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 건축

Search Result 579, Processing Time 0.03 seconds

설비의 리모델링을 고려한 건축물 설계

  • 김수암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30 no.9
    • /
    • pp.17-26
    • /
    • 2001
  • 최근 국제적인 여건과 사회적인 상황이 급변하여 대량생산-대량소비지향으로 인한 폐기물의 대량방출사회에서 지구환경보전을 중시하는 사회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지구환경의 보전을 위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각종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건축분야에서도 지구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이산화탄소배출의 억제와 폐기물 삭감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건축물의 장수명화와 리모델링도 이러한 움직임과 궤틀를 같이 하는 것이다. 물론 리모델링은 신축시장의 급감에 따른 대체시장으로서 검토되고 있는 측면이 더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동안 신축에 대한 집중적인 투자에 중점이 두어져 재고건축물에서 간과해 왔던 유지관리와 리모델링에 대한 중요성 인식이 결부되어 있다고 보여진다. 사실 지금까지 리모델링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일반건축물 부문에서는 상당부분 이루어져 왔으며, 공동주택 부문에서도 극소수 이루어져 왔다. 리모델링에 대한 정의와 개념을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리모델링은 건축물 또는 외부공간의 성능 및 기능의 노후화나 진부화에 대응하여 보수, 수선, 개수, 부분증축 및 개축, 제거, 새로운 기능추가 및 용도변경에 이르는 광범위한 행위를 포함한다. 리모델링을 통하여 건축물의 성능을 유지하거나 향상시켜 쾌적하고 건강한 건축물의 재고 를 구축함과 아울러 건강한 지역환경을 조성하여 국민생활의 질적인 향상을가져옴으로써 환경을보전하 고 자원낭비를 줄여 지속가능한 건축물과 사회를 만들어 갈수있도록 하는 것이다. 건축물에서 리모델링을 하게 되는 동기는 시간이 흘러 물리적인 측면이나 기능적인 측면에서 노후화가 발생하거나 기능적인 요구가 변화함에 따라 건설당시의 성능이나 기능유지가 어렵거나 건설당시의 기능만으로는 요구조건을 만족함 수 없기 때문에 건설 당시의 수준을 유지하거나 새로운 요구에 적합하도록 향 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또는 기능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물리적인 개선이나개량을위하여 중요한것은건축 물을 구성하는 자재나 부품의 수명문제이다. 수명의 길이차이가 건축물의 리모델링에 영향을 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서로 다른 수명의 자재나 부품의 접합상태가 리모델링 공사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된다. 리모델링 공사가 신축공사의 70-80% 정도의 공사비가 소요되기 때문에 리모델링 공사가 어렵다는 업체의 불만은 바로 이러한 점을 극명하게 드러내는 좋은 사례이다. 본 고는 이러한 측면에서 건축물의 장수명화를 근간으로 한 설비의 리모델링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건축 계획 및 구법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고는 기존건축물의 설비자체의 보수나 개수를 용이하게 하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진 것이 아니라 건축설계 및 시공시에 향후 설비부분을 용이하게 개.보수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측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 PDF

