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성 스크린

Search Result 91,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Analysis of the Effects of Low-Depth Indirect Intake through Laboratory Experiment with Functional Screen (기능성 스크린 모형실험을 통한 저심도 간접취수 효과 분석)

  • Yang, Jeong Seok;Jeong, Jae Hoon;Kim, Il 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324-324
    • /
    • 2016
  • 최근 하천에서 취수원을 개발하는 방법 중 수질 측면에서 2차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간접 취수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수원수 및 하천유지용수 등의 취수원을 개발하는데 있어서 강변여과수 개발, 하상여과수 개발, 복류수 개발 등을 적용하여 도입하고 있으나 수량 확보의 불확실성, 유지관리상의 어려움으로 인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저심도 간접취수의 안정적인 수량 및 수질 확보를 위해 심도 10m 이내의 제외지 또는 하상을 개착하여 새롭게 고안된 기능성 스크린을 설치하려고 한다. 기존의 간접취수에 비해 안정적이고 지속가능한 수량 확보 및 유지관리에서 유리한 공법을 적용하기 위해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모형실험을 통해 효과 분석을 진행한다.

  • PDF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위한 융합 이동성 관리 기술

  • Jeon, Se-Il;Kim, Yeong-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9 no.3
    • /
    • pp.75-82
    • /
    • 2012
  • 스크린 기능을 갖는 다양한 종류의 디바이스들이 보급되고 개인당 여러 개의 디바이스를 소유함에 따라 하나의 컨텐츠 미디어를 여러 스크린 디바이스를 통해 서비스의 이용이 가능한 One-Source, Multi-Use (OSMU) 개념이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는 특정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통일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연구된 멀티스크린 서비스 기술은 고정화된 노드간의 단순 컨텐츠 공유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어, 서비스를 폭 넓게 확산시키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어 왔다. 기존 멀티스크린 서비스를 실용화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지원과 사용자의 자유로운 이동성이 뒷받침되는 융합적인 이동성 관리의 프레임 워크의 마련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기존 멀티스크린 서비스 연구에서 다뤄졌던 컨텐츠 공유 방안 및 비디오 코딩 연구 등과는 달리, 사용자의 다양한 이동성 시나리오를 전제로 세션 기반의 멀티스크린 서비스 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구조 및 프로토콜 설계와 관련된 연구로서, 멀티스크린의 사용자의 이동성을 개인과 그룹으로 분류하고, 데이터 전송모드로서 유니캐스트/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의 사용을 가능케 하기 위한 멀티스크린 서비스 이동성 연구를 목적으로 이를 위한 요소기술 및 연구 내용의 소개에 초점을 맞춘다.

A Study on SI-Drum's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Screen Reader User (스크린리더 사용자를 위한 플러그인 가상악기 SI-Drum의 접근성 평가 연구)

  • Yong-Hwan Seok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9 no.1
    • /
    • pp.571-580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the Cakewalk SI-Drum for the screen reader users. An evaluation was performed by testing the accessibility of the [Virtual Instrument Editing] that is a part of MIDI Production of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y using the SI-Drum and the Sense Rea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I-Drum has almost no basic accessibility for the screen users to do an above task. But the screen reader users can perform the tasks by using Sense Reader's Mouse Pointer function and Position Memory function. To use SI-Drum more efficiently, SI-Drum's basic accessibility have to be provided fully. Several suggestions are proposed to develop a fully accessible SI-Drum for the screen users.

Analysis of water withdrawal and quality of intake pipe with functional screen (기능성 스크린이 부착된 집수관의 취수량 및 수질 분석)

  • Yang, Jeong-Seok;Kim, Il-Hwan;Jeong, Jae-Ho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50 no.8
    • /
    • pp.579-586
    • /
    • 2017
  • In order to analyze the quantitative water withdrawal amount of intake pipe with functional screen an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effect of the suspended solid and turbidity through the filter media, four-step research methods were suggested. In the first step, laboratory scale experiments were constructed to determine the constitution method of the sample device filter media. In the second step, sample device was constructed and the flow rate was observed through intake pipe with functional screen. In the third step, flow rate was observed at different turbidity conditions for each filter material, and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estimated using MODFLOW. Finally, numerical model was constructed with the MODFLOW for the sample device and the estimated hydraulic condu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third step and the amount of water withdrawal was analyzed. As a result of applying hydraulic conductivity at 0 NTU, 39.96% more withdrawal was calculated than the observed flow rate. On the other hand, when hydraulic conductivity was applied at 100~120 NTU, the difference in flow rates was 9.41%.

The Impact of User Behavior, Contents, Function, Cost on Use Satisfaction and the Continued Use Intention of the N-screen Service Users (N 스크린 서비스의 이용행태, 콘텐츠, 기능, 비용이 이용 만족도와 지속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im, Dong-Woo;Lee, Yeong-Ju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18 no.5
    • /
    • pp.749-757
    • /
    • 2013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user behavior, content characteristics, functional factors and user's perception in cost on user satisfaction and continuous intention in N-Screen service. Web survey was conducted for 498 users who have used N screen service. The results show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contributing to user satisfaction is user interface. VOD diversity, payment system, cost, channel diversity are also meaningful factors. Identifying the critical factors which impact on user satisfaction,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c data for activating OTT service in smart media environment.

