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적가치

Search Result 1,911,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A Study on Clothing Consumption Value: A Qualitative Approach (의복 소비가치에 대한 질적 연구)

  • Kim, Sun-hee;Lim, Sook-Ja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5 no.9
    • /
    • pp.1621-1632
    • /
    • 2001
  • 본 연구는 소비자의 실제적인 의복 소비 행동을 설명할수 있는 가치 개념을 제시하기 위하여 의복 소비가치의 구체적 유형을 밝히고, 적합하고 신뢰성 있는 의복 소비가치 척도를 구성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Sheth(1991)의 소비 가치 이론과 의류학 및 소비자 행동분야의 다양한 이론을 토대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통하여 소비가치에 대한 탐색적 접근을 시도한 결과를 논의하였다. 의복의 구매와 착용의 선택상황에 영향을 미치는 소비가치는 Sheth(1991)의 5가지 소비가치 유형인 기능적 가치, 사회적 가치, 감정적 가치, 진귀적 가치, 상황적 가치 및 의복제품의 특성에 따른 자기표현적 가치로 분류되었다. 기능적 가치는 물리적 속성, 물리적 기능, 도구적 성과와 관련되었으며, 사회적 가치는 사회계층, 준거집단, 인구통계 적 특성 집단, 문화-민족적 집단과의 관련성 에 대 한 가치로 구성되었다. 감정적 가치는 긍정적, 부정적 감정 및 심미성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진취적 가치는 다양성추구행동 요인 및 유행성의. 새로움 추구 요인과 관련되었다 또한 상황적 가치는 의복착용상황, 구매상황, 커뮤니케이션 상황으로 구성되었으며, 자기표현적 가치는 성격, 이미지 표현, 개성추구, 유행추구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본 연구의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소비가치에 대한 양적 연구를 실시한다면, 보다 객관적인 구조를 파악하고 신뢰성 있는 측정 문항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health functional food selection attributes, and consumption values among workers for information technology in Gyeonggi area (경기지역 IT 분야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 건강기능식품 선택속성 및 소비가치의 관계)

  • Jung, Ji-Eun;Kim, Sung-Eun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v.53 no.1
    • /
    • pp.54-6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ttributes of health functional food (HFF) selection, and consumption values for information technology (IT) workers, and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HFF to improve health by making the right choice of HFFs. Methods: Three hundred forty IT workers in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low or high job stress group. The differences in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ttributes of HFF selection, and HFF consumption values were investigat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HFF consumption valu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the HFF selection attributes were analyzed. Results: Job stress levels were high in those IT workers with a length of service < 5 years (p = 0.013). The group with lower job stress levels had a higher tendency to consider the ingredients contained in HFF products (p < 0.001), and their efficacy (p = 0.047). They also showed greater emotional value for a sense of security from consuming HFFs to stay healthy (p = 0.047). The group with higher job stress levels had greater epistemic value in that their choice of HFFs differentiated them from the other workers (p = 0.036). Higher job stress was associated with less consideration of the intrinsic attributes such as ingredients and efficacy of the HFF selection attributes (p = -0.113), emotional value of the HFF consumption values (p = -0.136), and the functional value such as practicality, price, and safety (p = -0.134). The job stress level influenced the intrinsic attributes through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demonstrating that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had appropriat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levels and intrinsic attributes. Conclusion: Education needs to be provided for workers to relieve job stress and improve the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which contributes to choosing the appropriate HFFs.

