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기계 번역

Search Result 413, Processing Time 0.036 seconds

The Blended Approach of Machine Translation and Human Translation (기계번역과 인간번역의 혼합적 접근법)

  • Kim, Yangsoon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
    • v.8 no.1
    • /
    • pp.239-244
    • /
    • 2022
  • Neural Machine Translation (NMT) is gradually breaking down the boundary between human and machine translation. We look at actual cases of human and machine translation and discuss why machine translation needs a human touch. In this paper, we raise three driving questions: Can humans be replaced by machines?; How human translators can remain successful in a NMT-driven world?; Is it possible to eliminate language barrier in the era of NMT and World Englishes? The answers to these questions are all negative. We suggest that machine translation is a useful tool with rapidity, accuracy, and low cost productivity. However, the machine translation is limited in the areas of culture, borrowing, ambiguity, new words and (national) dialects. The machines cannot imitate the emotional and intellectual abilities of human translators since machines are based on machine learning, while humans are on intuition. The machine translation will be a useful tool that does not cause moral problems when using methods such as back translation and human post-editing. To conclude, we propose the blended approach that machine translation cannot be completed without the touch of human translation.

Word-level Korean-English Quality Estimation (단어 수준 한국어-영어 기계번역 품질 예측)

  • Eo, Sugyeong;Park, Chanjun;Seo, Jaehyung;Moon, Hyeonseok;Lim, Heuise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9-15
    • /
    • 2021
  • 기계번역 품질 예측 (Quality Estimation, QE)은 정답 문장에 대한 참조없이 소스 문장과 기계번역 결과를 통해 기계번역 결과에 대한 품질을 수준별 주석으로 나타내주는 태스크이며, 다양한 활용도가 있다는 점에서 꾸준히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QE 모델 학습을 위한 데이터 구성 시 기계번역 결과에 대해 번역 전문가가 교정한 문장이 필요한데, 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당한 인건비와 시간 비용이 발생하는 한계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번역 전문가 없이 병렬 또는 단일 말뭉치와 기계번역기만을 활용하여 자동화된 방식으로 한국어-영어 합성 QE 데이터를 구축하며, 최초로 단어 수준의 한국어-영어 기계번역 결과 품질 예측 모델을 제작하였다. QE 모델 제작 시에는 Cross-lingual language model (XLM), XLM-RoBERTa (XLM-R), multilingual BART (mBART)와 같은 다언어모델들을 활용하여 비교 실험을 수행했다. 또한 기계번역 결과에 대한 품질 예측의 객관성을 검증하고자 구글,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시스트란의 번역기를 활용하여 모델 평가를 진행했다. 실험 결과 XLM-R을 활용하여 미세조정학습한 QE 모델이 가장 좋은 성능을 보였으며, 품질 예측의 객관성을 확보함으로써 QE의 다양한 장점들을 한국어-영어 기계번역에서도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 PDF

NMT Training Method for Korean-English Idiom Machine Translation (한-영 관용구 기계번역을 위한 NMT 학습 방법)

  • Choi, Min-Joo;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353-356
    • /
    • 2020
  • 관용구는 둘 이상의 단어가 결합하여 특정한 뜻을 생성한 어구로 기계번역 시 종종 오역이 발생한다. 이는 관용구가 지닌 함축적인 의미를 정확하게 번역할 수 없는 기계번역의 한계를 드러낸다. 따라서 신경망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에서 관용구를 효과적으로 학습하려면 관용구에 특화된 번역 쌍 데이터셋과 학습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한-영 관용구 기계번역에 특화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신경망 기계번역 모델에 관용구를 효과적으로 학습시키기 위해 특정 토큰을 삽입하여 문장에 포함된 관용구의 위치를 나타내는 방법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을 이용하여 학습하였을 때 대부분의 신경망 기계 번역 모델에서 관용구 번역 품질의 향상이 있음을 보였다.

  • PDF

Analysis of the Usability of Machine Translators as an English Learning Tool -Through backtranslation of the as phrase (영어학습 도구로서 기계번역기의 가용성 분석 - as구문 역번역을 통하여)

  • Park, Kwonho;Kim, Jeong-ryeol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5
    • /
    • pp.259-267
    • /
    • 2021
  • Machine translators first appeared in the 1950s and made a leap in translation accuracy by applying the neural translation system in the 2010s. However, it is still having difficulty in translating complex sentences, which made it inconvenient to use machine translators as an English learning too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usability of a machine translator as an English learning tool through a backtranslation experiment of as phrases. As analysis tools, Google Translator, Naver Papago, and Microsoft Translator, were used since they are representative machine translators using a neural translation system. As a result of the study, findings are: The usabilit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each as usage when using a machine translator. Accordingly, as usages in sentences were classified into high, ordinary, and low usability.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a research contribution in analyzing the machine translator as a direct learning tool and quantifying the usability of the conjunction as.

Korean-English Non-Autoregressive Neural Machine Translation using Word Alignment (단어 정렬을 이용한 한국어-영어 비자기회귀 신경망 기계 번역)

  • Jung, Young-Jun;Lee, Chang-Ki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629-632
    • /
    • 2021
  • 기계 번역(machine translation)은 자연 언어로 된 텍스트를 다른 언어로 자동 번역 하는 기술로, 최근에는 주로 신경망 기계 번역(Neural Machine Translation) 모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신경망 기계 번역은 일반적으로 자기회귀(autoregressive) 모델을 이용하며 기계 번역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병렬화할 수 없어 디코딩 속도가 느린 문제가 있다. 비자기회귀(non-autoregressive) 모델은 단어를 독립적으로 생성하며 병렬 계산이 가능해 자기회귀 모델에 비해 디코딩 속도가 상당히 빠른 장점이 있지만, 멀티모달리티(multimodality)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단어 정렬(word alignment)을 이용한 비자기회귀 신경망 기계 번역 모델을 제안하고, 제안한 모델을 한국어-영어 기계 번역에 적용하여 단어 정렬 정보가 어순이 다른 언어 간의 번역 성능 개선과 멀티모달리티 문제를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됨을 보인다.

