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능과 형태

Search Result 4,924, Processing Time 0.052 seconds

New Interpretation and their Relations on Form, Function and Style (형태, 기능, 양식에 관한 새로운 해석과 그 관계)

  • Lee, Jae-Guke;Kim, Dong-Ha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1 no.1
    • /
    • pp.202-215
    • /
    • 2011
  • The wide range of understanding on form, function and style are very important in design practice. Because any design can't be existed without form and function and, also, every design can be embodied by the style. From this point of view, the new interpretation and their relations on form, function and style are studied in this paper. First of all, 1-In Introduction, a few issues are suggested to the purpose and requirement with explaining the background of the paper. 2-Design Form; original form, hand-made form, standard form and expressive form are researched. 3-Design Function; original function. traditional function, absolute function and relative function are studied. 4-Design Style; survival style, folk style, simple style and fusion style are searched. Finally, 5-In Conclusion, the approach method is expressed on form, function and style, and their relations are discussed.

A Study on Form and Function in Design Morpholgy (디자인조형에서의 형태와 기능에 관한 연구)

  • 김장호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4
    • /
    • pp.245-254
    • /
    • 1996
  • Form and function are not only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tell the very essence of design morphology but also the fundamental factors that determine the existence of things. Th -erefore, approaching to the problems of them and the following practical morphological creation are the final goal of solving all the problems of design. Comparing with such importance and significance of the morphology, however there has been no conscious study nor logical achievement but only partial consideration about them. From this viewpoint, the substantial meanings, the intrinsic attributes and the typical patterns of them are inquired systematically and the whole through this study. Also their relations are identified with some appropriate views. As a result of this study, new knowledge base will be cons -tructed, and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new morphological thinking and method which are especially strengthened these days.

  • PDF

Implementing a Smart Space Service Testbed based on the Concept of Reconfigurable Spatial Functions (Reconfigurable Space 개념에 의한 스마트공간서비스 시나리오의 테스트베드 구현)

  • Cho, Yun-Jung;Kim, Sung-Ah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2a
    • /
    • pp.855-861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the concept of dynamically reconfigurable space by introducing smart building components. Thanks to the advances in ubiquitous computing and ITC technology, we are able to expect, in the near future, the aspects of future buildings which may transform their appearance and states to perform specific functions. In other words, it is certain that the building space will actively reconfigure itself to accommodate user's needs once we acquire proper technologie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building components may not be transformed through the magical process, but change its physical states (e.g. transparency, illumination, display contents, etc.) and functions of embedded devices (e.g. audio, actuators, sensors, etc.), we can envision a dynamically reconfigurable smart space. In order to conceptualize such spaces, critical surveys have been conducted on current works of leading architects. When the room needs to be used as a specific function room, the components need to change theirs states or to behave in a certain manner to create an optimum environment. Our model defines the relationships and elements to describe the mechanism of reconfigurable space. We expect this model provides a conceptual guideline for developing a smart building components based on spatial service scenarios. Therefore, a future smart spaces implemented by integrating various technologies are not designed in deterministic manner, so that spatial functions are expanded without constrained by physical existence.

  • PDF

B-ISDN 통합 관리를 위한 관리 시스팀 구조

  • 이동면;이재오;이상훈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2 no.10
    • /
    • pp.31-40
    • /
    • 1995
  • 최근 하드웨어와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전기통신망에서의 전송/교환 및 서비스 능력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송 및 교환기술에서 분명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정보전달능력의 증가와 더불어 늘어나는 고객의 요구, 그리고 가속화되는 통신시장의 경쟁 등의 환경변화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를 단기간에 생성, 제공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최소한의 노력으로 기능의 추가 및 변경이 가능한 형태의 망관리 시스팀을 필요로 하게 되었다.이 경우 망관리 시스팀은 망 자원 관리기능 및 망 서비스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형태를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위의 특성을 지닌 B-ISDN 통합 망관리 시스팀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하여 기술한다. 먼저 목표 통합 망관리 시스팀의 구조를 명시하고 목표 시스팀으로의 진화를 지원하는 초기 단계 B-ISDN 관리 시스팀의 기능적 능력과 구조를 기술한다. 또한 이러한 구조에 근거한 ATM-Highway I의 구조를 설명한다. ATM-Highway I의 구조와 기능은 제안된 초기 망관리 시스팀구조에 근거하고 있으며, 목표 통합망관리 시스팀으로의 진화가 쉽게 이루어지도록 설계되어 있다.

  • PDF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Parallel Programming Environment using Graph Type Intermediate Representation Form (그래프 중간표현 형태를 기반으로 한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의 설계 및 구현)

  • 이원용;박두순;송상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1.10c
    • /
    • pp.850-852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병렬 프로그램 작성을 도와주는 병렬 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병렬 프로그램은 다양한 하드웨어의 특성에 따라 또는 프로그램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가 병렬 프로그램을 작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병렬프로그램을 작성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많은 병렬화 연구에서 제시되고 있는 그래프 중간 표현 형태를 그래프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였다. 이 병렬 환경에서는 프로그램 편집기능, 종속성 분석기능, 루프 변환기능, CFG, DPG, HTG등 중간 코드를 그래프 중간 표현 형태를 통해 보여 줌으로 최적의 병렬프로그래밍 환경을 제공한다.

