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 협착

Search Result 293, Processing Time 0.029 seconds

SLEEVE RESECTION AND END TO END ANASTOMOSIS WITH SUPRAHYOID RELEASE FOR THE CIRCUMFERENTIAL TRACHEAL STENOSIS (환상기관협착증에 대한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

  • 이강대;이종담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1.06a
    • /
    • pp.25-25
    • /
    • 1991
  • 최근 교통사고의 증가, 심폐술의 보편화 및 보조호흡을 필요로 하는 환자의 증가에 따라 경구적 혹은 기관절개술을 통해 기관내 삽관을 장기간 유치하는 경우가 많아져서 이에 따른 합병증으로 기관협착증의 빈도가 높아지게 되었다. 기관내 삽관후 기관협착증을 초래하는데에는 관의 외경, 삽관시 외상, 삽관유치기간, 기계적 보조호흡시 관의 이동, cuff 의 압력 등의 요인이 작용한다. 이러한 요인에 의해 기관내 삽관을 장기간 유치시 기관점막에 대한 지속적인 압박으로 점막하부의 압박괴사 및 혈관의 폐쇄로 인해 기관연골의 무혈성 괴사를 초래하여 환상의 기관협착이 병발하게 된다. 기관협착증에 대한 치료방법으로서는 여러 가지가 있으나 환상의 기관협착증인 경우는 협착부위의 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하고 절제부위가 광범위한 경우는 release technique 을 이용하여 문합부위의 장력을 줄여주는 것이 효과적인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최근 기관내 삽관후에 병발한 환상기관협착증 3례(다발성 골절 1례, 기관지 천식 1례, 약물중독 1례)에 대해 기관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 PDF

MANAGEMENT OF TRACHEAL STENOSIS (기관협착증에 대한 치험)

  • 정인교;김현정;정인규;조진학;남연우;최종욱;유홍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7.1-17
    • /
    • 1987
  • 근래 기관내 삽관을 통한 보조호흡술의 발달과 각종 사고로 인한 경부외상의 증가로 인하여 기관협착증이 속발되는 빈도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기관협착증은 관강의 협소 및 관내 분비물의 저류로 인하여 심각한 호흡곤란을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기관협착을 치료하기위하여 관강을 증폭시키고, 효율적인 기도점막으로 환원시키기란 쉽지 않다. 최근 3년간 본 교실에서 급성 기관협착 4례(기관외상 2례. 막성협착 2례), 만성 기관협착 6례(stomal stenosis 2례, cuff stenosis 1례, mixed stenosis 3례)에 대하여 기관륜의 재배열(2례), T-tube stenting(5례), 이개연골편을 이용한 기관성형술(1례), 협착부의 제거 및 단단문합술(2례) 등으로 각각 치료한 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Etiology of the Laryngotracheal Stenosis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원인)

  • 조재식
    • Korean Journal of Bronchoesophagology
    • /
    • v.1 no.1
    • /
    • pp.13-23
    • /
    • 1995
  • 후두 및 기관협착증은 선천적으로 발생하기도 하지만 대부분이 후천적으로 발생한다. 후천적인 원인으로는 외부로부터의 외상에 의하기도 하지만 대개가 기관내 삽관 후유증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관내 삽관에 의한 기도 점막의 손상은 대부분 가역적이기는 하지만 영구적으로 협착을 초래하는 경우, 그 치료에 있어서 많은 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치료 자체가 매우 까다롭고 실패 할 수도 있다. 따라서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예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후두 및 기관협착증의 선천적, 후천적 원인들에 대해서 검토하여 보았다. 특히 기도 내 삽관에 따른 협착증이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는 만큼, 이의 병태생리와 발생에 관여하는 여러 인자들에 대해서 중점적으로 문헌 고찰하였다.

  • PDF

Slide Tracheoptoasty for Congenital Tracheal Stenosis Case Report (선천성 기관 협착환자의 슬라이드 기법을 이용한 기관성형술 2 례)

  • 성숙환;정도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0 no.8
    • /
    • pp.833-837
    • /
    • 1997
  • Congenital tracheal stenosis is very rare, but it leads to life threatening obstruction in infancy and childhood. Recently, we experienced two cases of congenital tracheal stenosis, involving half of the distal trachea. We adopted slide tracheoplasty procedure Proposed by Peter Goldstraw Tracheoplasty was performed by dividing the stenosis at midpoint, incising the proximal and distal narrow segments vertically on opposite anterior and posterior surfaces, and sliding these together. On case 1, the patient':s now doing well. On case 2, the patient succumbed due to anastomotic disruption at postoperative ay 4.

  • PDF

상부기도 협착의 나선식 CT를 이용한 3차원 영상의 진단적 의의

  • 김승현;김현웅;노영수;임현준;윤대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7.04a
    • /
    • pp.119-119
    • /
    • 1997
  • 상부기도 협착의 원인은 장기간의 기관 삽관, 외상, 감염, 종양, 및 선천적인 결함등에 의해 존재하며, 이에 대한 진단은 단순 촬영이나 전산화 단층 촬영술 등으로 쉽게 진단은 가능하나,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기 위해서는 그 범위 및 정도를 정확히 파악하는 일이 중요하다 최근 방사선 촬영기술의 발달로 현재의 2차원적 단면 영상에서 3차원적 영상으로 발전해왔으며 상부기도 협착 또한 3차원적 영상으로 진단하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최근에 경험한 기관 협착증 7례에서 3D CT를 시행하여 협착 부위의 상태를 기존의 단순 촬영 영상 및 2D CT 영상과 비교하였고, 7례의 기관 협착증 중 4례에서 기관 단단 문합술 및 후두 기관 문합술을 시행한 바 수술시 확인된 협착 상태를 3D CT 영상과 비교하였다.

