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기간분리

검색결과 1,019건 처리시간 0.022초

자근(紫根)으로부터 분리한 Naphthoquinone류 색소의 당(糖) 및 산(酸)에 대한 안정성 (Stability of Naphthoquinone Pigments Isolated from the Roots of Lithospermum erythrorhizon by Various Sugars and Acids)

  • 정미숙;이미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57-161
    • /
    • 1994
  • 우리나라에 자생하는 야생 식용 식물자원 개발의 일환으로 예로부터 사용되어온 천연 착색료인 자근(Lithospermum erythrorhizon)으로부터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을 천연착색료로 사용하기 위하여 당 및 산에 대한 안정성 연구를 하였다. Aceyshikonin 색소의 산성용액(pH 5)에서는 0.6 M의 단당류와 0.3 M의 이당류가 첨가되었을 때 유의적인 흡광도의 증가가 있었다. Acetylshikonin pH 9 용액에서는 0.1 M 과당, 0.005 M 맥아당, 0.6 M 단당류 및 0.3 M 이당류가 첨가되었을 때, isobutylshikonin pH 9 용액의 경우 0.1 및 0.6 M 과당을 첨가 하였을 때 저장기간 동안 당을 첨가하지 않은 실험군에 비하여 흡광도, 즉 색소함량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Acetylshikonin 색소용액에 산을 첨가하여 저장하였을 때 1 meq의 citric, fumaric, oxalic, tartaric 및 phosphoric acid 첨가군에서 색소잔존량의 유의적 증가를 보였으며 10 meq ascorbic acid가 첨가되었을 때 육안으로 관찰되어지는 색소의 변색을 일으켰다. 따라서 자근에서 분리된 acetylshikonin과 isobutylshikonin은 당 및 산이 첨가되는 식품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 PDF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의 미생물의 분포 (Microbial Distribution as an Environmental Factor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War Memorial in Korea)

  • 최윤정;임선기;민경희
    • 보존과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31-41
    • /
    • 1998
  • 전쟁기념관내 문화재 보존을 위한 환경요인으로서 미생물 분포를 낙하법과 공기포집기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기념관내의 전시실 입구와 내부 그리고 수장고의 공중진균류 분포는 관람객 출입에 의한 공기의 유통이 심한 전시실이 관람객의 출입이 없는 수장고내보다 높게 나타났다. 전시실에서의 관람객이 많은 관람기간 동안의 미생물의 분포는 휴관일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미생물은 관람객의 이동에 따라 전시실내로 공기의 흐름과 함께 유입되어 들어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념관내에서 분리된 진균류는 19종이었으며, 고온성 진균은 1종인 Neurospors crassa로 동정되었다. 분리된 진균류의 대부분은 섬유소 문화재에 손상을 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PDF

Hyoscyamus muticus의 모상근배양으로부터 Sesquiterpene 화합물의 Intergration 추출시 Sesquiterpene Cyclase의 유도 (Induction of Sesquiterpene Cyclase During Integrated Extraction of Sesquiterpenes from Hairy Root Cultures of Hyoscyamus muticus)

  • BACK, Kyoungwhan;SHIN, Dong Hyun;KIM, Kil Ung;De HAAS, Cynthia R.;CHAPPELL, Joseph;CURTIS Wayne R.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273-277
    • /
    • 1997
  • Rhizoctonia solani 추출물(elicitor)을 Hyoscyamus muticus 모상근배양에 처리하였을 때 sesquiterpene cyclase (SC)가 유도됨과 동시에 sesquiterpene화합물이 합성되어 배양액속에 축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4시간 배양기간 동안 배양액으로부터 sesquiterpene을 추출ㆍ분리하여 배양할 경우, 추출ㆍ분리하지 않은 모상근배양보다 거의 두배의 함량이 생성되었다. Cyclase monoclonal antibody을 이용하여 immunoblot을 시도한 결과, 추출한 모상근배양과 추출하지 많은 모상근배양에서의 SC 절대량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효소활성도 현저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terpenoid pathway에서 sesquiterpene 생합성이 이용가능한 기질의 량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사료되며, feedback 조절은 sesquiterpene cyclase 효소에 앞서 일어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여름철 낙뢰 발생 시 강수 및 위성의 휘도온도 특성

