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능연속성계획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조직중심의 지자체 기능연속성계획(COOP) 수립방안 및 실행력 확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xecutable Continuity of Operations(COOP) to Local Governments focusing on Organization)

  • 최혜령;이영재;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405-417
    • /
    • 2022
  • 연구목적: 지자체는 국민의 안전과 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행정조직으로서 재난 발생 시 핵심 기능의 연속성 확보가 중요하다. 본 논문은 재난으로부터 지자체 핵심기능을 보호·유지하기 위한 기능연속성계획의 수립 및 실행력 확보를 위한 효율적인 방법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ISO22301기반 한 기능연속성계획의 비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조직중심의 기능연속성 방법을 적용하여 계획수립 방안과 핵심기능, 소요자원 그리고 교육훈련에 관련된 기본 서식을 제시하고, 지자체에 적용하여 타당성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제안된 조직중심의 기능연속성계획 작성 방법은 관료적인 지자체의 특성을 반영하여 실국 단위로 작성함으로써 작성 및 실무적용이 용이하다. 결론:민간에 비하여 업무가 조직중심으로 되어 있는 공공분야에서는 기능연속성계획 수립에 조직적인 관점을 충분히 반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 계획 수립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nstruction about continuity of operation for local autonomous entity)

  • 장영진;윤홍식;권정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년 정기학술대회
    • /
    • pp.267-270
    • /
    • 2017
  • 기능연속성계획(Continuity of Operation, COOP)은 지진, 태풍, 산사태 등과 같은 자연재난, 전염병 확산 및 테러 등의 사건과 대형사고, 공급망 단절, 돌발적인 경영환경의 변화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재난의 발생으로 중요한 기능이 중단되지 않도록 하고, 중요한 기능이 중단된 경우에는 목표로 하는 복구시간 내에 기능을 재개시키며, 기능중단에 따른 위험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정책, 제도 및 절차 등을 계획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기능연속성 계획 수립적용에 관해 ${\bigcirc}{\bigcirc}$시를 기준으로 구축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통해 ${\bigcirc}{\bigcirc}$시의 기능연속성 구축의 수립기준을 수립절차에 따라 나타내었다.

  • PDF

The Continuity of Operation (COOP) Application to a Local Government for Disaster Risk Reduction

  • Jang, Young-Jin;Wang, Won-joon;Jung, Jae-Wook;Seo, Yong-Seok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12호
    • /
    • pp.157-166
    • /
    • 2019
  • 전 세계적으로 태풍, 홍수 지진, 화재, 폭발 등 각종 재난으로 인해 진행 중이던 업무가 중단되는 사례가 발생해 왔다. 대규모 재난의 발생으로 인하여 공공기관의 주요 업무가 중단된다면, 물리적인 피해뿐만 아니라 국가 신뢰도의 하락과 국민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재난으로 인한 핵심기능의 중단 기간을 최소화하여 기능의 연속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미국이나 일본과 같은 해외 선진국에서는 이미 기능연속성계획 수립 지침을 개발하여 재난으로 인한 업무 중단을 예방하고자 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여 국내에서도 기능연속성계획의 필요성을 인식하여 공공기관이 기능연속성계획을 수립하도록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서 관련법을 신설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연속성계획의 정의, 필요성, 해외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개발한 템플릿을 이용하여 경기도 A 시청을 대상으로 기능영향분석, 리스크평가, 기능연속성 전략, 기능연속성 절차를 시범 적용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능연속성계획을 지방자치단체에 시범 적용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지방자치단체가 기능연속성계획을 도입하는데 기여하는 것이다.

기능연속성계획 프레임워크 개선 방안 연구 - HLS 기반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ntinuity of Operation Planning Framework - Focusing on High Level Structure -)

  • 이영준;김재학;이미선;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63-264
    • /
    • 2022
  • 2010년부터「기업재해경감법」에 따라 기업재난관리표준으로 기업재해경감 우수기업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하지만 「기업재해경감법」이 자율로 되어 있어 민간기업 스스로가 이 제도를 도입하여 실행하는 문화가 정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럽 등 선진국처럼 새로운 제도 시행을 하기 전 공공분야에 적용하여 효과성이 검증되면 민간으로 확대한다. 따라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이 기능연속성계획을 수립하게 되면 의무화가 되지 않은 민간영역으로 확대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었다. 본 연구는 기수립 되어 있는 기능연속성계획의 성숙도 측정이 어렵고 평가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후속 정책 지원을 위하여 HLS 기반의 프레임워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을 위한 필요기능 연구 (The study on the functions for design and development of Public institutions Disaster mitigation management and support system)

