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동

Search Result 2,063,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Starters for Electric Motors (전동기용기동기)

  • 편집실
    • 전기의세계
    • /
    • v.22 no.5
    • /
    • pp.33-38
    • /
    • 1973
  • 3상 농형 유도전동기는 가장 경제적이고 편리한 동력원이다. 본 고에서는 유도전동기용 기동기에 대하여 여러가지 설계양식의 타당성과 장래의 개발가능성을 고찰한다. 기동기는 전동기를 기동시킬뿐만 아니라 정상상태하에서 정지시키는 장치이다. 또 기동기는 과부하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전동기를 보호하고, 정전시의 우발적인 재기동을 방지한다. 기동기의 보호기능이 전기적으로는 중요하지만 이문제는 성가신 기동책무만큼 빈번히 발생하지는 않는다. 전동기용 기동기의 또하나의 기능은 회전방향의 전환 및 속도조정이다.

  • PDF

Maneuvering pattern Analysis Algorithm for Maneuvering Target base on FCM (퍼지 클러스터링에 의한 기동표적의 기동패턴 분석 알고리즘)

  • Son, Hyun-Seung;Park, Jin-Bae;Joo, Young-Ho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1924-1925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비선형 기동을 하는 기동표적의 추정된 잡음을 분석하여 표적의 기동패턴을 분석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기동표적의 추정위치와 측정치에서 발생하는 잡음을 가속도와 순수 잡음으로 분리하고 분리된 성분을 분석하여 표적의 기동 패턴을 인식하고 동시에 추적을 실시하는 알고리즘을 구성한다. 잡음의 분리는 퍼지 클러스터링(FCM : Fuzzy C-means Clustering) 기법을 이용하여 적절한 추정값을 이용한다. 추정된 표적의 속도와 가속도, 잡음을 재 구성하여 기동표적의 기동패턴을 분석하고, 동시에 추적을 실시한다. 위의 과정을 통해 가속도를 분리한 후 비선형성을 지닌 기동표적의 기동패턴을 선형화 하여 칼만필터를 이용 잡음을 분리하고 가속도를 다시 보상하여 추적 알로리즘을 구성한다. 그리고 제안된 알고리즘의 수행 가능성을 보여 주기 위하여 몇 가지 예를 제시하였다.

  • PDF

Improvement for the starting method of the single-phase induction motor use on the Induced voltage of the rotor use on the induced voltage of the rotor (회전자 유기전압을 이용한 단상유도전동기 기동방법의 개선)

  • Chun, Sam-Sug;Park, Chan-Won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3.07b
    • /
    • pp.897-899
    • /
    • 2003
  • 단상유도전동기로 사용되는 커패시터 기동방식이나, 커패시터 구동-기동방식의 단상유도전동기는 전동기가 기동된 후 원심력스위치를 이용해서 기동용 커패시터를 개방하거나, 액체냉매 사용장소 등에서는 전류릴레이를 이용해서 이들을 개방한다. 본 연구에서는 원심력스위치나 전류릴레이 대신 회전자 전류에 의한 자속에 의해 기동권선에 나타나는 전압을 검출하는 릴레이를 기동권선에 연결하여, 회전속도에 비례하는 기동권선 전압으로 릴레이 코일을 여자하여, 릴레이 접접이 기동 권선을 개방하는 방법을 적용한다. 이 기동방법은 전동기 축에 연결하는 원심력스위치나 전류릴레이에 비해 전동기의 크기를 줄이고, 릴레이를 별도로 설치 가능하여 방폭형전동기 제작에도 보다 효율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 PDF

Transient Characteristic Analysis of Line Start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Using Magnetic Equivalent Circuit Method (유도기동성 영구자석 전동기의 기동 특성 해석)

  • Cho, Dong-Hyeok;Kim, Do-Wan;Han, Moon-Kyu;Oh, Si-Doek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1.10a
    • /
    • pp.128-130
    • /
    • 2001
  • 고성능 영구자석의 보급이 활발해지면서 기존 유도 전동기와 같이 상용전원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동기전동기의 특성을 갖는 고효율 유도기동성 영구자석 전동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도기동성 영구자석 전동기는 회전자에 알루미늄 바와 영구자석이 설치되어 유도기의 원리로 기동이 되며 정상 속도에서는 동기 전동기의 특성을 갖게 된다. 이때 동기속도로 인입되는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기동 특성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유도 기동성 영구자석 전동기의 기동시 특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유도 전동기의 과도 특성 해석 방법에 영구자석에 의한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등가회로 해석 방법을 이용하여 유도 기동성 영구자석 전동기의 기동시의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PDF

The Event Structure of Korean Inchoative Verbs with reference to '-ecita' verbs (한국어 기동동사의 사건구조 '-어지다'류 동사를 중심으로)

  • 김윤신;이정민;남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101-107
    • /
    • 2000
  • 기동동사는 새로운 상태나 과정의 시작을 나타내는 동사이다. '-어지다'류의 기동동사는 형용사나 동사의 어근에 '-어지다'라는 기동 보조 구성요소를 붙여 파생된다. 그런데 척도의 개념이 있는 형용사에서 파생된 기동동사의 척도의 개념이 없는 형용사나 동사에서 파생된 기동동사는 상적으로 다르게 행동한다. 이 논문은 '-어지다'류의 기동동사의 이러한 척도의 개념을 근거로 구별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인간의 언어에 반영된 척도라는 인지적 요소를 설명할 수 있다.