좌담:전환점에 선 협회, 어떻게 달라져야 하나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1 s.381
    • /
    • pp.17-34
    • /
    • 2001
  • 건축문화창달의 구심체로서 건축계 발전과 공익에 이바지하고 건축사 회원의 권익옹호 및 업무개선에 앞장서 온 대한건축사협회는 36년의 오랜 역사가 말해주듯 7천7백여 회원과 산하 16개 시도건축사회와 84개 지역건축사회로 구성된 조직력을 갖춘 전문자역사단체로 당당히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국내 여타 전문자격사단체들과 마찬가지로 지난 경제성장기 동안 제도의 틀 안에서 안정을 누려온 협회에 대해 그 기능과 역할을 재정비해야 한다는 건축계 안팎의 목소리가 점차 높아지고 있으며, 회원들의 요구 또한 적극적이며 다양해지고 있다. 여기에다 장기간 계속된 건축경기의 침체는 건축사사무소들의 경영상태를 크게 악화시켜 회비 수입에만 의존해온 협회의 재정상태를 어렵게 하므로써 향후 협회재정 자립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최근 정부의 규제개혁정책에 의해 설계도서신고제가 폐지되는 등 회원들의 의무규정이 상당부분 완화되었으며 또한 임의단체로의 전환과 함께 회원가입이 자유화됨에 따라 협회로서는 회원 결속력 강화와 자생력 확보라는 두 과제를 시급히 해결해야만 하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특히 WTO에 의한 건축서비스시장 개방이 가속화되고, 이러한 무한경쟁시대에 대비해 정부가 각종 규제완화 정책들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등 앞날에 적지 않은 변화가 불어닥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우리 건축사의 이익과 주장을 대변하는 창구로서의 기능 또한 중요시되고 있다. 따라서 전환기에 선 협회의 발전적 앞날을 위해서는 보다 다각적인 방향에서 그 위상을 재정립하고 또한 국제화ㆍ개방화ㆍ정보화시대에 제 기능과 역할을 다할 수 있는 전문조직으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이에 본지에서는 이번 좌담을 통해 협회의 기능과 역할을 재조명해 보고 아울러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는 전문자격사단체로서의 위상을 확립해 나가기 위한 다양한 의견을 듣는 자리를 마련하였다.

  • PDF

건축의 문화ㆍ사회적 기능과 정부의 역할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4 s.420
    • /
    • pp.62-69
    • /
    • 2004
  • 우리 협회는 건축설계의 국제 경쟁력 강화와 건축설계시장의 정상화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건설경기 침체, 설계ㆍ감리시장의 무질서 등으로 인하여 과당경쟁과 덤핑이 만연하고 있다. 이로 인해 건축에 있어서 공공성의 훼손이 심각하게 우려되고 있다. 이에 우리 협회는 "건축설계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기능과 건축에 대한 정부 인식의 문제점"등을 되짚어 보는 좌담회를 개최하여 각계의 의견을 듣고 적극적인 대처방안을 마련하는 계기로 삼고자 한다.

  • PDF

A Study of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Depicted on Andre Courrs Fashion Design (앙드레 꾸레쥬의 패션 디자인에 나타난 건축양식 특성연구)

