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류

Search Result 700,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Evaluation of Thermal Comfort for the Sensible Wind based on HRV & EEG Spectrum Analysis (생리신호 분석을 통한 감성기류의 온열쾌적성 평가)

  • 이낙범;임재중;금종수;임금식;최호선;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94-98
    • /
    • 1998
  • 최근 온열 환경에서 인간의 쾌적감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온열쾌적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로는 온도, 습도, 기류 둥의 물리적 요인과 성별이나 체질 둥의 개인적인 요인들 뿐만 아니라 온열환경에서 느끼는 인간의 감성적인 측면도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가지 온열 환경 중에서 기류환경에 따른 인간의 온열 쾌적감을 평가하기 위해 생체반응의 변화 및 감성의 변화에 따른 생리신호를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기류환경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풍향변화기류 및 풍량변화기류와 새롭게 개발되어진 감성기류의 3가지 기류 조건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른 인체의 자율신경계의 반응과 감성 상태를 관찰하기 위해 심전도(ECG)와 뇌파(EEC)를 측정하여 HRV(Heart Rate Variability) 분석과 EEG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을 시행하였다. 생리신호 분석결과 심전도의 HRV 분석에서는 감성기류가 풍향변화 기류와 풍속변화기류에 비해 HF/LF 비가 높게 나타났고, 뇌파의 주파수 스펙트럼 분석에서도 $\beta$파에 대한 뇌파의 상대 전력비가 감성기류에서 높게 나타나 감성기류가 제시된 다른 기류인 풍향변화기류나 풍속변화기류에 비해 쾌적한 온열환경 제시를 위한 기류조건이라고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심전도의 HRV분석과 뇌파의 주파수 분석이 .제시된 기류환경의 온열쾌적감 평가에서 서로 유의한 결과를 나타냄으로써, 이들 생리신호의 분석이 온열환경에 따른 인간의 감성 변화를 객관적으로 나타내고 온열 쾌적감을 평가하는데 있어 유용한 정보가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 PDF

Thermal Comfort Evaluation for Air-Conditioning with Sensible Wind (감성기류의 온열쾌적성 평가)

  • 배동석;최호선;김동규;금종수;최광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83-87
    • /
    • 1998
  •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에어컨의 보급이 확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어컨의 실내 온열환경 형성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기류에 대한 온열쾌적감 평가를 하고자 하였다. 기존 에어컨의 기류조성방법은 주로 풍향을 변화시키는 것과 풍량을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에어컨의 베인 조작으로 기류감을 향상시키고 실내의 상하온도차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에어컨기류(감성기류)와 이미 제품화 되어있는 에어컨 기류와의 비교를 통해 가장 쾌적하고 편안한 에어컨기류를 찾고자 하였다. 31명의 피험자 체감실험을 통하여 감성기류, 풍량변화기류, 풍향변화기류의 전신온냉감 및 불쾌감을 비교한 결과 새로운 에어컨 기류인 감성기류가 전신온냉감 및 쾌불쾌감 측면에서 양호한 기류로 평가되었다.

  • PDF

The Comparison of Sensibility Evaluation for Three Types of Winds (냉방기류 변화에 대한 감성반응 비교)

  • 김성일;금종수;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05-11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에어컨의 기류형태를 파악하고자 세 가지 유형의 기류(감성기류, 풍량변화 기류, 풍향변화 기류)애 대한 감각반응, 감성반응, 정서반응 둥을 측정, 비교하였다. 기류감을 나타내는 13개의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의미미분척도에 대한 실험참가자의 평정을 변량분석한 결과, 감성기류가 다른 종류의 바람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접적이고 신선하며 편안한 바람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풍량변화 기류는 가장 선호되지 않았으며, 직접적이고 거칠며 자극적인 바람으로 평가되었다. 정서반응에 대한 감각반응의 예측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화가 없는 규칙적인 바람으로 평가되는 바람과 간접적인 바람을 쾌적하다고 느끼고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반응에 영향을 주는 감각반응으로는 직접감이 단연 중요한 요인으로, 바람이 간접적으로 불어 온다고 판단될수록 이완되고 편안하다고 느끼며,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바람이라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The comparison of Sensibility Evaluation for Three Types of Air-conditioning Winds (냉방기류 변화에 대한 감성반응 비교)

