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적 발성장애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26초

연하장애환자의 후두기능 및 연하관련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 음악중재사례 (Therapeutic Singing-Based Music Therapy for Patients With Dysphagia: Case Studies)

  • 여명선;김수지
    • 재활복지
    • /
    • 제22권1호
    • /
    • pp.169-194
    • /
    • 2018
  • 본 연구는 세 명의 연하장애환자들을 대상으로 후두관련기능의 개선을 목표로 한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를 시행하고, 각 사례 별로 관찰된 변화를 기술한 개별 사례연구이다. 중재는 개별 세션의 형태로 매 회기 30분, 주 3회씩 총 12회기 동안 진행되었으며, 시행된 프로그램은 호흡근 이완, 구강근육운동, 후두상승 유지를 위한 발성과 치료적 노래부르기 등의 순서로 구성되었다. 대상자들의 연하 및 말하기 기능, 삶의 질 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매 회기 후두교호운동속도, 최대발성시간, 음성 질 관련 항목 등을 측정하였고, 중재 전후로 설문을 통해 삶의 질을 평가하였다. 중재 과정에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구분되는 변화의 양상이 관찰되었고, 중재 후에는 모든 대상자의 후두교호기능 및 음성 질 지표 측정값에 변화가 있었으며, 연하관련 삶의 질 평가점수도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치료적 노래부르기 중심의 음악중재프로그램이 다양한 원인에 의한 연하장애환자들의 후두관련기능 및 삶의 질 영역에 공통적으로 혜택을 줄 수 있다는 점과, 중재 시 대상자의 기능적 특성에 따라 고려해야 할 부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 수 있었다.

기능적 음성장애 환자에서의 음성치료의 효과 (The Effect of Voice Therapy for Functional Voice Disorder)

  • 정성민;조윤희;홍순관;변성완;김은아;손지연;박애경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5-150
    • /
    • 2002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atients with so-called 'functional voice disorders' who have structurally normal larynges and demonstrate muscle misuse in the larynx, and those with several interacting causes including habitual muscle tension, are probably better defined as having a 'muscle misuse voice disord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voice and effectiveness of voice therapy in patients with functional voice disorders and to provide a guide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voice disorder. Materials and Method : The records of 35 patients, presenting with functional voice disorder and receiving voice therapy during October, 2001 to September, 2002, were reviewed. Prior to voice therapy, the stroboscopic examination of their larynx, aerodynamic and acoustic analysis was done. The results of voice therapy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patient's subjective, 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and maximal phonation time. Results : Patient's subjective, perceptual evaluation, and maximal phonation time showed superior results after voice therapy. Conclusion :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voice therapy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of patients with functional voice disorder, especially muscular tension dysphonia.

  • PDF

기능적 음성장애인의 발성역치압력과 발성역치기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of Patients with Functional Voice Disorder)

  • 이인애;윤주원;황영진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5권1호
    • /
    • pp.63-69
    • /
    • 2013
  •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of Patients who have Functional voice disorder. 50 subjects participated in study (32 subjects were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s and 20 subjects were normal adults). The PAS (Phonatory aerodynamic system, model 6600, KAY electronics, Inc.) was used to measure the data and to do the analysis. Data from the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was measured using voicing efficiency of the PAS protocol. Data from the Phonation Threshold Airflow was measured using Maximum Sustained Phonation of the PAS protocol. Those were used because of the ease of phon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between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and normal adults could be significant index. Patients who had functional voice disorder showed more higher figures than normal adul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Phonation Threshold Pressure and Phonation Threshold Airflow are very useful in diagnosing the voice disorder. The measured data also provided useful information for diagnosing patients with vocal fold diseases.

결핵후 폐기종과 원발성 폐기종에서 우심질 기능의 차이 (Difference in Right Ventricular Function between Post-tuberculosis Emphysema and Primary Emphysema)

