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대피해

Search Result 1,005,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Calculation of Expected Damage to Breakwater Armor Blocks Considering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파향의 변동성을 고려한 방파제 피복 블록의 기대피해 계산)

  • 서경덕;권혁민;윤현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5 no.1
    • /
    • pp.21-32
    • /
    • 2003
  • In this study, the reliability design method developed by Hanzawa et al. in 1996 for calculation of the expected damage to armor blocks of a horizontally composite breakwater is extended to take into account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such as directional spreading of waves, obliquity of the design principal wave direction from the shore-normal direction, and its variation about the design value. To calculate the transformation of random directional waves. the model developed by Kweon et al. in 1997 is used instead of Goda's model, which was developed in 1975 for unidirectional random waves normally incident to a straight coast with parallel depth contours and has been used by Hanzawa et al. It was found that the variability in wave direction had great influence on the computed expected damage to armor blocks. The previous design, which disregarded wave directionality, could either overestimate or underestimate the expected damage by a factor of two depending on water depth and seabed slope, if the assumption of the present study that the stability formula for breakwater armor blocks proposed for normal incidence can be used for obliquely incident waves is valid.

Calculating Expected Damage of Breakwater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 for Wave Height Calculation (파고계산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방파제 기대피해도 산정)

  • Kim, Dong-Hyawn;Kim, Young-Jin;Hur, Dong-Soo;Jeon, Ho-Sung;Lee, Chang-Hoo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22 no.2
    • /
    • pp.126-132
    • /
    • 2010
  • An approach to calculating expected damage of breakwater assisted by artificial neural network was developed. Wave height in front of a breakwater was predicted by a trained artificial neural network with inputs of wave height in deep ocean and tidal level. Prediction results by the neural network can be comparable to that by professional numerical model for wave transformation. Using the wave prediction neural network, it was very easy and fast to obtain a number of significant waves at breakwater and finally analysis time for expected damage can be shortened. In addition, the effect of considering tidal level in the calculation of expected damage was revealed by comparing the expected damages with and without tidal variation. Therefore, it was pointed out that tidal variation should be considered to improve prediction accuracy.

Conceptual Study for the Potential Risk of Flood Damage Occurence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성의 개념적 연구)

  • Park Seok Geun;Kim Hung Soo;Lee Keon Haeng;Yoon Yong Nam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850-85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홍수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에 대한 잠재위험도를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대상유역의 연간 홍수피해 잠재위험도의 기대치를 나타내는 홍수피해 잠재위험 기대치(Expected Potential Risks of Flood Damage, EPR)라는 새로운 개념을 정의하고 이 개념을 이용해 잠재위험도를 산정하도록 한다. 우선 EPR을 선장하기 위한 요소로 대상유역의 노출성(E)과 취약성(V)을 정의하고, 빈도-유량 곡선, 수위-유량 곡선, 수위-노출성$\cdot$취약성 곡선, 빈도-노출성$\cdot$취약성 곡선을 정의하도록 한다. 빈도-유량 곡선은 대상유역의 하천정비기본계획 자료와 실측자료를 이용해 산정하고,, 수위-유량 곡선은 HEC-G대RAS 모형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대상유역은 경기도 용인시에 위치한 금학천 유역으로, 산정결과는 최대 노출성 및 취약성 지수를 각각 100으로 볼 때, 노출성 지수는 28, 취약성 지수는 32.25이고, 50년 빈도 홍수피해 잠재위험도는 30.13로 산정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Crop Loss Assessment Method by Flood Disaster (홍수에 따른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 개발)