  • Kyoung-Hee C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
    • v.23
    • /
    • pp.25-43
    • /
    • 1994
  • 앙드레 꾸레쥬는 자신의 디자인에 건축적 조형미를 표현한 대표적인 디자이너이다. 그의 디자인들은 라인 뿐 아니라 색채, 소재, 액세서리에 이르기까지 건물을 짓듯이 설계, 구성되어 있다. 최근 복식미의 건축적 조형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을 감안할 때, 60년대 이미 선구자적인 역할을 하면서 자신의 건축가적인 기호를 유감없이 발휘해온 꾸레쥬를 연구한다는 것은 21세기를 향한 패션의 발전 측면에서 조금이라도 의미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앙드레 꾸fp쥬가 가장 활발히 활동했던 1974년에서 1970년까지 그의 디자인들을 집중 연구하였는데, 그의 패션디자인에 건축양식의 특징들이 어떻게 나타났는지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 사용된 실제의 옷 샘플들은 뉴욕 메트로폴리탄 예술박물관내의 Costume Institute Storage 에 있는 의복과 액세서리들을 직접, 관찰 , 분석한것이고 그 박의 사진들은 패션과 건축에 관한 서적과 잡지, 박물관내의 Slide Library , 그리고 Costume Institute Library Collection에서 발췌 , 비교 연구한 것이다. 일찍이 엔지니어링과 건축을 공부했던 앙드레 꾸레쥬는 50년대의 패션 디자이너의 거장 발렌시아가 밑에서 10년 넘게 일하다가 독립하였는데 그의 디자인 세계는 줄곧 여성들이 입고 편히 활동 할 수 있는 기능성을 강조하면서 단순하고 편안한 의복 구성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자신의 패션 철학과 의복제작 과정들은 현대건물이 갖는 단순성, 기능성의 특징과 일치한다고 믿었다. A. 라인(Line) 앙드레 꾸레쥬는 패션 디자인에서의 비레는 건축에서구조를 쌓아가는 것과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옷에서의 기본 구성을 기하학적인 라인에 두었다. 그래서 그의 옷들은 A-라인, 사각형, 사다리꼴,,, 등의 분명한 실루엣을 이루고 있는데 이러한 기본라인을 뒷받침이라도 하듯 소매가 아주 짧거나 없는 것이 특징이다. 황금분할이 아닌 1 : 1 구성은 그가 독특하게 사용한 비례방법의 하나인데 그것은 자켓과 스커트의 길이비례, 요크와 몸판간의 면적비례 등에서 잘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그는 , 의복구성의 비례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한 강한 색상의 대비를 현대건물의 인테리어에 빛을 사용하는 것과 같은 이치라고 설명한다. B.색상(Color) 흰색은 그러한 그의 비례강조 의복에 가장 적절한 색으로 사용되었다. 그는 빨강, 오렌지, 녹색, 분홍등 강렬한 원색을 사용하였는데도 불구하고 흰색은 그의 건축양식 발상의 Ideo를 완성시키는 완전한 색이었다. 뜨거운 날씨에 흰색이 가장 기능적인 색인 것처럼 강한 원색 대비를 통해 비례강조를 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뒷받침하는 가장 합리적이고 기능적인 색은 흰색이라고 믿었다. C. 소재 (Material) 앙드레 꾸레쥬는 건물을 짓듯이 사람위에 옷을 건축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자연히 둔탁하고 딱딱한 소재가 많이 사용되었다. 비닐, 금속류, 시퀸스처럼 광택나고 투명한 재료 선호는 그 당시 현대 건축에서 선풍적으로 많이 사용되었던 유리, 금속류, 크리스탈 등 비치고 광택나는 건축재료와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그러한 선국적인 내료 사용결과로 보여진 괴상하고 선정적인 그러면서도 아주 단순한 패션은 미래 지향적인 건축양식 구조의 " Simple", "Plain" 느낌과 정확하게 같은 것이다. 이상과 같이 앙드레 꾸레쥬는 옷을 디자인 했다기 보다는 건축했다. 주목할만한 점은 60년대 말 당시 발표되었던 그의 건축 구조적인 디자인의 특징들이 21세기를 앞둔 90년대에 다시 크게 유행하고있다는 점이다. 꾸레쥬 역시, 최근 자신의 디자인을 통해 건축적 조형미와 미래지향적 이미지를 더욱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있다. 단순하면서 우주공간을 선회하는 듯한 입체적인 라인, 흰색을 비롯한 자연에 가까운 색을 중심으로 하되, 밝은 색조의 하이라이트, 플라스틱, 금속류와 같이 딱딱하고 광택나며 비치는 재료 사용,, 등등이 바로 그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그에 미래 지향적이고 조형적인 디자인들은 앞으로 어떻게 더 모험적인 모습으로 선보일지 우리 모두가 주목할만한 일인 것이다.