  • 김성일;금종수;이구형
    • Science of Emotion and Sensibility
    • /
    • v.2 no.1
    • /
    • pp.35-42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실내 쾌적성을 향상시키는데 적합한 에어컨의 기류형태를 파악하고자 세 가지 유형의 기류(감성기류, 풍향변화 기류, 풍향변화 기류)에 대한 감각반응, 정서반응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기류감을 나타내는 13개의 형용사 쌍으로 구성된 의미미분 척도에 대한 실험참가자의 평정을 변량분석한 결과, 감성기류가 다른 종류의 바람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간접적이고 신선하며 편안한 바람으로 평가되었다. 반면 풍량변화 기류는 가장 선호되지 않았으며, 직접적이고 거칠며 자극적인 바람으로 평가되었다. 정서반응에 대한 감각반응의 예측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희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변화가 없는 규칙적인 바람으로 평가되는 바람과 간접적인 바람을 쾌적 하다고 느끼고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반응에 영향을 주는 감각반응으로는 직접감이 단연 중요한 요인으로, 바람이 간접적으로 불어 온다고 판단될수록 이완되고 편안하다고 느끼며, 자연스럽고 부드러운 바람이라고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design of air current injection system to improve bag-filter dedusting performance (여과집진기의 탈진 능력 향상을 위한 기류 분사 시스템 최적화 설계에 관한 연구)

  • Jung, Yu-Jin;Hong, Sung-Gil;Jung, Jong-Hyeon;Lim, Ki-Hyuk;Kim, Jin-Uk;Shon, Byung-Hyu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1.12a
    • /
    • pp.262-265
    • /
    • 2011
  • 본 연구는 탈진 기류 분사 시스템의 최적화 설계에 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 전산유체역학(CFD)을 이용하여 일반 블로우 튜브와 단순 벤츄리 조합의 충격 기류(Pulse air jet) 방식의 탈진 장치에 대한 탈진 성능과 벤츄리 입구에 기류 유도용 구조물을 설치한 경우의 탈진 성능을 비교하였다. 각 Case별로 벤츄리 내부로 유입되는 탈진 공기량을 예측한 결과, case 2의 벤츄리 형상 개조시 case 1 보다 벤츄리로 유입되는 탈진 공기량이 약 20% 증폭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필터백 표면에서의 탈진 기류 전달 분포를 예측한 결과, 모든 case가 필터백의 국한된 영역으로 탈진 기류가 집중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case 2의 경우가 case 1보다 오히려 탈진 기류의 전달 수준이 불량함을 알 수 있다. 이는 case 2의 경우 벤츄리 입구에 기류 유도용 구조물을 설치한 것이 탈진 공기량을 증폭시키는데에는 도움이 되나, 오히려 벤츄리 내부로 유입된 탈진 기류의 직진성을 보완하여 필터백 내부에서 탈진 기류의 확장을 방해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ccuracy Evaluation of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for Artificial Ventilation (인공호흡시 호흡기류 계측 센서의 정확도 평가)

  • Lee, In-Kwang;Park, Mi-Jung;Kim, Kyoung-Ok;Shin, Eun-Young;Shon, Ho-Sun;Cha, Eun-Jong;Kim, Kyung-Ah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 /
    • v.9 no.7
    • /
    • pp.425-431
    • /
    • 2015
  • Measurement accuracy was evaluated for the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developed for applications under emergent situations. Pressure-Flow calibration equation was obtained by acquisition of air flow signals from the transducer in response to 6 flow waveforms, similar to those of artificial ventilation, generated by the standard flow generator system. Tidal volume and maximal flow rate were calculated on the flow signal then compared with the error-free data obtained by the linear displacement transducer of the flow generator system. Mean relative error of the tidal volume was within 3% and that of the maximal flow rate, approximately 5%, demonstrating accurate enough measurements. Therefore, the transducer could be applied to emergent situations to monitor the respiratory air flow signal as well as diagnostic parameters in real time.