  • PDF

Study on Translators' Acceptance of Machine Translation (전문번역사들의 기계번역 수용에 관한 연구)

  • Chun, Jong-Sung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6
    • /
    • pp.281-288
    • /
    • 2020
  • This study delves into acceptance on neural network machine translation (NMT) such as Google Translate and Papago that uses technical acceptance model. In conclusion, it turned out that perceived usefulness impacts translators' attitude towards NMT. In other words, if translators determine that NMT is related to their work and the quality of the deliverables is guaranteed, they were more positive towards it. Unlike the existing normative approach that translators feel threatened by NMT, empirical results tell us translators perceive NMT as a business tool and such perception was largely influenced by advices of their colleagues and friends and expectations for use.

A Preprocessing System for Multi-Lingual Machine Translation of Web Pages (웹용 다국어 기계번역을 위한 전처리기)

  • 이영우;안동원;서진원;정성종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c
    • /
    • pp.204-206
    • /
    • 1998
  • 여러 언어들로 작성된 웹문서들을 다국어 기계번역기에서 번역하기 위해서는 우선 해당 웹문서가 어떠한 언어로 작성되었는지를 알아내야 한다. 코드 분석을 통하여 웹문서를 작성한 언어를 알게되면 해당 언어를 번역하는 기계번역기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웹문서에서 기계번역의 대상은 HTML 태그를 제외한 일반 문장이다. 따라서, 웹용 기계번역의 전처리기에서 웹문서에서 HTML 태그를 분리하여야 하며 번역이 완료된 후 번역된 문서에 HTML 태그를 복원하여 웹브라우저에서 번역된 문서를 볼 수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웹용 다국어 기계번역을 위한 전처리기의 태그관리기와 코드인식기를 설명한다.

  • PDF

Automatic Post Editing Research (기계번역 사후교정(Automatic Post Editing) 연구)

  • Park, Chan-Jun;Lim, Heui-Seok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
    • v.11 no.5
    • /
    • pp.1-8
    • /
    • 2020
  • Machine translation refers to a system where a computer translates a source sentence into a target sentence. There are various subfields of machine translation. APE (Automatic Post Editing) is a subfield of machine translation that produces better translations by editing the output of machine translation systems. In other words, it means the process of correcting errors included in the translations generated by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to make proofreading. Rather than changing the machine translation model, this is a research field to improve the translation quality by correcting the result sentence of the machine translation system. Since 2015, APE has been selected for the WMT Shaed Task. and the performance evaluation uses TER (Translation Error Rate). Due to this, various studies on the APE model have been published recently, and this paper deals with the latest research trends in the field of APE.

KoRIBES : A Study on the Problems of RIBES in Automatic Evaluation English-Korean Patent Machine Translation (특허 기계 번역에 대한 RIBES 한국어 자동평가 문제에 대한 고찰)

  • Jang, Hyeon-Jin;Jang, Moon-Seok;Noh, Han-Sung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0.10a
    • /
    • pp.543-547
    • /
    • 2020
  • 자연어 처리에서 기계번역은 가장 많이 사용되고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기계번역에 있어서 사람의 평가가 가장 정확하고 중요하지만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된다. 이에 기계번역을 자동 평가하는 방법들이 많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한국어 특성을 잘 반영한 자동평가 방법은 연구되지 않고 있다. BLEU와 같은 자동평가 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지만 언어의 특성 차이로 인해 원하는 평가결과를 얻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특히 특허나 논문과 같은 기술문서의 번역에서는 더 많이 발생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단어의 정밀도와 어순이 평가에 영향이 있는 RIBES를 가지고 특허 기계 번역에서 영어→한국어로 기계 번역된 결과물의 자동평가에 대해 사람의 평가와 유사한 결과를 얻기 위해 tokenization 과정에서 복합 형태소 분리를 통한 평가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 PDF

Deep Learning based Korean Dialect Machine Translation Research (딥러닝 기반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

  • Lim, Sangbeom;Park, Chanjun;Jo, Jaechoon;Yang, Yeongwook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21.10a
    • /
    • pp.490-495
    • /
    • 2021
  • 표준어와 방언사이에는 위계가 존재하지 않고 열등하지 않다는 사상을 기반으로 방언을 보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있다. 또한 동일한 국가내에서 표준어와 방언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져야한다. 본 논문은 방언 연구보존과 의사소통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방언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표적인 방언 중 하나인 제주어와 더불어 강원어, 경상어, 전라어, 충청어 기반의 기계번역 연구를 진행하였다. 공개된 AI Hub 데이터를 바탕으로 Transformer기반 copy mechanism을 적용하여 방언 기계번역의 성능을 높이는 모델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모델배포의 효율성을 위하여 Many-to-one기반 universal한 방언 기계번역기를 개발하였고 이를 one-to-one 모델과의 성능비교를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copy mechanism이 방언 기계번역 모델에 매우 효과적인 요소임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