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관자원관리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국가농업생명자원의 통합관리 효율화를 위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GMS) 개선 및 운영 현황

  • 유은애;유동수;조규택;강만정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2.09a
    • /
    • pp.53-53
    • /
    • 2022
  • 대한민국의 농업생명자원 중 식물유전자원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와 지방자치단체, 대학, 연구소 등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보존하고 있으며 책임기관인 농업유전자원센터에서는 종자 1,599종 246,097자원, 관리기관은 영양체자원 1,476종 26,254자원을 관리하고 있다. 유전자원 관리(수집/증식/등록/평가/분양 등) 업무 중 생산되는 대량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서 농업유전자원 정보를 DB 구축하였다. 구축된 정보는 학명 등 기초정보, 형태·저항성 등 특성 정보, 화상·종자량·활력·분양·증식 등으로 구분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농업유전자원관리시스템(Germplasm Management System, GMS)을 운영하였으나 개선전 프로그램은 설치 후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해야하고, 하드웨어 교체시 프로그램을 재설치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HTML5 방식으로 개선하였다. 개선 프로그램은 웹 브라우저(크롬, 마이크로소트 엣지 등)에 실행 주소(genebank.rda.go.kr/gms)를 입력만 하면 전국 79개 관리기관에서 자원을 접수하고 평가한 정보를 어디에서든 확인이 가능하다(메뉴사용 및 권한설정은 필요). 개선된 농업유전자원 정보관리시스템은 국가적 차원의 통합관리를 지원하여 농업생명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수요자가 원하는 자원에 대한 적절한 정보제공을 함으로써 농업생명자원의 활용 촉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선진연구기관과의 Benchmarking을 통한 국내 R&D 인적자원관리의 발전방향

  • 이성진;이현우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7.10a
    • /
    • pp.86-89
    • /
    • 1997
  • 인적 자원관리는 경영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환경과 경영전략 그리고 조직구조와 밀접한 관계속에서 조직체의 목적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연구기관에서 인적자원은 가장 중요한 경영요소이며, "우수한 인력을 채용하여 능력에 맞는 수준 높은 대우를 함으로써 우수한 결과를 얻도록 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인 활동이다. 인적자원의 관리는 훌륭한 리더쉽에 의하여 실천되지만, 우선적으로 리더쉽을 수행할수 있는 제도적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한다. 즉 인적자원 시스템을 형성하는 것은 효과적인 조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는 것이며, R'||'&'||'D 인적자원 관리 시스템은 연구목표 달성과 관련하여 개개인이 효과적으로 연구생산성을 제고할수 있도록 지원하여 주는 시스템이다.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제도적 장치로 고려될 수 있는 것은 과업 및 조직의 설계, 인적자원 채용 및 배치 전환, 보상, 경력관리, 교육훈련, 능력 평가이다. 본 연구에서는 상기 인적자원의 성과를 높이기 위한 주요 변수(인적자원관리의 서브 과제)를 세계 주요 연구기관의 하나인 Battelle연구소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국내 R'||'&'||'D 인적자원관리 발전방향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Manag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Made by Research Institutes: Focusing on the Homepags of Educational Research Institutes (연구기관 생산 지식정보자원 관리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기관 홈페이지를 중심으로)

  • Lee, Myeong-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46 no.1
    • /
    • pp.177-202
    • /
    • 2015
  •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evaluate whether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in four educational institutions function as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the institutions, and to suggest a proposed plan for the foundation of the national knowledge management system.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available on the institutes' websites were classified as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result',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process', and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of communication'. The application of metadata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earch system were examined by content analysis method. From the result, 8 ways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have been found; the development of standardized metadata and classification scheme, high recognition that the website is a counter for external distribution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resources, various searching skills and the provision of knowledge maps available, provision of linked information for original information acquisition, awareness of the agency managers and homepage managers to the homepages as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segmentation of appropriate data size unit in a mobile environment work, an organic linkage function of the internal electronic approval system and the homepage have been proposed.

A Study of the Integration of the Distributed Disaster Resources (국가 재난관리자원 통합에 관한 연구)

  • Lee, Changyeol;Kim, Taehwan;Park, Giljoo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 /
    • v.10 no.2
    • /
    • pp.304-311
    • /
    • 2014
  • Disaster Resources are the resources used in the disaster fields such as fire, typhoon, flood, collapse, flood damage, distress, relief, sanitary, explosion and so forth. The resources are distributed by the several institutes including governmental agencies, public institution, and private sectors. When the large scale disaster is occurred, many kinds of the disaster resources are needed. But it is not easy to know where institutes has the needed resources, because the resource management systems are all distributed in the each institute. To integrate or connect the resource data among the systems, it need the several kinds of coordinations such as terms, classification, and resource exchange protoco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standard specifications and how to connect and exchange the data among the systems.