  • PDF

건국대학교 상허기념도서관 계획설계 지명현상공모

  • Korea Institute of Registered Architects
    • Korean Architects
    • /
    • no.3 s.204
    • /
    • pp.53-71
    • /
    • 1986
  • 건국대학교는 창립40주년을 맞이하여 2,000년대를 조명하는 미래지향적이고 기능적인 도서관건립을 위해 지명현상공모를 실시하여 응모결과 총8점의 작품이 접수되어 지난 2월28일 심사후 그 결과를 발표하였다. 단일건물로서의 상징성과 웅장성을 강조한 이번 현상공모에는 아도무건축(장석웅) 안이 최우수작으로 결정되었으며 본지에서는 8점의 응모된 전작품을 게재하면서 지면의 부족으로 방대한 내용의 일부만을 게재함을 안타깝게 생각한다

  • PDF

Overseas - Parametric DesignXII (해외건축동향: 미국 - 파라메트릭 디자인XII)

  • Sung, Woojae
    • Korean Architects
    • /
    • s.574
    • /
    • pp.108-115
    • /
    • 2017
  • 지난회에서는 새로 제안되는 그린루프가 기존의 지붕구조물이 가지고있는 기능적인 면을 해치지 않으면서 새로운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기 위한 디자인 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았습니다. 또한 파라메트릭툴이 이 과정에서 어떻게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도 개괄적으로 알아보았습니다. 이번회에서는 지난회와는 다르게 디자인적인 측면보다는 엔지니어링 측면에 주안점을 두고 프리컨스트럭션의 단계에서 시공과정 중에 반드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오차를 예상하고 그러한 오차가 허용범위에 있는지를 평가하는 과정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PDF

A Study on the Change of Design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in the Architecture of Kenzo Tange -focused on the Change from Functionalism to Structuralist Approach- (단게 겐조(丹下健三) 건축의 디자인방법론적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기능주의적 경향과 구조주의적 경향을 중심으로-)

  • Kwon, Je-Joo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9 no.6
    • /
    • pp.191-201
    • /
    • 2018
  •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es and results of the significant changes in the architecture of Japanese architect Kenzo Tange in the 1960s. For a new era and new architecture of Japan, Tange who has been successful in leading the early modern architecture of Japan. since the 1960s, proposed a structuralist approach, deviating from the existing functionalist tendencies that he has pursued. Therefore, in this paper, we examine what structural changes tend to be made in the post-1960s from the functionalist tendencies of the previous period, and what causes the changes to structuralist tendencies. In conclusion, rather than suggesting alternatives to deny the existing concept of functionalism, Tange's theory encompassed both functionalism and structuralism and achieved the effective reorganization of functions while complementing the disadvantages of existing functionalism through functional elements and their structuring.

Cultural Facility Design in Japan (일본의 문화시설 현황과 디자인 특징에 관한 연구 - 1990년대 신축시설을 중심으로 -)

  • 김선영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no.3
    • /
    • pp.15-26
    • /
    • 2001
  • The goal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is study explores the historical origin and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ultural facilities in Japan. For this purpose, I examine various cultural facilities in Japan such as theaters, multi-purpose halls, convertible spaces and cultural centers. Second, this study also sheds a new light on the meaning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activity and architecture design in Japan. For this, I primarily look at the various categories of cultural buildings in Japan and their main functions. Finally, I demonstrate how both traditional and modem design elements are embodied in Japanese cultural facilities.

  • PDF

Problems and Countermeasures of Dualization of Evacuation Standards (피난기준 이원화의 문제점 및 대책방안)

  • Koo, Gi-G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3.11a
    • /
    • pp.109-110
    • /
    • 2023
  • 건축물 화재에서의 피난대책은 Passive 대책과 Active 대책으로 대별될 수 있다. Passive 대책은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개념으로 공간적 구조체인 특성에 따라 건축법규에서 규율하고 있는데 반하여, Active 대책은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개념의 설비적인 측면에 따라 소방법규에서 규율하고 있다. 따라서 양 법규간 피난기준이 상호 대체적 기능보다는 소방법규에서의 보완적 기능이 보다 더 강하다. 본 연구는 피난기준이 건축법규와 소방법규로 이원화되고 관련설비에 대한 설치기준이 관계법규에 혼재됨에 따라 양 법규간의 상호기능보다는 기준적용의 혼선, 기준간 충돌 등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피난기준 적용을 위한 대책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