  • PDF

온라인 문자인식기술

  • 이헌주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11 no.5
    • /
    • pp.23-32
    • /
    • 1994
  • 편입력 기능을 창작한 시스템의 문자입력 기능에서 사용자들의 다양한 형태의 필기문자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만족을 극대화 시킬 수 잇는 고성능의 인식기를 만들기 위해서는 상황과 장소에 따라서 변하는 필기형태를 학습할 수 있는 다이나믹한 인식기 개발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국제 경쟁력을 갖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국적(nationality)에 따라 다양한 자종을 인식할 수 잇는 기능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인식기 설계시 필요한 design issues와 philosophy를 제시하고, 이를 기초로 학습기능, 국제화, 소형화의 특징을 갖는 학습기능 다중언어(multilingual) 인식기 설계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ictionary Based Hyper e-Mail Document Generator (사전 기반의 하이퍼 e-Mail 문서 생성기)

  • 최지연;민수홍;조동섭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720-723
    • /
    • 2003
  • E-Mai1 서비스는 현재 가장 많이 쓰이는 WWW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이다. 그러나 현 e-mai1 서비스는 텍스트 기반 구조를 통한 비동기적인 형태의 서비스를 계속 유지하고 있어, 동기적인 표현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순한 정보의 제공을 위한 서비스로서가 아니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하여 서비스를 받는 형태의 e-mai1 을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가 지정해놓은 사전을 기반으로 HTML 문서가 재생산되어, 색 지정 기능과 하이퍼 텍스트 기능을 제공하는 한편, 사전에 등록된 정보를 바탕으로 개체에 대한 정보가 tooltip으로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사전기반 하이퍼 문서 생성기능을 지원하도록 한다

  • PDF

Analysis on Space and Architecture Examples of Toyo Ito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 Focusing on Small-Sized Residental Spaces - (기능주의 관점에서의 이토 토요의 공간 및 건축 사례 분석 - 소규모 주거 공간 사례를 중심으로 -)

  • Han, Hyun Suk
    • Design Convergence Study
    • /
    • v.16 no.6
    • /
    • pp.59-74
    • /
    • 2017
  • Louis Sullivan insisted, "Form follows function." Functionality is one of the most fundamental elements for users to use product or space, and "function" in space and architecture has the meaning of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its form. In this way, from the viewpoint of "Functionalism," the research selected Toyo Ito to see how important elements pursued by Functionalism are related to his forms of creation. Small residential space projects of Toyo Ito from the early 1970s to the present are selected, so that the structure, material and space type of space and architecture can easily grasped and analyzed. Space and architectural structures and surfaces were classified into the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openness of space. As a result, the space and architecture that pursue the function use a method that can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function while excluding the whole decoration in order to highlight the function. The characteristics found in Toyo Ito's small-scale residential space can be defined as the formalization and simplification of the form, the openness of space, and the versatility of each element.

Design and Implement of Security Module for Web Server and Client (웹 서버/클라이언트를 위한 보안 모듈 설계 및 구현)

  • 변용덕;장승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a
    • /
    • pp.178-180
    • /
    • 2000
  • 현재의 인터넷을 통한 웹 서버/클라이너트 환경에서 보안과 신뢰성 문제는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적인 측면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서버는 기존의 Apache 웹 서버에 라이브러리 형태의 보안모듈을 추가하였다. 보안 모듈의 기능은 크라이언트의 요청이 발생하면 웹 문서에 대한 RSA 암호화 기능과 메시지의 무결성 검사를 위한 SHA-1기능과 키 생성을 위한 랜덤 키 생성 기능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는 기존의 웹 브라우저에 Winsock2의 LSP 기능을 이용하여 보안 모듈을 체인의 형태로 삽입함으로써 보안 상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클라이언트의 보안 모듈의 기능은 서버로부터 받은 암호화된 메시지에 대한 RSA 복호화 알고리즘과 메시지가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도중 변경되지 않았음을 증명하기 위한 SHA-1알고리즘을 포함한다. 그리고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보안을 위한 새로운 소프트웨어의 설치와 기존의 프로그램 변경 없이 모듈을 추가, 삭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추구 하였다.

  • PDF

GIS Application for Evaluating Forest Recreation Functions (GIS를 이용한 산림휴양기능평가)

  • Han, Su-Jin;Lee, Woo-Kyun;Kwak, Doo-Ah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9 no.1
    • /
    • pp.13-19
    • /
    • 2006
  • In previous classification, forest recreation functions were evaluated by same factors and couldn't consider various characteristics of forest resour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creational function of forest resources by applying different factors to each forest resources. We selected Daegu and Mt. Jiri as study area and divided forest resources into visitor-oriented and forest-oriented recreational resources. The level of recreational functions were evaluated with three grade(low, medium, high). In consequence, our study found out that it is more effective to evaluate forest recreational function by applying accessibility and attraction factors to each forest resources than previous work.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