Assessment of Dam-Wetland Functions and Economic Value using HGM and CVM (HGM과 CVM을 이용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 Kim, Duck-Gil;Yoo, Byong-Kook;Kim, Hung-Soo;Jang, Suk-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7-187
    • /
    • 2012
  •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생물다양성, 홍수조절, 온실가스 저감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습지에 대한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습지 보전 및 복원을 위한 다양한 방안 중 하나가 댐 및 주변지역을 습지로 조성하여 활용하는 방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댐 및 주변지역의 습지로서의 활용을 위한 특성 파악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댐 주변지역에 조성된 습지와 댐 저수지 자체를 모두 포함하여 댐습지라고 정의하고, 댐습지가 지니고 있는 습지의 기능 및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지역은 기준습지와 대상습지로 구분되며, 기준습지는 우포늪과 보령댐, 대상습지는 용담댐이다. 댐습지의 기능평가는 수문지형학적 특성을 고려하는 HGM(Hydrogeomorphic Method)을 이용하였으며, 가치평가는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였다. 기능평가 결과는 우포늪과 보령댐을 각각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로 구분하여 나타낼 수 있다. 자연습지인 우포늪을 기준지역으로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댐의 주목적과 관련이 있는 수문학적 기능이 높게 평가되었으나 습지 내에서 진행되는 생지화학적 기능과 다양한 식물 종에 대한 서식처로써의 기능은 다소 미흡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보령댐을 기준지역을 선정하였을 경우에는 일부 기능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조건부가치측정법을 이용한 용담댐의 경제적 가치평가는 댐습지 생태공원조성에 따른 훼손된 습지의 보호, 희귀생물종의 보호, 휴양 및 여가기능 제공을 주요인으로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가치를 추정하였다. 그 결과 용담댐의 총 가치는 우포늪의 가치와 비교하였을 때 우포늪의 35~41%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댐습지의 기능 및 가치평가 결과는 댐이 단순히 이 치수 측면으로만 이용되는 것이 아니라 생태학적으로도 활용성이 있다는 사실을 나타내고 있다. 이를 통해서 향후 댐의 친환경적 활용 방안 및 댐습지 관리 방안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댐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증진에도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Moderating Effect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Purchasing Intentions of Healthy Functional Food (건강기능식품 소비가치와 구매의도의 관계에 대한 건강동기, 건강염려, 식품몰입의 조절효과)

  • Cha, Myeong-Hwa;Kim, Yoo-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7 no.11
    • /
    • pp.1435-144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 on healthy functional food choice. Also, this study explored the role of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and food involvemen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umption value and healthy functional food choice. A total of 281 responses were collected using on-site survey (response rate 96.0%) from college students in Daegu, Gyeoungbuk Province. The questionnaire contained questions on consumption value, health motivation, health concern, food involvement, and purchasing intention of healthy functional food. The respondents rated the items using a 5-point scale from 1 (strongly disagree) to 5 (strongly agree). According to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tem evaluating using factor loading resulted in the retention of 25 consumption value items loading on seven factors, four health motivation items loading one factor, six health concern items loading on one factor, and four food involvement items loading on one factor with an internal consistency.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found that social value-I, emotional, functional, epistemic, and conditional values among consumption value determined the purchasing intention of healthy functional food.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showed that health concer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value-I and purchasing intention of healthy functional food.

Impact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mart Wristbands and Smartwatches on Perceived Functional, Aesthetic, And Symbolic Values (스마트팔찌와 스마트워치의 물리적 특성이 지각된 기능적, 심미적, 상징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

  • Soo In Shim;Heejeong Yu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10 no.1
    • /
    • pp.525-532
    • /
    • 2024
  •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physical characteristics (e.g., shape, color, material, size, weight, technical features) of smart wristbands and smartwatches on consumers' perceived functional, aesthetic, and symbolic values using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adult residents of the United States who had experience using smart wristbands or smartwatches. Participants were asked about various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roducts they had used in the past year or were currently using, and their evaluations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hape of the front display shape significantly influenced symbolic value, with circle shape and square shpae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symbolic value than rectangle shape. Wristband materials also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ymbolic value, with metal and leather showing higher symbolic value among various materials. Additionally, an increase in product size was associated with higher symbolic value. Moreover, certain technical features such as activity tracker, alarm clock, and distance tracking influenced perceived functional value, while functions like time display, GPS, and email influenced perceived aesthetic value. Pedometer, GPS, and email were found to enhance perceived symbolic value.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consumer preferences for smart wristbands and smartwatches, serving as valuable information for product improvement and new product development.