  • 이윤정;서명석;오석근
    • 한국지구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구과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8-39
    • /
    • 2010
  • 낙뢰란 뇌운 속에서 분리 축적 된 음 (-)과 양 (+)의 전하 사이 또는 뇌운 속의 전하와 지면에 유도되는 전하 사이에서 발생하는 불꽃 방전을 말한다. 뇌운 안에는 이 불꽃 방전을 반복하기에 충분한 전하의 분리가 계속 일어나고 있는데, 그 결과 양전하 (+)는 구름의 상부에 넓게 분산되어 분포하고, 음전하 (-)는 주로 구름 하부에 분포한다. 이 때 음전하가 대지로 방전되어 발생하는 낙뢰를 부극성 (-)낙뢰, 양전하가 대지로 방전되어 발생하는 낙뢰를 정극성 (+)낙뢰라 한다. 낙뢰의 약 80%는 구름 내부 또는 구름 대 구름 사이에서 발생하고, 약 20%만이 구름과 지면 사이에서 발생하는데, 이러한 구름-지면 낙뢰 (Cloud-to-ground lightning)는 가장 위험하고 그 피해도 크다. 우리나라는 동아시아 몬순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철에 대기가 불안정하여 낙뢰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복잡한 지형과 해양의 영향으로 낙뢰현상의 공간적 변동도 크게 나타난다. 이러한 낙뢰는 최근으로 올수록 강도가 증가하고 있어 그 피해의 증가가 우려되기 때문에 낙뢰 발생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뢰자료와 강수자료, 그리고 시 공간 분해능이 뛰어난 MTSAT-1R (Multi-functional Transport SATellite - 1 Replacement) 정지궤도 위성의 휘도온도를 이용하여 낙뢰 발생 시 강수 및 위성 휘도온도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대류활동에 대한 정보 제공 뿐 아니라, 낙뢰 예측성 향상 및 재해 경감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2001년 기상청에 도입되어 운영 중인 신 낙뢰관측 시스템 (Total Lightning Detection System, TLDS)에서 관측된 낙뢰자료와 MTSAT-1R 위성에서 관측된 휘도온도 자료, 그리고 자동기상관측장비 (Automatic Weather System, AWS)에서 관측된 강수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세 자료의 출처는 모두 기상청이다. 분석 기간은 2006년부터 2007년까지이며 우리나라에서 낙뢰발생 빈도가 여름철에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을 고려하여 여름철 (6~8월) 낙뢰에 대해서만 분석하였다. 또한 낙뢰 발생 사례에 대하여 관측 효율이 90% 이상으로 알려진 위도 $33{\sim}39^{\circ}N$, 경도 $124{\sim}130^{\circ}E$ 영역에서 낙뢰발생시 강수 및 위성 휘도온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는 낙뢰 발생 횟수가 많은 날을 중심으로 먼저 적외영상과 낙뢰영상을 정성적으로 분석한 후 뇌우의 지속시간이 긴 9개 사례를 선정하였다. MTSAT-1R 위성과 낙뢰자료 및 강수자료는 관측주기와 공간규모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세 자료를 함께 사용하기 위해서는 시 공간을 일치시키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자료 관측시간(00분, 33분)과 AWS 지점 위 경도를 시 공간 일치를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

  • PDF

동치미 젖산균에 대한 대나무(이대)잎 추출물의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Bamboo(Pseudosasa japonica Makino) Leaves Extracts on Lactic Acid Bacteria Related to Dongchimi)