  • Kim, Minji;Kim, Doyeon;Lee, Miseon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32-3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 대상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를 구축 및 관리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ISO22301 등 업무연속성관리/기능연속성계획 표준문서와 해외 선진 사례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에서 필요로 하는 요구기능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시스템 관리를 위한 기능을 제외하고, 영향분석 리스크 평가 경감활동 대응계획 교육 및 모의훈련 재난대응 문서관리가 도출되었다. 향후 업무연속성관리 및 기능연속성계획의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공공기관 재해경감활동관리체계 구축 지원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통신서비스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주요통신사업자 기능연속성계획(COOP) 수립 방안 연구 - 국가핵심기반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 COOP to Secure the Safety of Telecommunication Service - Focusing on NIPP -)

  • 신재성;김서연;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9-260
    • /
    • 2022
  • 현대사회에서 인터넷 그리고 스마트폰을 비롯한 각종 모바일기기는 이제 국민 모두가 사용하는 필수품이 되었다. 통신은 의사전달 수단과 단순한 소통의 개념을 넘어서 교통, 문화, 산업 그리고 소셜미디어의 활용 등을 통해서 국민 개개인의 주요한 생활 일부분이 되었다. 또한 정부는 디지털정부 구현을 위해 각종 민원서류 및 정부 업무를 통신망을 통한 원격 서비스로 수행가능할 수 있도록 운영계획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계획이 실현되고 현재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모든 유무선 통신서비스가 안정적으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통신망의 안전성 확보가 가장 중요한 핵심적 요소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신 분야 국가핵심기반 영역을 관리하는 주요통신사업자의 통신망과 서비스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기능연속성계획(COOP)수립 방향을 도출하고자 한다.

  • PDF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활동계획의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개선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irections to Unify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and Disaster Reduction Activity Plan through Improvement of Enterprise Disaster Management Standard)

  • 조종연;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5-186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의무적으로 세우는 "기능연속성계획"과 「재해경감을 위한 기업의 자율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적으로 수립하고 있는 "재해경감활동계획"에 대한 일원화를 위한 「기업재난관리표준」에 대한 개정안의 구성체계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현행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미비점들을 도출하고, 해당 미비점을 바탕으로 「기업재난관리표준」의 목차에 대한 사전적 개정안을 도출하였다.

  • PDF

BCMS 기반 코로나19 감염병 대응사례 연구: 전력에너지 공기업 중심 (BCMS-based Case Study of COVID-19 Pandemic Response : Focusing on Electric Energy Utility Company)

  • 이승균;김덕호;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5-177
    • /
    • 2023
  • 본 연구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업무연속성계획의 가동 경험을 분석하여 체계를 개선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코로나19는 전 세계적으로 팬데믹을 일으킨 대유행병으로,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위기 상황에서 업무연속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력에너지 공기업은 위기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필수 대응 사례를 분석하여 업무연속성을 유지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근무환경 분리, 핵심인력 확보, 비상대응 업무계획 수립 등 다양한 대책을 시행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서 전력에너지 공급업무의 연속성 확보를 위한 이러한 대책들은 효과적으로 시행되었고, 감염병 재난관리에 대한 매뉴얼로 활용하고 있다.

  • PDF

국가기반체계보호계획(NIPP)과 기능연속성계획(COOP)의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NIPP (National Infrastructure Protection Plan) and COOP (Continuity Of Operation Plan))

  • 전천우;정의윤;정종수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92-202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도입된 기능연속성계획과(COOP)과 기존의 국가기반체계보호계획(NIPP)을 비교·분석하여 양 제도의 보다 효율적인 운영대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양 제도의 기초자료를 수집하고, 내용적 측면과 절차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AHP를 활용하여 재난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두 제도에 대한 효율적인 운영대안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NIPP과 COOP은 내용적·절차적 측면에서 매우 유사한 제도임을 알 수 있었고, 재난관련 설문조사에서도 두 제도를 통합하여 운영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운영방안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최근 도입된 기능연속성계획(COOP)이 국가기반체계보호계획(NIPP) 보다 대상범위가 더 넓고 포괄적이며, 핵심기능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시스템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관련법령 정비 등을 통해 NIPP을 COOP으로 포함시키는 제도통합이 이루어 진다면 보다 효율적이고 강화된 국가안전망이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