  • Kim, Gilho;Hong, Seungjin;Choi, Cheonkyu;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25-225
    • /
    • 2019
  • 건물, 차량, 사회인프라시설과 달리 농작물이란 물리적인 시설이 아닌 농업경제 활동의 결과물로서 최종적으로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행위에서 재난으로 인하여 지장을 받게 되는 경제적 피해가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홍수로 인한 농작물 피해를 "생산비 매몰비용"과 "순수익 손해"를 농작물 피해추정의 척도로 하였다. 생산비 매몰비용이란 경작시작부터 피해발생까지 투입된 생산비의 회수불가에 따른 피해이며, 순수익 손해란 피해발생에 따른 기대 순수익 하락에 따른 피해를 의미한다. 다양한 작물 가운데 10종의 대표작물을 선택하고, 각 작물의 표준생산비와 표준순수익을 농업생산 및 수익과 관련한 통계자료로부터 결정하였다. 이로부터 생육경과율과 홍수 발생시기(6~9월)를 고려하여 월별 투입생산비 및 기대순수익을 결정하였다. 대상지역 내 재난에 노출된 작물정보를 정의하는 농작물 인벤토리는 농림축산식품부에서 제작된 스마트 팜 맵(농경지 전자지도)을 활용하였고, 다양한 작물이 혼재된 밭의 경우 농업면적조사 결과를 토대로 결정한 밭작물 재배현황비를 고려하였다. 홍수에 따른 취약성을 설명하는 농작물 손상함수는 영향인자는 침수심, 침수기간이며, 이를 기준으로 한 손상함수는 농림부의 농업재해피해조사요령과 일본 치수경제조사메뉴얼을 참고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농작물 피해 추정 방법은 기존 방법인 다차원 홍수피해산정법(MD-FDA)과 비교할 때 대표작물의 현실화, 국내 실정을 고려한 손상함수, 그리고 면적 기반의 원단위를 사용함으로써 실무적으로 명확하고 실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본논 막바지 관리와 병충해방제

  • 이상석
    • The Bimonthly Magazine for Agrochemicals and Plant Protection
    • /
    • v.6 no.9
    • /
    • pp.48-56
    • /
    • 1985
  • 금년도에도 전기 벼농사는 풍년이 될 것임을 보여주고 있다. 초장이나 경수로 보아 약간 떨어지기는 했으나 수량에는 큰 지장을 줄 것 같지 않고 오히려 등숙이 나아질 수 있는 여건이 되기 때문에 큰 기대를 해봄직도 한 상황이다. 그러나 해에 따라서는 예기치 않은 재해와 막바지의 병충해 피해로 말미암아 그 기대가 어긋나는 해도 있었다. 지난 1975년도에서도 모두 풍년임을 자긍하다가 벼멸구의 피해로 그 기대가 사라진 적이 있지 않았던가. 전기 벼농사는 벼의 잎과 줄기를 즉 초장과 경수를 만드는 기간이라면 후기 벼농사는 우리가 실제 필요로 하는 쌀을 만드는 과정이다. 앞으로 해야할 중요한 관리는 물대기 알거름주기 병충해 방제 그리고 제때 벼베기 하는 것들이다.

  • PDF

Development of a Environmental Facility Flood Damage Simulation System based on Spatial Information (공간정보기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 개발)

  • Yoon, Jung Hwan;Lee, Gyeng Bin;Lee, Min Ho;Lee, Chang H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15-215
    • /
    • 2020
  • 최근 집중호우로 인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는 시설의 직접 피해 이외에 단수와 수질 불량 등 사회적 2차 피해를 발생시킬 위험이 높기 때문에 효율적인 대응체계 및 대응시스템 구축이 요구된다. 하지만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영향예측과 피해저감기술의 개발이 미흡하고, 국내 실정에 적합한 환경시설의 침수피해 해석을 위한 전문시스템이 부재하여 환경시설의 방재대책 수립시 피해예측의 정확성 확보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환경시설의 침수피해에 대비하고 선제적 재해 예방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 실정을 고려할 수 있는 공간정보기반의 환경시설 침수피해 시뮬레이션 플랫폼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공간정보 기반의 국내 환경시설에 대한 침수피해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내수침수와 외수침수의 시뮬레이션 및 결과해석의 기능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시스템은 자연재해로부터 발생하는 환경시설 침수피해를 예측하고 피해를 저감하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Risk Analysis Storm Surge in Masan Bay (마산만 지역의 폭풍 해일로 인한 위험도 분석)

  • Jang, Min-Soo;Yoon, Hong-Sik;Kim, Tae-Woo;Lee, Seung-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227-229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태풍으로 생기는 폭풍 해일에 취약한 연안 지대의 위험도 분석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대상 지역을 상습적인 폭풍 해일로 인한 피해가 상습적으로 일어나는 마산만 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이 마산만 지역에서 폭풍 해일로 인하여 생기는 연안의 주요 시설에 대한 피해를 물에 잠기는 정도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재산피해의 정도를 산정한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재산피해액 자료는 합당한 방재 정책을 결정하는 데 적절히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Flooding Areas in Korea Using Public Data Visualization Design and Implementation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한국의 침수 지역 시각화 설계 및 구현)

