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류 이동

Search Result 60, Processing Time 0.065 seconds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a Performated Tube Muffler with Air Flow (기류를 수반하는 다공형 소음기의 성능에 관한 연구)

  • 이동훈;이달훈;권영필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1.04a
    • /
    • pp.11-15
    • /
    • 1991
  • 본 연구는 높은 유속에서 다공형 소음기의 성능 시험을 통하여 유속의 영향 을 검토하고 이피던스 모델에 관하여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유속이 높은 경 우에는 유동에 의한 자체 소음(self noise)이 크기 때문에 실험에 많은 어려 움이 따르게 되므로 지금까지 최대 통과유속의 마하수가 0.2를 넘지 못하였 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실험 장치에 세밀한 주의를 기울여 마하수 0.3까 지 실험하였으며, 실험결과를 이미 발표된 임피던스 모델[6]을 이용한 이론 예측과 비교 검토하였다.

  • PDF

기류방출형 정전기제거장치의 개발에 관한 연구

  • 이동훈;박훈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Saf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167-172
    • /
    • 2003
  • 액정판넬(LCD) 및 반도체 제조공정에 있어서 정전기 발생으로 인하여 미세한 먼지가 LCD 및 반도체 웨이퍼에 부착되거나, 정전기 방전에 의해 반도체소자 및 LCD 유리기판상의 패헌의 파괴를 야기하여 제품의 수율을 저하시키고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주요한 요인이 된다. 현재 이러한 제조공정에서 정전기를 위한 대책으로 코로나방전에 의한 이온바(Ion Bar) 및 이온브로어(Ion Blower)를 제전설비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장치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이온을 발생시키고 이온화된 공기를 불어 내기 위하여 팬을 사용하여 공기를 대류 시킨다.(중략)

  • PDF

Analysis of the Heat Island Effect in Great Apartment Area (대도시 아파트단지내의 열섬효과 분석)

  • 장은숙;엄태인;문승현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286-287
    • /
    • 2002
  • 정부와 민간이 대단위 택지 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그 지역의 기후조건 및 자연환경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고 획일적이고 평면적인 단지를 조성함으로써 대도시의 대단위 아파트 지역에서 여름철, 강한 일사량과 약한 풍속으로 인한 일시적인 역전현상 및 열섬효과로 인하여 주변지역에서 배출된 대기오염물질들의 확산을 저해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또한 대단위 아파트 단지조성 시에 도로와 아파트 대형건물의 배치 등 기류이동을 고려하지 않고 건설하므로 주위의 오염물질이 풍향 및 풍속에 따라 단지 내에 정체하여 건물의 실내로 들어가 또 다른 실내오염을 야기 시키게 된다. (중략)

  • PDF

Survey for Uniform Application of Fertilizer Distributor (비료 살포기의 균일 살포를 위한 현황 조사)

  • Kim, JiMan;Shin, Changseap;Kim, TaeH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Agricultural Machinery Conference
    • /
    • 2017.04a
    • /
    • pp.63-63
    • /
    • 2017
  • 비료 살포는 작물 생장 촉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며 재배 관리의 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요한 농작업이다. 비료 사용은 양분 공급과 토양의 물리 화학성 개선 등 여러 이점이 있으나 최근에는 과도한 비료 사용으로 양분의 불균형 등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수작업으로 비료를 살포할 시 유해한 성분이 피부에 흡수되고 작업 능률이 낮기 때문에 비료 살포기의 필요성을 가진다. 현재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비료 살포기는 고속의 기류를 이용하여 비료를 날리는 방법과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방법, 원심력을 가하여 멀리 날려 보내는 방법 등이 있다. 그 중 중력으로 낙하시키는 방법과 고속 기류를 사용하는 방법은 석회, 퇴비, 규산질 비료 살포에 부적절함으로 원심력을 이용한 비료 살포가 많이 사용된다. 하지만 원심력을 이용하여 날리는 방법은 구조가 단순하여 비료가 균일하게 확산되지 않고 트랙터의 이동 속도에 따라서 비료의 살포량이 달라진다. 그에 따라 과도한 비료 살포로 이어지며 토지 또한 양분의 불균형 등으로 환경의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균일 살포를 위하여 비료 살포기의 내부 날개의 각도를 조절하여 비료 살포의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균일 살포의 중요성은 더욱 대두되고 있지만 현재 균일 살포에 대한 연구가 많이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비료 살포기에 균일 살포를 위한 설계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살포기를 분석하여 원심식 비료 살포기의 균일 살포를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moke Movement by the Opening and Heat Generator Position (개구부와 열원의 위치에 따른 연기이동에 관한 연구)

  • 조성우;이재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6 no.4
    • /
    • pp.7-14
    • /
    • 2002
  • The diffusion characteristics of the smoke by effect of an ascending air movement in a local part of the room where heat generated was studied. How the smoke move in the limited parts of the room at which heat generated was studied through 3 cases altering locations of inlet and outlet of ventilated air and heat generated by CFD(Computational Fluids Dynamics) method. It was found that 1. Similar distribution of air velocity, air temperature and smoke concentration appeared in the case of upper left inlet and lower right outlet and the case of lower inlet and upper right outlet. 2. Distribution of temperature and smoke concentration was 0∼0.3, 0.06∼0.14 in the case of lower left inlet and upper right outlet. 3. the location of heat generation did not influence on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but influence on the distribution of smoke concentration.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VOCs Concentration Variation using a Petroleum Spill Imitation Trial Test Chamber (원유유출 모의시험 챔버를 이용한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의 농도변화에 관한 연구)