8 Organs Model for Advanced Resource Management in the Grid (효율적인 Grid 자원관리를 위한 8 기관 모델)

  • 김동근;이춘길;박용진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412-414
    • /
    • 2003
  • 그리드 자원 관리는 지리적 분산과 이 기종 컴퓨팅 자원의 활용 그리고 인터넷 웹 환경에 주안점을 두고 설계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기존 부분기능 위주의 모델을 포괄하면서도 전체적인 상호협력 동작에 기반한 3개 기본요소와 8기관의 그리드 자원 관리 모델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전체적인 관점에서 그리드 자원관리를 평가할 수 있는 G값을 살펴보고, G값을 기준으로 하여 최적의 그리드 자원관리 방안을 모델링 한다.

  • PDF

A Plan to Activate the Use of Civil Defense Equipment Using the Disaster Management Resource Joint Utilization System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을 활용한 민방위 장비 사용 활성화 방안)

  • Park, Nam-Hee;Yeo, Wook-Hyeon;Yeo, Hwa-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400-40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실질적 활용이 미흡한 민방위 장비 사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재난관리자원 공동활용시스템(DRSS)'를 분석하고 DRSS 내에서 민방위 장비를 등록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재난관리자원이란 각종 재난의 수습활동에 필요한 물적·인적 자원으로서 재난관리책임기관의 장이 재난에 대비하여 비축·관리 또는 지정·관리하여야 하는 장비자재, 물자, 시설 및 인력을 말한다. DRSS는 평상시에 지자체, 중앙부처, 민간단체에서 보유하고 있는 재난관리자원을 등록, 지속적으로 변동사항을 현행화하고 재난 발생으로 자원이 부족할 경우 인근 기관의 보유 자원을 조회하고 지원 요청하여 현장에 자원을 투입하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다만 민방위자원은 현행법상 재난관리자원에 속하지 않기 때문에 DRSS 내에서 활용하기 위해서는 기존에 등록된 재난관리자원과의 중복여부 조사와 함께 중복되지 않은 자원을 별도 분류 후 등록이 필요하다.

  • PDF

Th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n adoptive intention of institutional repositories (연구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기관리포지터리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Hwang, Hyekyong;Lee, Jee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16.08a
    • /
    • pp.49-5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물리, 생명분야 연구자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기관리포지터리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정보공유와 확산의 장으로 기관리포지터리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 수립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관련 문헌자료 조사,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수행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관리포지터리 인지경로는 도서관과 모체기관의 홍보, 동료들의 추천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의 학술정보자원 공유는 면대면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오픈액세스 기반 기관리포지터리, 연구그룹단위 웹사이트 순이었다. 셋째, 학술정보자원 유형별 공개는 심사후 학술논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실험데이터에 대한 공개의사는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술정보자원의 공개를 통해 연구자들은 연구성과에 대한 인정, 우선권확보, 연구역량 강화에 대한 기대감, 취업에 대한 기대감, 중복연구 가능성 축소를 기대하고 있었다. 향후 다양한 학문분야별 연구자의 특성과 행태분석을 통해 주제분야별 특성이 반영된 기관리포지터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PDF

A Study of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related to Korean Residents in China, Central Asia and Russia (중국, 중앙아시아 및 러시아 거주 한인 관련 자료관리를 위한 연구)

  • Chang, Woo-Kwon;Yun, Gwi-Sung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 /
    • v.37 no.4
    • /
    • pp.161-180
    • /
    • 200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build the system of investigating and analysing the status quo of the HANGEUL publications, and management of the HANGEUL information resources in China, Kazakhstan and Uzebekistan of the Central Asia, and Russia. Documents analysis, direct observation and interview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The result of this paper consists of as follows: 1)distributing the HANGEUL information resources produced and collected by the Korean in China, Central Asia and Russia 2)presenting status of the organs of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3)documenting classification of China and Russia 4) constructing system of the information resources management.

A Study on Protocols for Retrieval and Update of Distributed Resources (분산 자원 검색과 갱신을 위한 프로토콜에 관한 연구)

  • Lee, Ji-W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Conference
    • /
    • 2005.08a
    • /
    • pp.279-284
    • /
    • 2005
  • 본 연구는 분산자원 활용을 위한 Z39.50 프로토콜, ZING SRW/SRU 프로토콜, OAI 프로토콜, ZING Update 프로토콜의 개발 배경, 특징을 살펴보고, 검색과 갱신 각 기능별로 프로토콜을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분산자원을 활용하려는 도서관 및 정보서비스기관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고, 각 기관에서 분산자원을 이용하여 구축하고자 하는 서비스의 대상, 종류, 환경에 적합한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 PDF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Engine Room Resource Management System using the Requirements of ISO 9001 (ISO 9001을 이용한 기관실 자원관리시스템(ERMS)의 구축에 관한 연구)

  • Jang, Won-Jun;Kim, Jong-Ho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6 no.2
    • /
    • pp.327-333
    • /
    • 2012
  • The Engine Room Resource Management System will be applied to ocean going ship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2010 STCW convention.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practical procedures for establishing Engine Room Resource Management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eight quality management principles of ISO 9001 and Korean law.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the necessity of Engine Room Resource Management System and customer, product, customer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quirements of the ISO 9001 are reviewed and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