  • 김미정;권오진;장명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741-746
    • /
    • 1996
  • 대나무잎 추출물을 대상으로 이들을 여러 용매별로 분획하여 동치미 발효에 관여하는 젖산균에 대해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동치미 담금액 중의 총 균수는 젖산 균수와 발효기간별로 대체적으로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고 발효 8일째 (equation omitted) a $10^{7}$ CFU/m1로 최고 수치를 나타내었다. 동치미에서 분리한 젖산균을 동정한 결과, BK-02, BK-07 및 BK-22 균주는 Leuconostoc species 로, BK-05와 BK-08 균주는 Lactobaciilus species로, BK-15 균주는 Streptococcus species로 각각 확인되었다. 대나무잎(이대)의 70% ethanol추출물은 BK-02, BK-07, BK-15및 BK-22 균주들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BK-22 균주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각 분획별 항균활성은 BK-22 균주가 70% ethanol 분획에서, BK-7 균주가 diethyl ether 분획에서 강하게 나타났으며, 이 두 추출물이 대부분의 분리 균주들에 대해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 PDF

젓갈제품의 미생물학적 품질표준화에 관한 고찰 (Critical Review on the Microbiological Standardization of Salt-Fermented Fish Product)

  • 허성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885-891
    • /
    • 1996
  • 전통발효 식품인 멸치 젓갈은 영양적 특성과 우수한 기능성으로 인하여 한국적인 식단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조미식품 중의 하나이다. 멸치젓갈은 원료와 제조 기법상에 있어서 위생학적인 안정성과 함께 개선해야 할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주로 멸치 젓갈의 숙성에 관여하는 미생물상과 미생물의 분리 방법 그리고 최종 제품의 품질향상을 위하여 추진해야 할 연구 방향 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멸치젓갈에 관여하는 미생물은 세균속에서는 Bacillus sp., Pseudomonas sp., Pediococus sp. 및 Micrococcus sp. 등의 균속이 우세하며, 그 외 Vibrio sp., Clostridium sp., Serratia sp., Achromobacter sp., Streptococcus sp., Brevibacterium sp., Halobacterrium sp., Flavobacterium sp., Corynebacterium sp., Acinetobacter sp., Sarcina sp.와 Staphylococcus sp. 등이, 효모균속에서는 Torulopsis sp. 및 Saccharomyces sp. 등이 분리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젓갈 제조 공정의 과학화와 제품의 균일성을 위해서는 이러한 복합 미생물 중 우수균주를 유전자 조작으로 개량시켜 발효 및 숙성 기간의 단축과 동시에 최종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품질표준화를 위해서는 유용미 생물을 탐색하여 다양한 제품 개발과 아울러 최종제품의 상품성을 유지 할 수 있는 위생학적인 관리로써 유통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PDF

인천 연안에서 분리한 원유 분해 미생물의 특성 연구 (Characterization Study of Crude Oil Degrading Microbiology Isolated from Incheon Bay)

  • 최혜진;오보영;한영선;허명제;김종국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694-699
    • /
    • 2014
  • 토착 미생물은 친환경적 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원유(crude oil)를 분해하는 80균주를 인천 연안에서 분리하고 oil film collapsing방법을 이용하여 유화능이 있는 12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에 대해 ${\rho}$-nitrophenyl butylrate를 기질로 이용하여 리파아제(lipase)활성과 n-hexanedecane을 기질로 이용하여 유화(emulsification)활성을 측정하여 원유 분해 활성이 좋은 Incheon9를 선별하고 gas chromatography (FID)로 paraffine계 탄화수소를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균주의 16s rRNA유전자 분석을 통해 Acinetobacter sp.로 동정하고 NCBI에 등록하여 accession code (KF548540)를 부여 받았다. Acinetobacter sp. Incheon9의 성장과 유화능이 최적 배양 조건은 $20^{\circ}C$, pH 7, 1% NaCl였으며 대수증식기 기간에 가장 높은 유화능을 보였으며 탄화수소가 짧은 trybutyrin에서 분해능력이 좋았다. 이번 연구결과는 환경오염에 활용 가능한 미생물자원군의 확보를 위한 연구였으며 추후 활용을 위해서는 실제 환경에서 동일한 활성을 가지는지 여부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약산처리 옥수수전분으로 호소저항전분의 생성 (Enzyme-Resistant Starch Formation from Mild Acid-Treated Maize Starches)