  • PDF

Analysis on Pumped 2500kVA Induction Motor Starting Characteristics (취수장 2500kVA 대용량 유도전동기의 기동특성 분석)

  • Jung, Won-Wook;Kim, Sang-Jun;Yoon, Ki-Gab;Seo, Jung-Chu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c
    • /
    • pp.44-46
    • /
    • 2005
  • 대용량 유도전동기가 정지상태에서 기동할때 매우 큰 돌입전류에 의해 Voltage Sag를 유발하게 되며 유도전동기에 걸리는 기계적 토크보다 큰 전기적 토크가 가해지지 않으면 유도전동기는 기동에 실패하게 된다. 따라서 대용량 유도전동기의 기동을 위해서는 Voltage Sag를 줄이고 전동기의 가속에 필요한 기동토크를 인가할 수 있는 기동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도전동기의 기동특성을 모의할 수 있는 모델링 기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에 의한 기동특성을 모의하여 적절한 기동법을 적용한다. 본 논문에서 사용한 대상 유도전동기는 한국수자원공사 취수장에서 운영하는 2500KVA 대용량 유도전동기를 사용하였으며 PSCAD/EMTDC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 PDF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달천이(TLI) 및 달포획(LOI) 기동의 달탐사 최적 궤적 설계

  • U, Jin;Song, Yeong-Ju;Park, Sang-Yeong;Choe, Gyu-Hong;Kim, Hae-Dong;Sim, Eun-Seop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9.10a
    • /
    • pp.40.2-40.2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달천이(TLI: Trans Lunar Injection) 및 달포획(LOI: Lunar Orbit Injection) 기동 시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최적의 임무를 설계하였다. TL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 주차궤도에서 지구-달 천이궤적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며, LOI 기동은 탐사선이 지구-달 천이궤적에서 달의 중력권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주어지는 기동이다.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의 확보는 실제적인 미래 한국의 달 탐사를 대비하였을 때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TLI 및 LOI 기동 시 대전 지상국에서의 가시성을 모두 고려하여, 최소연료로 지구 주차궤도에서 달 임무궤도 진입까지의 모든 단계에 대해 임무설계를 실시하였다. TLI 및 LOI 기동 시 추력은 순간 추력(Impulsive thrust)로 가정하였으며, KSLV-II 발사체의 성능을 적용하여 설계하였다. 임무 설계 시 태양, 지구, 달의 섭동력을 고려한 N체 운동 방정식을 탐사선에 적용하였으며, 지구의 비대칭 중력장, 태양 복사압, 달의 J2 섭동에 의한 영향도 고려하였다. JPL의 정밀 천체력인 DE405를 사용하였고, 상용 소프트웨어인 SNOPT(Spares Nonlinear OPTimizer)를 이용하여 비행 궤적의 최적해를 도출하였다. 임무 설계 결과를 통해, 대전 지상국의 가시성을 고려한 TLI 및 LOI 기동의 크기에 의한 임무설계의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최적화된 달 탐사 임무의 단계별 기동의 크기와 지구-달 천이 궤적의 형상 및 다양한 임무 요소들의 해석을 도출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racking Performace for a Maneuvering Target under the Variation of Maneuver Detection Thresholds (기동 유무 판별 기준의 변화에 따른 기동표적의 추적 성능 비교)

  • Park, Je-Hong;Lee, Woo-Joo;Lim, Sang-Seok
    • Journal of Advanced Navigation Technology
    • /
    • v.6 no.3
    • /
    • pp.231-240
    • /
    • 2002
  • For a long time target maneuvers in tracking problem have been a difficult task to handl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s. there have been various tracking techniques. In the development of a tracking filter for a maneuvering target, maneuver detection threshold plays a key role. However, no study of filter performance the varying maneuver detection threshold has been carried out so far. Instead, the maneuver detection have been chosen empirically. In this paper, the effect of detection threshold selection on the performance of the tracking filters was considered and the relationships between maneuvers and the detection threshold have been analyzed by simulation.

  • PDF

Methode Judging Dynamic Model for Target Motion (표적 기동에 따른 기동모델 판단 기법)

  • Kim, Do-Hyeong;Seo, Dae-Hui;Kim, Byeong-Du;Lee, Bye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10a
    • /
    • pp.83-84
    • /
    • 2013
  • 최근 다양한 시스템의 상태를 추정하는데 시스템의 운동 특성을 모델링하는 기법이 많이 연구되고 있다. 이 기법은 시스템의 운동 특성을 수학적으로 모델링하는 것으로 모델링의 정확도에 따라 시스템의 상태 추정 정확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표적의 기동 특성을 모델링하고 표적의 현재와 과거의 상태를 이용하여 정의된 기동 모델 중 적합성을 판단하는 기법을 제시하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기동하는 표적의 모델을 정확하게 판단하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 PDF

A Study on the Start-Up Scheme of Direct Vector Controlled Induction Motor (유도전동기의 직접 벡터제어 시스템에서 기동기법에 관한 연구)

  • 전태원;최명규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1999.07a
    • /
    • pp.509-513
    • /
    • 1999
  • 본 논문은 유도전동기의 직접벡터제어 시스템에서 전동기가 기동 시 토크 충격없이 부드럽게 기동할 수 있는 기동기법을 제시한다. 직접 벡터제어에서 고정자 자속을 계산 시 사용되는 적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버터주파수에 따라 시정수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어블 3-단계 저역필터를 적용한다. 이 3-단계 저역필터는 거의 완벽한 적분기능을 수행 할 수 있으나, 이 저역필터는 고정자 자속의 시간지연을 유발하므로 기동 시 전동기 토크의 충격을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동시 고동자 자속의 시간지연을 보상하는 고장자 자속의 피이드포워드 기법을 제시하여, 전동기 기동 시 토크 충격을 방지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 기동기법의 타당성을 확인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