  • 김명아;김상현;정희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97-107
    • /
    • 2001
  • 연구배경 : 결핵에 의해 폐실질의 손상과 혈관 자체의 손상이 발생하고, 폐결핵의 만성 후유증으로 병발하는 이차성 폐기종에 의해 추가적인 폐혈관상의 손상이 초래된다. 그러므로 폐의 관류장애는 원발성 폐기종보다 결핵후 폐기종에서 더 심한 경향을 보인다. 따라서 결핵후 폐기종에서 우심의 기능이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되나,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결핵후 폐기종과 원발성 폐기종에서 우심 기능의 차이를 알아보고, 유의한 차이가 있다면 그 의의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병력 및 HRCT 결과, 폐기능검사 소견을 종합하여, 결핵후 폐기종 또는 원발성 폐기종을 진단하였다. 1초시 강제호기량과 노력성폐활량이 서로 비슷한 결핵 후 폐기종 환자와 원발성 폐기종 환자 20명을 선정하였다. 이들 환자를 대상으로 안정 시와 증상한계 운동부하 후 동맥혈가스분석과 심초음파검사들 시행하였다. 우심의 기능은 변형된 Simpson씨 법으로 박출계수를 산정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대상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이나 폐기능검사 지표 상 두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동맥혈 가스분석 상 결핵후 폐기종군에서 안정 시와 운동 후 모두 이산화탄소압이 높고(안정 시 $42.9{\pm}4.7$ vs $38.8{\pm}3.1\;mmHg$, p<0.05 ; 운동 후 $47.9{\pm}7.0$ vs $41.1{\pm}5.9$, p<0.01) 우심실기능은 낮았다(안정 시 $57.6{\pm}6.5$ vs $61.4{\pm}4.7\;%$, p<0.01 ; 운동 후 $51.1{\pm}10.8$ vs $59.8{\pm}6.6\;%$, p<0.01). 또 운동 후 산소분압 역시 낮았으며($65.7{\pm}12.6$ vs $80.2{\pm}14.4\;mmHg$, p<0.01), 안정 시 산소분압은 낮은 경향을 보였다($82.9{\pm}12.0$ vs $87{\pm}7.5$, p>0.05). 양군 모두에서 우심의 박출계수는 운동 후의 산소분압(결핵후 폐기종 r=0.536, 원발성 폐기종 r=0.557), 그리고 안정 시(결핵후 폐기종 r=-0.576, 원발생 폐기종 r=-0.588) 및 운동 후(결핵후 폐기종 r=-0.764, 원발성 폐기종 r=-0.619)의 이산화탄소분압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결 론 : 환기기능이 비슷한 경우 결핵후 폐기종에서는 원발성 폐기종에 비해 우심의 기능과 가스교환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어, 결핵후 폐기종에서 폐의 가스교환은 우심실 기능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능적 실성증에 대한 음성치료의 효과 분석: 기초 연구 (The Effect of Voice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Aphonia: A Preliminary Study)

  • 김노을;김준석;오재환;김동영;우주현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75-80
    • /
    • 2021
  • Background and Objectives Functional aphonia refers to in which by presenting whispering voice and almost producing very high-pitched tensed voices are produced. Voice therapy is the most effective treatment, but there is a lack of consensus for application of voice therap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vocal characteristics of functional aphonia and the effect of voice therapy applied accordingly. Materials and Method From October 2019 to December 2020, 11 patients with functional aphonia were treated using voice therapy which was processing three stages such as vocal hygiene, trial therapy, and behavioral therapy. Of these, 7 patients who completed the voice evaluation before and after voice therapy was enrolled in this study. By retrospective chart review, clinical information such as sex, age, symptoms, duration, social and medical history, process of voice therapy, subjective and objective findings were analyzed. Voice parameters before and after voice therapy were compared. Results In GRBAS study, grade, rough, and asthenic, and in Consensus Auditory-Perceptual Evaluation of Voice, overall severity, roughness, pitch, and loudnes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voice therapy. In Voice handicap index, all of the scores of total and sub-categorie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objective voice analysis, jitter, cepstral peak prominence, and maximum phonation tim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nclusion The voice therapy wa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functional aphonia by restoring patient's vocalization and improving voice quality, pitch and loudness.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서의 공기역학적 검사 (Aerodynamic Study in Normal Korean and Patients with Vocal Polyp)