  • PDF

Treatment Result of Laryngotracheal Stenosis in Children (소아 후두기관협착증의 치료성적)

  • 김광현;성명훈;이재서;신진성;최승호;김진영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0-80
    • /
    • 1993
  • Airway stenosis in children may be classified into congenital and acquired forms. The incidence of acquired forms is increasing mainly due to increase in prolonged intubation and trauma. In congenital stenosis with significantly compromised airway, the patient may be tracheotomized and allowed some waiting period while expecting spontaneous resolution as the child grows. However, with this treatment policy, there is a considerably higher mortality and morbidity for the acquired disease as to often warrant surgical reconstruc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2 pediatric patients under the age of 15 who have had airway reconstruction at the authors' department from the beginning of January, 1988 through the end of December, 1992. The prognosis was analyzed in light of the etiology, site and severity of the stenosis, and the type of reconstructive measures.

  • PDF

Vascularized clavicle을 이용한 기관재건술

  • 정동학;김영모;조정일;윤정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7.04a
    • /
    • pp.117-117
    • /
    • 1997
  • 성문하 협착과 기관 협착이 동반된 경우 이를 치유할 몇가지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효과를 얻지는 못하고 있다. 저자들은 성문하와 기관협착이 동반된 27세 남자환자에서 기관 및 성문하 협착부 전면을 제거후 쇄골에 흉쇄유돌근(Sternocleidomastoid muscle: SCM)이 붙은채로 쇄골의 절반을 절제하여 수질부위를 제거후 협부점막을 부착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Vascularized clavicle을 성문하와 기관의 전면부 재건에 이용하여 좋은 결과를 얻었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in Pediatric Tracheal Stenosis (소아 환자에서의 단단문합술에 의한 기관협착 치험 9 례)

  • 김광현;성명훈;이재서;신진성;최승호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93.05a
    • /
    • pp.81-81
    • /
    • 1993
  • Tracheal stenosis in children are often the result of prolonged intubation and its treatment depends on the severity and extent of the involved segment. Repeated surgical endoscopic procedures may be indicated in those with mild stenoses mainly consisting of granulation tissues, However, 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airway should be performed in patients with severe, extensive stenoses composed of mature scar tissue. The senior author has successfully managed such patients with cartilage graft augmentation and tracheal resection anastomosis. This is a presentation of 9 pediatric patients with tracheal stenosis who have been successfully treated by resection anastomosis. The details of the cases and indications for this type of surgery are discussed.

  • PDF

A CLINICAL STUDY ON TRACHEAL STENOSIS (기관협착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 정무권;조진생;안회영;차창일;유세영;박주철
    • Proceedings of the KOR-BRONCHOESO Conference
    • /
    • 1987.05a
    • /
    • pp.13.1-13
    • /
    • 1987
  • 저자들은 1984년 12월 17일부터 1987년 2월 26일까지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이비인후과 및 흉부외과에서 경험한 9례의 기관협착증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적 고찰을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연령 및 성별분포는 여자 3례, 남자 6례이었고, 10세이하 3례, 10대 2례, 20대 2례, 40대 이상이 2례 이었다. 2) 원인은 지속적 기관내삽입관에 의한 경우가 4례이었고 1례는 선천성 혈관기형인 double aortic arch에 의해 기관이 눌리어 기도협착증상이 있었던 경우이었다. 상기관절개술에 의한 경우가 2례, 경부외상 1례, 기관내 종양 2례이었다. 3) 협착부위의 길이는 1.5cm에서 2cm까지가 4례로 가장 많았고 3cm이내가 2례, 4cm이내 1례, 6cm이내 1례이었다. 4)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으로 내시경하에서 육아조직 및 반흔조직을 laser를 이용하여 제거한 후 silastic stent 혹은 Montgomery T-tube 삽입후 4주에서 6주후 제거하여 치료한 경우가 2례이었고 협착부위절제 및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경우가 6례이었다. 1례에서는 aortic arch division을 시행하였다. 5) 예후는 9례중 단단문합술을 시행한 6례 그리고 보존적 방법으로 laser를 이용한 육아조직의 제거 및 지지물삽입을 시행한 3례에서 모두 현재까지 재발은 보이지 않고 있다. 6) 기관협착의 길이가 1.5cm에서 4cm까지의 경우에는 supralaryngeal release procedure없이 단단문합술을 시행하였고 협착길이가 6cm인 1례에서는 supralaryngeal release를 하여 tension없이 문합술을 시행할 수 있었다.

  • PDF

Surgical Treatment of Tracheal Stenosis (기관 협착증의 외과적 치료)

  • 최준영;장인석;김종우;김병균;이정은;김성호;이상호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3 no.7
    • /
    • pp.565-569
    • /
    • 2000
  • Background; Post-intubation injury is known to be the most common cause of tracheal stenosis. Treatment strategy for tracheal stenosis varies accoring to the extent of pathologic lesion. Focal mucosal lesion can be treated with laser photoablation, but full thickness tracheal lesion should be treated with resection and anastomosis. Material and Method; From Aptil 1998 to May 1999, twelve patients suffering from tracheal stenosis as a compl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were managed by resection and end-to-end anastomosis in the Department of Thoracic and Cardiovascular Surgery,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Result; There was no operative mortality. Five temporary vocal cord paralysis and one wound infection occurred as early complications. During 18 months of follow-up, re-stenosis was not found. Conclusion; Tracheal resection and anastomosis can be considered as an excellent surgical treatment for tracheal stenosis which developed as a complication of endotracheal intub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