 포함하였다. 또한, 유역외부에 광역으로 급수되는 공급량도 반영하도록 하였다.

  • PDF

낙농산업 발전 종합대책(안)

  • Korea Dairy and Beef Farmers Association
    • 월간낙농육우
    • /
    • v.28 no.5
    • /
    • pp.91-99
    • /
    • 2008
  • 협회는 지난 3월 11일 농림수산식품에 낙농부분의 정책제안으로 '낙농산업 발전 종합대책(안)'을 제출하고 그 제시방안에 대해 농림수산식품부와 협의를 갖고 추진방안에 대해 논의를 갖는(4.17) 등 정책반영을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다. 대책(안)의 내용에 따르면 현재 낙농산업의 현황과 문제점을 제기하면서 낙농산업의 안정적인 발전대책 수립을 위해 3가지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있는데, 첫째, 낙농정책에 대한 비전을 수립, 국가 비전 아젠다를 설정하여 지속가능한 낙농산업으로서의 기반유지 당위성을 마련하고, 둘째, 전국단위 수급조절을 위한 계획생산제 실시 및 기구개편, 국내 유제품 시장 형성을 위한 가공원료유 한도수량제의 확대, 국산우유의 차별화를 위한 우유표기의 개선, 군급식 우유용량의 확대와 학교급식과 학교우유급식 통합(17대 대선 한나라당 정책공약), 북한어린이(학생) 우유지원 등 그 실질적인 정책마련에 해당하는 원유수급 안정화를 위한 제도 개선이 바로 그것이다. 셋째, 사료가격 안정을 위한 대책 및 목장시설 현대화 지원 확대, 낙농단지 조성을 통한 안정적 낙농생산 기반 유지, 유업체 경영합리화 방안 및 시설자금 지원, 유제품 수출지원 등을 통해 낙농.유업의 경쟁력 향상이 이뤄져야 함을 강조하였다. 월간낙농육우는 본고를 통해 낙농산업 발전 종합대책(안) 중 개선방향에 해당하는 자료를 소개코자 하니, 많은 관심을 바란다.

  • PDF

A Variational Inequality-based Walkability Assessment Model for Measuring Improvement Effect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대중교통중심개발(TOD) 개선효과 진단을 위한 변동부등식기반 보행네트워크 평가모형)

  • Sohn, Jhieon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6 no.2
    • /
    • pp.259-268
    • /
    • 2016
  • The core strategy of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 is to promote high density mixed land use around railway stations. Case studies in advanced countries show that provision of policies for comprehensive maintenance of pedestrian facilities around railway station spheres is being pursued with efficacy. In spite of the importance placed on integrated pedestrian maintenance, domestic construction of integrated pedestrian infrastructure around railway station spheres lacks direction. Thus, there is a clear need for an evaluation standard that can provide the foundation for judgments on TOD improvement. This research proposes a network model that consolidates the interior of the station as well as its surrounding areas to determine the ease of pedestrian flow for effective TOD evaluation. The model considers the railway station and surrounding areas as an assembled network of pedestrian flow. The path chosen by the pedestrian is defined as the optimal degree of inconvenience, and expands on Wardrop's User Equilibrium (1952). To assess the various circumstances that arise on pedestrian facilities including congestion of the pedestrian pathway, constrained elevator capacity, and wait at the crosswalk, a variational inequality based pedestrian equilibrium distribution model is introduced.

Performance Characteristics of Small Hydropower Generation Using Treated Wastewater (하수처리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의 성능 특성)

  • Lee, Chul-Hyung;Park, Wan-S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20-620
    • /
    • 2012
  • 에너지 다소비원인 공공하수처리시설은 기후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저감시설로서의 그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환경부는 '하수처리시설 에너지 자립화 계획'을 통해 2015년까지 에너지 자립율 18%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능동적 에너지 생산이 필요하다. 소수력발전은 공급 안정성이 우수하고 소수력발전은 일정한 처리수가 방류되는 하수처리장에 적용되었을 때 그 가동율은 하천에서의 소수력발전에 비하여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향후 하수처리장에 널리 보급될 수 있는 청정에너지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흥 레스피아에서 처리되는 하수를 이용한 소수력발전이 검토되었다. 최근 5년간 방류량 자료를 살펴보면 기흥 레스피아의 일평균 실제 처리량은 약 $30,000m^3/day$로 나타났으며, 우수 유입과 물 사용량이 증가하는 여름 및 가을에 처리량이 증가하였다. 설계유량은 유량변화에 따른 누적 확률밀도와 유량지속곡선에 근거해 산정하였으며, 시간빈도(T)로 보았을 때 26%의 유량이 지속되는 $0.35m^3/s$를 설계유량으로 선정하였다(그림 1). 또한 이를 기반으로 성능특성을 분석한 결과, 단위낙차당 수차발전기의 용량은 2.4kW이며, 시스템 가동율은 74%, 그리고 연 전력생산량은 16.6MWh로 나타났다(그림 2).

  • PDF

Next Generation OFDM-based Optical Access Network Technologies (OFDM 기반 차세대 광가입자망 연구 동향)

  • Doo, K.H.;Cho, S.H.;Bang, H.J.;Lee, S.S.;Lee,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8 no.6
    • /
    • pp.63-74
    • /
    • 2013
  • 모바일,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 최근 IT 산업의 패러다임의 변화로 인해 매년 25% 이상 증가하는 트래픽 추세에 따라 광 가입자망의 전송 기술도 빠르게 진화하고 있다. 가입자 망의 영역 확장을 위해 분기 수, 전송 거리 확대를 위한 기술개발 및 표준화 노력 또한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링크당 40Gbps 이상의 전송 속도를 요구하는 차세대 광 가입자망 기술 중의 하나인 OFDM 기반 PON은 멀티캐리어 방식으로 대용량, 장거리 전송이 가능하며, 서브캐리어 별로 서비스를 분리할 수 있고, 유연한 서브캐리어 관리를 통해 동적 대역 할당이 가능하므로 향후 유무선 융합 가입자 망에 적합한 기술로써, 기존 광 분배망의 구조 및 시설 교체없이 WDM(Wavelength Division Multiplexing)-PON(Passive Optical Network), T(Time)DM-PON 기술과 융합하여, 전송 용량을 확장할 수 있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고에서는 OFDMA-PON 기술을 소개하고, EU, 미국 등 선진 연구 기관의 연구동향을 소개하고 향후 전망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Based on IoT for eco-friendly river ecosystem preservation Development of sewage information platform (친환경 하천 생태계 보존을 위한 IoT 기반 하수정보화 플랫폼 개발)

  • Kim, Chang-young;Woo, Young Woon;Lee, Imge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8.10a
    • /
    • pp.631-633
    • /
    • 2018
  • 국내 하수처리장의 수질기준이 강화되고 하수처리량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하수처리장이 수용할 수 있는 처리용량의 한계와 이에 따른 관리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열악한 하수 환경과 높은 처리 비용 등으로 인하여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 논문에서는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를 오염도에 따라 하수량을 제어함으로서 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부하를 경감하여 하수 처리 비용을 줄이고, 환경 오염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친환경 하천 생태계 보존을 위한 IoT 기반 하수정보화 플랫폼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