  • Park, Yeon-woo;Han, S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2.11a
    • /
    • pp.105-106
    • /
    • 2022
  • 한국은 지리적 특성상 매해 태풍과 호우에 의한 침수 피해를 보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와 도시화 등으로 인하여 피해가 대형화되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자연재해 중 침수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안으로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관련 정보를 시각화한 프로토타입의 앱을 설계 및 구현한다. 구현한 앱을 통하여 침수 피해를 미리 대비하고 침수 시 피해를 줄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termination of optimal flood using total expected cost function (총 기대비용함수를 이용한 최적설계홍수량 결정)

  • Kim, Sang Ug;Choi, Kwang Bae;Seo, Dong Il;Cheon, Young 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87-287
    • /
    • 2022
  • 홍수빈도분석의 실용적 측면의 목적은 특정 재현기간에 대하여 발생 가능한 홍수량을 설계홍수량(design flood)으로 설정함으로써 댐, 제방, 배수시설, 하수관거 등의 치수기능을 가진 치수시설물이 설계홍수량 내에서 홍수로 인한 피해를 발생시키지 않도록 그 규모와 기능을 설계함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유량자료의 부족으로 강우빈도분석을 수행하여 재현기간별 확률강우량을 먼저 산정하고 이를 강우-유출모형을 통해 확률홍수량으로 전환한 뒤 하천등급에 따른 재현기간 기준에 따라 설계홍수량을 산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결정된 설계홍수량이 특정유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규모에 대해 얼마나 적정한 지의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한 연구는 국내·외에서 찾아보기 어려우며,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제공하는 것이 본 연구의 가장 중요한 목표이다. 홍수빈도분석을 통해 산정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 여부를 과학적으로 판단하기 위해 최근에 진행된 해외의 몇몇 연구에서는 총 기대비용함수(total expected cost function)의 개발에 근거한 최적설계홍수량을 활용할 수 있음을 제안한 바 있다. 이 개념은 계획된 설계홍수량 이상에서 발생될 수 있는 피해함수(damage function) 및 기대피해함수(expected damage function)와 비용함수(cost function)가 결정되면, 이로부터 총 비용을 나타내는 총 기대비용함수(total expected cost function)을 도출하고 총 기대비용함수가 최소가 되는 최적설계홍수량(optimal design flood)을 산정하여 이를 계획된 설계홍수량(tentative design flood) 비교함으로써 계획된 설계홍수량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과정을 기초이론으로 활용한다. 본 연구에서는 불확실성으로 발생되는 범위를 고려한 최적설계홍수량을 산정하기 위하여 Metropolis-Hastings 알고리즘을 사용하였으며, 자료의 종류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년최대계열 및 부분시계열 자료를 각각 적용하였다. 한강유역에서 가평대성, 여주 및 한강대교 수위표 지점에서 측정된 자동관측유량장치에 의한 홍수량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최적설계홍수량이 기존 설계홍수량에 비해 크게 산정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Effects of Long-Term Harbor Shutdown and Temporal Operational Stoppage upon Optimal Design of Vertical Breakwater Caisson (장기간의 항만 폐쇄와 일시적 운영 중단이 직립 방파제 케이슨의 최적 설계에 미치는 영향)

  • Suh, Kyung-Duck;Kim, Deok-Lae;Kim, Kyung-Su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 /
    • v.19 no.2
    • /
    • pp.113-127
    • /
    • 2007
  • In this study, a model to calculate the expected total construction cost is developed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rehabilitation cost related to the sliding of the caisson, the economic damage cost due to harbor shutdown in the event of excessive caisson sliding, and the economic damage cost due to temporal operational stoppage by excessive wave overtopping. A discount rate is used to convert the damage costs occurred at different times to the present value. The optimal cross-section of a caisson is defined as the cross-section that requires a minimum expected total construction cost within the allowable limit for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of the caisson during the lifetime of the breakwater. Two values are used for the allowable limit: 0.3 and 0.1 m. It was found that the economic damage cost due to harbor shutdown by excessive caisson sliding is more critical than the rehabilitation cost of the caisson or the economic damage cost by excessive wave overtopping in the decision of the optimal cross-section. In addition, the optimal cross-section of the caisson was shown to be determined by the allowable limit for the expected sliding distance rather than the minimum expected total construction cost as a larger value is used for the threshold sliding distance of the caisson for harbor shutd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