Influence on the Destination Attractiveness on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Loyalty among Japanese Tourists (관광지 매력성이 지각된 가치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방한 일본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 Ko, Seon-Hee;Park, Eun-Suk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7
    • /
    • pp.467-47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 destination attractiveness, perceived value and loyalty of Japanese tourists. In this study, 2 hypotheses based on literature reviews were employed. Questionnaire was also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Japanese tourists. Then the data and hypotheses were examin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y AMO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nature culture' factor has no effect on tourist perceived value. Secondly, 'convenience' and 'access' factor have positive effects on both functional value and symbolic value. Moreover, these factors have stronger effects on functional value. Lastly, tourist's functional value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while symbolic value has no effect on loyalty. The contribution and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were discussed and the future possible researches were mentioned.

산림의 환경보전기능에 대한 평가

  • Yun, Yeo-Chang
    • Environmental and Resource Economics Review
    • /
    • v.5 no.1
    • /
    • pp.137-164
    • /
    • 1995
  • 산림은 목재와 산채의 생산과 같은 물질생산의 기능이 있는 동시에 탄소를 고정하고 산소를 배출하는 광합성작용을 통하여 대기를 정화하며 지표토양의 침식을 방지한다. 또한 산림은 여러가지 동식물의 서식처로서 생물다양성을 보존하는 데 대단히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동시에 도시민에게 휴식처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산림의 다양한 기능 가운데 그 가치가 공식적으로 인정이 되고 있는 것은 목재나 약재와 같이 시장에서 유통되는 임산물의 생산기능에 제한되고 있어 산림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관리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서는 산림이 지니고 있는 환경보전기능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구 제국에서 진행되고 있는 산림의 환경보전적 가치의 평가에 관한 연구 추이를 살펴보고 이러한 산림의 환경보전적기능의 평가를 뒷받침할 수 있는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고자 하였다. 환경자원평가 방법을 산림의 환경보전가치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가를 검토하였으며, 적용장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산림의 환경보전적 가치를 평가하고자 할 경우에는 대부분의 경우에 있어서 생산함수법을 우선적으로 사용하고, 이 방법의 적용이 불가능할 경우 가계생산함수법과 실험시장법은 보완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된다.

  • PDF

Estimating River Spatial Restoration Values Using the Meta-regression Benefit Transfer Method (메타회귀분석 편익이전 기법을 이용한 하천 복원 가치 추정)

  • Lee, Hee-Chan;Yu, Yun-Hee;Noh, Soo Hy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6-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독립적으로 수행되어진 하천 복원 가치추정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한 편익이전을 제시함으로써, 편익이전의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는 데 있다. 문헌검색을 통해 '하천 가치평가', '하천 가치', '물 환경 가치추정', '하천 편익' 등에 관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총 60편의 연구를 수집했다. 그 중 중복된 연구를 제외하고 가치추정 단위를 '원/년/가구'로 통일함으로써 51편의 연구를 분석에 사용했으며, 90개의 가치 추정치가 실증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하천 복원 가치 추정연구를 집대성하여 DB를 구축하고 요약통계량을 중심으로 선행연구 결과를 기술하였으며, 메타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policy site의 특성과 조건에 맞게 함수를 조정하고, 조정된 함수를 사용하여 policy site의 가치를 예측하였다. 종속변수로는 총 가치(원/년/가구, 2015년 불변가격)가, 독립변수로는 하천유형, 위치, 규모, 환경 서비스특성, 그리고 방법론 특성, 지불형태, 대상지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들이 포함되었다. 모형의 추정결과 조정된 값은.420으로써 종속변수 총변이의 42.0%를 모형이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본류에서 멀어지는 소규모하천일수록 하천의 경제적 가치를 더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인 영향력 크기를 고려해 본다면 하천을 복원할 때 수질정화기능, 서식지기능, 이수기능, 치수기능, 여가 및 수변공간으로의 기능 순으로 고려하는 것이 하천의 가치를 보다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였다. 또한 지불방법은 매월, 인당 지불하는 것으로 제시할 때 경제적 가치 추정치를 높일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모델추정 결과를 활용한 함수이전에서는 만경강의 특성을 반영하고 조정함으로써 만경강의 가치를 추정하였으며, 모형으로부터 얻은 만경강 가치 예측치는 가구당 매년 41,214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의 메타회귀분석은 선행연구를 객관적으로 종합할 수 있는 분석의 틀로서 충분한 활용 타당성이 인정되는 것으로 보이며, 편익이전 시에 policy site의 자원특성과 조건에 맞춰 함수를 조정하여 예측치를 제시함으로써 메타회귀분석 함수이전의 융통성을 보여주었다. 이에 메타회귀분석을 통한 편익이전은 타당성 및 적용 가능성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판단된다.