  • 서장수;송시연;정유선;김정수;지덕환;이무경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5-11
    • /
    • 1999
  • 최근 음성장애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성대질환 내지는 후두질환의 정확한 진단을 위한 발성기능의 측정이 더욱 중요시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상 한국인 남자 81명, 여자 76명과 성대용종 환자 남자 78명, 여자 65명을 대상으로 공기역학적 검사 중 컴퓨터화된 측정기구와 기류저지법으로 최대발성지속시간, 발성기류량, 평균호기류율, 및 성문하압을 연령별 및 성별에 따라 평균치를 측정, 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최대발성지속시간은 정상인 남자가 20.6${\pm}$6.34초, 여자가 17.2${\pm}$4.20초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13.1${\pm}$4.26초, 여자가 11.6${\pm}$4.43초였다. 평균호기류율은 정상인 남자가 170.0${\pm}$67.00ml/sec, 여자가 131.1${\pm}$49.03ml/sec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55.7${\pm}$216.52ml/sec, 여자가 183.24${\pm}$107.16ml/sec였다. 발성기류량은 정상인 남자가 3179.0${\pm}$648.94ml. 여자가 2144.1${\pm}$650.81ml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2905.8${\pm}$1295.35ml, 여자가 1904.4${\pm}$1068.59ml였다 성문하압은 정상인 남자가 4.0${\pm}$1.88cm$H_2O$, 여자가 3.5${\pm}$4.20cm$H_2O$였고, 성대용종 환자에서 남자가 4.2$\pm$1.48cm$H_2O$, 여자가 3.9${\pm}$1.12cm$H_2O$였다. 성대용종 환자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있게 최대발성지속시간은 감소하고, 평균호기류율은 증가하였으며, 발성기류량과 성문하압은 여자환자에서만 의미 있게 각각 감소하거나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정상인과 성대용종 환자에 있어서 객관적인 공기역학적 검사결과를 보여주며 이는 성대용종 환자의 음성이상에 대한 상태판정이나 치료 후 효과 판정에 기본자료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음성장애에 대한 임상적고찰 (Clinical Observation on Voice Disorder)

  • 이종원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9년도 제13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7.2-8
    • /
    • 1979
  • 음성외과는 발성기능를 취급하는 기능외과이기 때문에 수술적응의 결정 수술효과의 판정 수술성적의 비교를 위하여 발성기능의 검사가 필요하다. 청력을 취급하는 수술에서 청력검사가 필요한 것과 같다. 연자는 구유미대학 이비인후과를 방문한 각종후두환자(56례 즉Recurrent laryngeal nerve paralysis, polyp. polipoid vocal cord. sulcus vocalis, Laryngeal cancer, Benign mass, Epitherial hypertrophy. 등에서 발성지적시간, 폐활량/담성지적시간, 평균호기유율 및 후두 Stroboscopy 검사를 시행하여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성대의 편측성병변은 35례(62.5%)이고 양측성병변은 21례(37.5%)로 편측성병변이 많았다. 2) 성별로는 남성이 39례(69.8%) 여성이 17례(30.2%)로 남성이 많았다. 3) 발성지적시간은 10초이하가 26례(46.4%) 10초이상이 30례(53.6%)이였다. 4) 폐활양/발성지적시간은 300m1/sec이하가 33례(58.9%) 300m1/sec이상이 23례(41.1%)이였다. 5) 평균호기류율은 300m1/sec이하가 37례(66.1%)300ml/sec 이상이 19례(33.9%)이였다. 6) 후두 stroboscopy 검사에서 성대의 대칭성, 규칙성, 진폭, 점막파동 및 성문패쇄에 대해서 관찰하였다. 7) 후두수술전후의 음성검사와 stroboscopy 검사의 비교는 수술후의 성적이 매우 좋다.

  • PDF

후두암 치료후 음성보존의 성적 (A RESULT OF VOICE PRESERVATION FOLLOWING TREATMENT OF LARYNGEAL CANCER)

  • 김형태;김형주;김민식;조승호;서병도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29-29
    • /
    • 1991
  • 후두암의 치료는 병변의 위치, 크기 등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양하고 그 예후 또한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초기 후두암에서는 수술이나 방사선 요법이 비슷한 치료결과를 보이고, 진행된 후두암에서는 수술적 치료가 더 좋은 예후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발성장애를 초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저자들은 1986년부터 1990년까지 5년간 강남성모병원에서 후두암치료를 받았던 환자 81명을 대상으로 치료방법에 따른 음성보존 성적을 분석하였다. 1. T1 성대암 환자 18명중 16명 (88.9%)에서 방사선치료 또는 수술로써 음성을 보존할 수 있었다. 2. T2 후두암 환자 11명중 6명은 수술후 음성보존이 가능하였다. 3. 진행암환자 (T3, T4) 50명중 33명에 대해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중 16명(48.5%)은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 및 기관-식도 누공술에 의해 음성기능을 보존할 수 있었다. 4. 진행암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의 병용요법만을 받은 17명 모두 6개월 이내에 재발하였고, 수술 혹은 수술과 방사선 치료를 병용한 33명중 27명이 최소한 6개월 이상 평균 2년 이상의 무병상태였다. 5. 후두부분 또는 근전적출술은 총 81명중 28명에서 시행되었고 그중 5명 (17.9%)에서 재발하였다.