  • Chung, Jin-Do;Lee, Dong-Hyu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2 no.4
    • /
    • pp.393-398
    • /
    • 2010
  • This study prepared and utilized an imitation trial test chamber for a petroleum spill to predict the concentration of discharg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the air at the time of Tae-An peninsula's petroleum spill, which happened in December, 2007. The petroleum spill imitation trial test chamber measured and analyzed the concentration variation of total VOCs. As the ambient air velocity increased, so the concentration of VOCs decreased; and as the water temperature rose, the concentration of VOCs increased. Furthermore, it appears that total concentration of VOCs decrease by more than 90% 6 days after the initial petroleum spill compared to the initial concentration of VOCs.

A study on an interval of tunnel cross passage considering inclination and internal airflow (터널 내부 기류 변화에 따른 피난연락갱 간격 설정에 관한 연구)

  • Rie, Dong-Ho;Kim, Ha-Young;Yoo, Ji-Oh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2 no.1
    • /
    • pp.43-49
    • /
    • 2010
  • The escape connecting gallery in a tunnel on a road is one of emergency equipment to ensure safety for passer in the tunnel against the tunnel fire. Government stipulate over 500m tunnel has the cross passage at intervals of less then 250 m. However, this lump estimated interval is generated the concerns of exaggeration and under construction because peculiarity of the tunnel ex. The velocity of the tunnel airflow, an incline, degree of a fire, and innering area are not considered. The study indicate the way to estimate of the cross passage considered an incline and the velocity of the tunnel airflow for efficient application of cross passage on the tunnel design. As a result, in 0.0 m/s and 1.0 m/s of the velocity of the tunnel airflow case, the movement of smoke is influenced by the incline however, in 20 m/s case, it isn't influenced by incline much. According to the velocity of tunnel airflow and the incline, optimum interval of cross passage is not corresponded. Therefore established lump estimate that has 250 m intervals would be changed to estimate of optimum interval of cross passage that considered about the properties of tunnel, the velocity of the tunnel airflow, incline, degree of a fire and innering area of the tunnel.

Chemical Composition of Winter Precipitation Samples with Low Rainfall in Iksan (익산지역에서 겨울철 강수중 저강수시료의 산성도와 이온성분의 화학적 특성)

  • 강공언;신대윤;박승택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05b
    • /
    • pp.245-246
    • /
    • 2003
  • 아시아 지역 SO$_2$와 NOx 배출량의 2/3을 차지하는 중국이 1996년에 최대배출량을 기록한 후 석탄사용량 감소 등으로 점차 감소경향을 나타내고 있을지라도 한국을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여전히 전세계적으로 이들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주요 배출원 지역으로 알려져 있다. 대기중으로 배출된 이들 오염물질은 여러가지 반응기구를 통하여 2차 오염물질로 전환되고 기류의 흐름에 따라 풍하지역으로 이동하면서 습성 또는 건성강하물의 형태로 지표면에 침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유로 중국의 풍하지역에 위치한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대기오염물질의 장거리 이동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PM_{10} & PM_{2.5}$ and it′s Components at Concentrations Ganghwa from 2000~2002 (2000~2002년 강화에서 입자상물질($PM_{10}, PM_{2.5}$)의 농도 및 성분 조성)

  • 김한식;여현구;한진석;선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309-310
    • /
    • 2003
  • 입자상물질에 대한 연구는 광역적인 대기 오염정도의 평가 및 오염물질의 이동에 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주므로 이와 같은 오염원의 크기에 대한 배경농도를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또한 입자상물질은 대기중에서 기류를 타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오염농도 변화는 지역적인 영향을 받는 대도시 지역보다 오염원으로부터 격리된 청정지역에서의 측정이 필요하다(신혜정 등, 2002).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배경농도 측정지점 중 하나인 강화에서 2000년부터 2002년까지 측정한 입자상 물질의 농도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중략)

  • PDF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High Concentrations of Carbon Dioxide Measured at the Gosan Site in Jeju, Korea in 2007 (2007년 제주 고산의 이산화탄소 농도 현황 및 고농도 사례 분석)

  • Kim, Seung-Yeon;Lee, Jae-Bum;Yu, Jeong-Ah;Hong, Yu-Deog;Song, Chang-Geun
    •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
    • /
    • v.2 no.1
    • /
    • pp.1-14
    • /
    • 2011
  •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the $CO_2$ concentrations at the Gosan site in Jeju, the data from the Gosan station was compared with the ones from domestic and foreign sites registered in the World Data Centre for Greenhouse Gases(WDCGG). As a result, the $CO_2$ concentrations in the Asian region including Gosan site were higher than in the other continents, which can be explained that the $CO_2$ emissions in the Asian region have been rapidly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economic growth. In comparison with ther Asian-Pacific sites (i.e., Ryori, Waliguan, and Mauna Loa), Gosan site showed the highest $CO_2$ concentrations because this site can be easily affected by China emissions. With the trajectory analysis and the ratios of air pollutants, we found that the high concentrations of Gosan site in January were mainly caused by the long-range transport from China, while in August the high concentration in the night time by the stagnation and the active plant respiration. Also, in May and November it occurred as the polluted air from China was transported with migratory cycl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