A Study on Response Characteristics of ionization Smoke Detector Influenced by Air Stream (이온화식 연기감지기의 기류응답특성 연구)

  • 이복영;정길순;이병곤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7 no.2
    • /
    • pp.6-9
    • /
    • 2003
  • Recently, forced ventilating air conditioning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modern buildings. However, It is obvious that this kind of system may affect on the response of fire detectors at real fire incidents, especially, on the ionization smoke detector, which is critically influenced by air stream. Therefore we studied to verify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ir stream by ionization smoke detector for the design of facilities in practice. In this study, experiments were execut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air velocity and the ionization detector's responses with var-ious air velocity and smoke densities in the simulated test room. As a result of experiments, ionization detector's operating time is in reverse proportion to air velocity. And the detector shows more sensitive reaction when the velocity of smoke stream increase over 60 cm/s.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ionization smoke detector is more sensitive to smoldering fires in paper than that in petro-chemicals.

Unequal Distance Sampling Technique to Design Velocity-Type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속도 계측형 호흡기류센서 설계를 위한 비균등 샘플링 기법)

  • 김경아;이태수;차은종
    • Journal of Biomed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25 no.5
    • /
    • pp.351-359
    • /
    • 2004
  • Velocity-type repisratory air flow transducer measures dynamic pressure converted from air velocity based on the we1l-known Bernoulli's principle. It requires multiple velocity sampling holes on the flow plane. Measurement error theoretica1ly estimated by computer simulation was demonstrated to significantly reduce by unequally locating the velocity sampling holes. The flow plane was divided into multiple equi-area rings and the sampling holes were located on the circles also equally dividing each ring's area, which decreased measurement error down to 1/5 of the simple equi-radius ring division method. Also, less than 1 % relative error was estimated with 4 or more sampling holes. The present technique was less sensitive by <1/2 to the velocity profile change compared to the euqi-radius sampling. Therefore, the present unequal distance velocity sampling technique should be of great use to design the structure of the velocity-type respiratory air flow transducer.

Experimental Study on Thermal Comfort Sensation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Koreans in various Thermal Conditions Part IV : Effects of Draft on Thermal Comfor in convection Heating (한국인의 온열쾌적감 및 생리신호에 관한 연구 Part IV : 대류난방시 Draft가 온열쾌적감에 미치는 영향)

  • 김동규;최호선;이기섭;금종수;최광환;배동석;이구형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8.11a
    • /
    • pp.116-120
    • /
    • 1998
  • 난방.공조공간에서는 강한 기류가 Draft를 유발한다. Draft라 함은 인체가 기류(Air Movement)에 의해 원하지 않은 국부적인 냉각효과를 받는 것을 말한다(ASHRAE). 본 연구에서는 피험자의 체감실험을 통해 겨울철 대류난방시 실온 설정조건에 대한 기류속도의 허용범위을 찾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일정 유니폼을 착용하고 의자에 앉은 상태로 실온 18.21.24$^{\circ}C$, 풍속 0.15.0.3.0.45m/s의 조건에서 기류감, 온냉감, 쾌불쾌감을 신고하였다. 실험시 착의량은 남자 0.7, 여자 1.0 clo이었으며, 실온이 21$^{\circ}C$일 때는 기류속도 0.15m/s까지, 실온이 24$^{\circ}C$일 때는 기류속도 0.3m/s까지 허용범위에 포함되었다.

  • PDF

Respiratory flow measurement system (호흡 기류 계측 시스템의 개발)

  • Cha, Eun-Jong;Lee, Tae-Soo;Goo, Yong-Sook
    • Proceedings of the KOSOMBE Conference
    • /
    • v.1995 no.05
    • /
    • pp.64-67
    • /
    • 1995
  • 전산화폐활량계를 국산화하기 위하여 호흡기류 계측시스템을 개발하였다. 호흡기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Pneumotachography를 적용하였다. 자체 Pneumotachometer를 설계, 제작하였고, 증폭기와 필터를 통하여 0 - 5 V 범위의 기류신호가 출력되도록 하였다. 온도보정을 위하여 기류의 온도를 K-type 열전쌍으로 연속측정하여 보정신호를 역시 0 - 5 V 범위로 제공하도록 제작하였으며 따라서 온도에 따른 측정오차를 근본적으로 제거하였다. 피검자의 감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환기기구를 사용하였으며 전력소모가 적고 미세균의 제거가 가능하다. 본 시스템의 특성 측정 결과 충분히 우수한 정특성과 동특성을 얻었으며 현재 호흡기류를 정량분석하는 S/W-시스템을 개발중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