  • PDF

Study on Amen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Multi-functionality on the Grassland (초지형 축산의 어메니티 및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eon, D.W.;Lee, S.Y.;Park, M.S.;Park, H.S.;Hwang, K.J.;Yun, S.H.;Ko, M.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Grassland and Forage Science
    • /
    • v.27 no.4
    • /
    • pp.297-312
    • /
    • 2007
  • This study is conducted to evaluate economical value of Jeju grassland and validity of its preservation, and draw up several measures to support. To measure its economical value, this study examined its environmental value and social and cultural value. For environmental value, this study used replacement method while it applied CVM method, a widely used method, to assess social and cultural value and two-level two-best choice selection method, which ask questions by assuming virtual circumstances to avoid reflecting some biased opinions. Jeju grassland has multiple functions-environmental functions such as preventing soil corrosion and flood, handling animal excrement, and purifying air, and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such as promoting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providing recreation places. From the results of the feasibility study, Jeju grassland's annual multiple functions are assessed to have a total $397,115{\sim}418,995$ million won worth.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Jeju visitors recognize Jeju grassland for its functions to contribute to public interests. That is, they think it can provide attractive views and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places and promote emotional development. Especially, many people presented their ideas that it be continuously preserved since it is worthwhile for us and our next generations. To preserve grassland's cultural resource, which create a huge economic value like this, the Government has to support a certain amount of financial aid for turning to a better grassland environment and its maintenance to realize environment-friendly livestock farming on Jeju Island and promote its tourism industry and consequently, add more value to Jeju.

Impa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Focusing o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고객체험특성이 지각된 가치와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전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 Hosun Jeong;Jungmin Park;Hyoung-Yong Lee
    • Journal of Intelligence and Information Systems
    • /
    • v.29 no.4
    • /
    • pp.395-413
    • /
    • 2023
  • This research studied the effect of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in offline home appliance stores on perceived value and revisit intention. Among the offline distribution of home appliances with more than 100 stores nationwide, two home appliance retailers (HiMart, E-Land), three hypermarkets (E-Mart, Homeplus, Lotte Hi-Mart), and two home appliance stores (LG Best Shop, Samsung Digital Plaza) were selected, and a survey was conducted on men and women in their 20s or older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who had visited and purchased the home appliance store within the last 6 months. As a result of the survey,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a total of 330 samples using the PLS (Partial Least Square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SPSS statistical package. Through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can be obtained. First,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functional value. However, entertainment experience did not affect functional value. Second, educational experience, deviant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all had a positive (+) effect on emotional value. Third, both functional and sensory valu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revisit inten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brand loyalty had no moderating effect between functional value and sensory value revisit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experience characteristics, perceived value (functional value, sensory value), and revisit intention. This result provides guidelines on what activities home appliance offline stores should do at a time when online channels threaten the survival of offline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