  • 이신경;문세훈;신말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309-1315
    • /
    • 1997
  • 아밀로오스 함량이 다른 옥수수 전분을 1 N HCl로 산처리하여 약산처리 전분의 특성과 효소저항전분의 수율 및 특성을 비교한 결과 아밀로오스 함량이 증가할수록 산가수분해율은 감소하였고 산처리가 진행됨에 따라 최대흡수파장$({\lambda}_{max})$와 요드친화력이 각각 감소하였다. 산처리 기간에 따른 효소저항전분 수율은 12시간 산처리했을 때까지 모든 시료에서 증가하였으나, 24시간 처리시켰을 때는 오히려 감소하였으며, 찰전분의 수율 증가정도는 12시간 처리시 8배로 다른 전분에 비해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약산처리된 효소저항전분 생성전분의 형태는 그물망과 같은 형태를 보였으며, 분리된 효소저항전분은 작은 알갱이와 막대모양의 입자를 관찰할 수 있었다. 효소저항전분 생성전분의 X-선 회절도는 Amioca의 경우 무정형이었으며, 다른 전분은 $20{\theta}=17^{\circ}$, $20^{\circ}$, $23^{\circ}$, 근처의 피크가 나타났고, 분리된 효소저항전분은 형성전분과는 다른 경향을 보여 완전한 결정구조를 나타내었다.

  • PDF

엽연초(葉煙草) 인공(人工) 숙성중(熟成中)의 미생물(微生物)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microorganisms during the tobacco fermentation)

  • 양차범;전재근;김재훈;배효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7권
    • /
    • pp.53-58
    • /
    • 1966
  • 엽연초인공숙성(葉煙草人工熟成)에 관여(關與)하는 미생물(微生物)들을 분리(分離)하고 분리균주(分離菌株)에 대(對)하여 배양(培養), 형태(形態), 생리(生理) 및 회수화물(灰水化物) 발효시험(醱酵試驗)을 행(行)하고 이 결과(結果)들로부터 이들 미생물군(微生物群)을 각각(各各) Asperfillus gavus, A. restrictus, A. nidulans, A. awamori, Oidium sp. Edmundmasonia Sp. spicaria Sp. Bacillus subtilis, B. subtilis var aterrimus, B. licheniformis Flaavobacterium harrisonii, Aerobacter aerogenes으로 동정(同定)하였다. 그리고 이들 균주중(菌株中)에서 발효전기간(醱酵全期間)에 걸쳐, 관여(關與)한 것으는 Aspergillus flavus, A. restriclus.,와 Bacillus subtilis, B. licheniformis이었고 이 곰팡과, 세균(細菌)은 각각(各各) 14, 7 일간(日間)에 최고분포(最高分布)를 이루었으며 기후(其後)에는 뚜렷한 분포(分布)의 변화(變化)를 보이지 않았다.

  • PDF

실험적 요꼬가와흡충증에서의 특이 IgG 항체 반응 (Specific IgG antibody responses in experimental cat metagonimiasis)

  • 조승열;김석일;강신영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5권2호
    • /
    • pp.149-153
    • /
    • 1987
  • 요꼬가와홉충을 고양이 등에 실험적으로 감염시키면 그 기생부위인 소장의 점막에는 융모의 위축, 융합 등의 병적 변화가 일정기 간 나타나며 점막기 질(stroma)에는 심한 염증세포의 침윤이 일어난다. 이상의 병리학적 소견을 기초로 생각할 때 요꼬가와흡충 감염 경과중 특이 항체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요꼬가와흡충의 피낭유충을 10,000개 및 80,000개씩 감염시킨 고양이 25마리에서의 혈청내 특이 IgG 항체가를 면역효소측정법 으로 조사하였다. 자연감염된 은어에서 분리한 피낭유충과 실험감염 개의 소장에서 4주일후 분리한 성충의 생리식염수 추출액을 항원으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감염된 충체의 수를 부검때에 세어 실제 감염략으로 하였다. 특이 IgG 항체가는 대조군 혈청에 비하여 감염 7일째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였으며 감염후 2∼4주일에 최고치에 도달하였다가 그 이후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다. 특이 IgG항체는 피낭유충 항원보다는 성충 항원에 대하여 더 높게 반응하였다. 그리고 감염충체수가 적은 고양이의 혈청내 IgG 항체가는 같은 감염기간의 대 량감염 고양이에 비하여 음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