  • PDF

고양이에서 상후두신경자극에 의한 후두뇌간유발반응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LARYNGEAL BRAIN STEM EVOKED RESPONSE IN CAT)

  • 김광문;김기령;윤주헌;김창규;박용재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91년도 제25차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4-14
    • /
    • 1991
  • 후두의 생리적 기능은 하기도를 보호하는 방어기능과 호흡기능 그리고 발성기능으로 대별할 수 있는데 이 가운데 계통발생적으로 가장 원시적이지만 중요한 기능은 하기도 방어기능으로 이는 다른 기능과 달리 전적으로 불수의적이고 반사적으로 이루어진다. 이 기능은 후두내 점막에 존재하는 촉각 수용체(tactile receptor)가 자극되면서 후두근육이 수축 반사를 일으켜 성문이 닫히는 성문폐쇄반사(glottic closure reflex)로서 다접합뇌간반사(polysynaptic brain stem response)이다. 현재까지 후두의 신경장애에서 그 부위나 정도 또는 신경재생 상태 등을 검사하는 방법으로 근전도검사가 주로 쓰여져 왔으나 그것이 주는 정보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 청각뇌간유발반응과 같이 후두뇌간유발반응 이라 명명된 wave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이것이 임상에 쓰여질 수 있다면 현재 성문폐쇄반사의 소실이나 이상이 원인으로 사료되는 idiopathic laryngospasm, gastroesophageal reflux, spastic dysphonia, stuttering, sudden infant death syndrome과 같은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커다란 진전이 있을 것이다. 이에 저자들은 고양이 6마리를 이용하여 상후두신경을 전기적으로 자극하여 유발되는 반응을 far field recording을 이용 평균 가산법으로 그 wave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상후두신경자극(2㎃, stimuli frequency 3/s, Band filter 320-1000, 0.2 ㎳ duration)에 의한 반회신경에의 유발 반응을 기록하였고 그 잠복시간은 평균 8.2 ㎳ 였다. 2. 상후두신경을 자극하여 후두뇌간유발반응을 기록하였고 후두뇌간유발반응은 4개의 양 wave와 4개의 음 wave로 구성되었다. 3. 각 wave의 평균 잠복시간은 P1은 0.8㎳, P2는 2.3㎳, P3는 3.6㎳, P4는 4.3㎳였고 N1은 1.5㎳, N2 은 2.7㎳, N3는 3.9㎳, N4는 5.5㎳ 였다.

  • PDF

언어습득기 이전 청각장애인의 후두소견 및 음성학적 특성 (Laryngeal Findings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in Prelingually Deaf Patients)

  • 김성태;윤태현;김상윤;최승호;남순열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7-62
    • /
    • 2009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here are few studies reported that specifically examine the laryngeal function in patients with profound hearing loss or deafness,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videostroboscopic findings and phonetic characteristics in adult patients with prelingually deaf. Materials and Method: Sixteen patients (seven males, nine females) diagnosed as prelingually deaf aged from 19 to 54 years, and were compared with a 20 normal control group with no laryngeal pathology and normal hearing group, Videostroboscopic evaluations were rated by experienced judges on various parameters describing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laryngeal mechanism during comfortable pitch and loudness phonations. Acoustic analysis test were done, and a nasalance test performed to measure rabbit, baby, and mother passage. CSL were measured to determine the first and two formant frequencies of vowels /a/, /i/, /u/,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Mann-Whitney U or Wilcoxon signed ranks test. Results: Videostroboscopic findings showed phase symmetry but significantly more occurrences decrement in the amplitude of vibration, mucosal wave, irregularity of the vibration and increased glottal gap size during the closed phase of phonation, In addition, group of prelingually deaf patients were observed to have significantly more occurrences of abnormal supraglottic activities during phonation. The percentage of shimmer in the group of prelingually deaf patients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group. Characteristics of vowels were lower of the second formant of the vowel /i/. Nasalance in prelingually deaf patients showed normal nasality for all passages, Conclusion: Prelingually deaf patients show stroboscopic abnormal findings without any mucosal lesion, suggesting that they have considerable functional voice disorder. We suggest that prelingually deaf adults should perform vocal training for normalized laryngeal function after cochlear implant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