Implementation of Multiscreen Conformance Testing Environments for HTML5 based Smart TV Platform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표준의 멀티스크린 적합성 시험 환경 구현)

  • Lee, Dong-Hoon;Kim, Ho-Youn;Hwang, Hee-Seon;Park, Dong-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Broadcast Engineers Conference
    • /
    • 2015.07a
    • /
    • pp.527-530
    • /
    • 2015
  • 2014 년 4 월 TTA 에서 개정된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TTAK.KO-07.0111/R1)" 표준의 멀티스크린 서비스는 UNnP, mDNS 등의 ZeroConf 네트워크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TV 수신기가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과 같은 다양한 컴패니언 디바이스를 발견하고 서로 연결하여 디바이스 간 연동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정의하고 있다. 또한, 이 멀티스크린 기술을 활용하여 개발된 서비스(앱)가 표준을 준수하는 다양한 수신기에서 동일한 사용자 경험(UX)으로 실행되기 위해서는 수신기가 멀티스크린 기술 요구 사항을 준수하여 구현되었는지를 검증하는 적합성 시험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적합성 시험을 위한 시험 기준과 수행절차, 판정 기준 등을 정의하고 있는 " HTML5 기반 스마트 TV 플랫폼 수신기 적합성 시험(TTAK.KO-07.0119/R1)" 표준에 멀티스크린 시험을 위하여 추가된 시험 항목과 이를 실제로 실행하여 수신기를 검증하기 위하여 개발된 테스트케이스를 소개한다. 아울러, 컴패니언 디바이스에서 실행되면서 수신기의 테스트케이스와 연동하여 수신기 기능을 검증하는 데 활용하는 모바일 테스트 프레임워크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테스트케이스의 구현을 설명한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TTA 에 구축된 멀티스크린 시험 환경에서 표준 기반 참조 수신기를 대상으로 멀티스크린 시험을 수행한 사례를 통해 시험환경의 유효성을 확인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시한다.

  • PDF

Ancient Cave Exploration: A Screen Climbing Game for Children (고대동굴탐험: 어린이를 위한 스크린 클라이밍 게임)

  • Kim, Jungsoo;Chung, Daniel;Sung, Bokyung;Chon, Suk;Ko, Ilju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6 no.3
    • /
    • pp.117-126
    • /
    • 2016
  • Screen climbing is a kind of screen sports. In screen climbing, the software program is executed in a computer system and climbing is progress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a climber and the content of the screen. We implemented a screen climbing game with the ancient cave exploration considering the development of children and the children's motivation to sports climbing. The content of the game is projected to the artificial climb wall and the interaction between a user and the game is done by a user's input of Kinect's depth data. The game is popular with the children in the children's exhibition event. There should be implemented more screen climbing game.

Obstructive factors and N-Screen Service Technologies for Transmitting a Risk Information (재해정보 전송의 장애요인 및 N-스크린 서비스 기술)

  • Kim, Kyungjun;Jang, Dae-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01a
    • /
    • pp.315-317
    • /
    • 2015
  • N-스크린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는 여러 개의 디바이스에서 끊김 없는 콘텐츠 서비스를 받거나 특정 디바이스에 의존하지 않고 동일한 애플리케이션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국내외 재해정보 전송분야에 N-스크린 서비스는 다양한 기능 제공과 네트워크 상황에 대한 고려없이 적용되어, 신뢰성 있고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 제공에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재해정보 확산을 위한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의 기술적인 이슈들과 기존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적인 장애요인 및 재해정보를 효과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기술적인 이슈들에 대해서 다루면서, 이를 개선하기위해 끊김 없는 N-스크린 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서비스 프레임워크와 네트워크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A Study of the Accessibility Evaluation of TTS-1 for the Screen Reader User (스크린리더 사용자를 위한 플러그인 가상악기 TTS-1의 접근성 평가 연구)

  • Seok, Yong-Hwa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513-522
    • /
    • 202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accessibility of the Cakewalk TTS-1 for the screen reader users. An evaluation was performed by testing the accessibility of a editing virtual instrument that is a part of MIDI production based on the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by using the TTS-1 and the Sense Read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TTS-1 itself can't provide enough accessibility for the screen users to do an above task. But the screen reader users can perform the above tasks if they use extended access functions like Sense Reader's Mouse Pointer function, Position Memory function and MIDI Control Signal function. Even if they use the extended access function, there are functions that is difficult to access. To solve this problem, several suggestions are proposed.

A Digital Carousel System based on CoAP for N-Screen Environment (N-스크린 환경을 위한 CoAP 기반 디지털 캐로절 시스템)

  • Ko, Eung-nam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17 no.1
    • /
    • pp.59-63
    • /
    • 2016
  • In this paper, we discuss a model for increasing reliability of data through N screen server and client model environment. Our Digital Carousel enables user to share media objects through media synchronization mechanism. We suggest the Digital Carousel system based on CoAP(Constrained Application Protocol) for N-Screen so that the users participated in collaborative work may refer shared media objects as the same view to others. With this sharing system, a group cooperating users can share applications data. This paper explained a performance analysis of a system with function comparison running on multimedia collaboration work based on CoAP and N screen techn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