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적 영향

검색결과 8,238건 처리시간 0.045초

소비자가 인식하는 산업체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이 점포이미지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sustainability management at institutional foodservice on store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 안지윤;서선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8권2호
    • /
    • pp.199-210
    • /
    • 2015
  • 본 연구는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에 대하여 고객들의 인식과 점포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지속가능경영 요인 중 사회적 책임성만이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점포이미지는 고객의 재방문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인 점포 이미지 형성은 우호적인 행동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속가능경영 요인 중 경제적 수익성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구전의도 및 추가지불의사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책임성은 재방문의도, 긍정적 구전의도,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책임성은 재방문의도 및 추가지불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구전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경영의 세 가지 요인 중 사회적 책임성이 고객의 행동의도를 결정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은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그로 인해 호의적인 행동의도로 연결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사회적 측면에서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은 음식 및 서비스와 관련한 내용들로 고객들이 급식 이용과 동시에 직접적인 혜택을 느낄 수 있는 요소들이므로 그에 대한 피드백이 즉각적으로 나타나 점포이미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사회적 활동과 달리, 경제적 수익성 및 환경적 건전성에 해당하는 내용은 소비자의 급식업체에 대한 관심이 높지 않을 경우 쉽게 인지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아 상대적으로 급식업체의 이미지에 가시적인 효과가 나타나기 힘든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 활동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고객으로 하여금 긍정적인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할 것이다. 또한 긍정적인 행동의도로 유도할 수 있는 다양한 매개요인들을 연구하여 행동의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국내 대부분의 지속가능경영 관련 연구가 해당 기업의 경영자 및 관리자의 관점에서 분석한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을 고객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점포이미지 및 행동의도의 유기적인 영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연구에서는 친환경활동과 관련한 환경보호활동에 중점을 둔 것과 반면, 본 연구는 경제, 사회, 환경 세 가지 요소를 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 결과를 도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개념의 연구가 아직은 초기 단계로써 그 속성들이 완전하게 정립되지 않아 개념을 구체화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있었으며 소비자들 역시 지속가능성의 개념이 생소하므로 정확한 응답 여부에 대한 한계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급식업체의 지속가능경영활동의 실제 실천 유무에 대한 구분 없이 단순히 소비자들의 인지 정도만으로 측정하였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는 지속가능경영 활동을 실천하는 업체와 실천하지 않는 업체를 명확히 구분하여 그에 따른 소비자의 인식을 비교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급식업체 지속가능 경영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뿐만 아니라 운영자 및 관리자 (영양사 또는 지점장 등)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 경영자들의 인식 및 수행정도를 파악하고 그에 따른 경영 성과를 분석하여 지속가능경영활동을 보다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경찰관들이 경험하는 컴페션(Compassion)과 미덕(Virtue)이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와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 (The Effects of Compassion and Virtue experienced by police officer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emotions and moderating effect of collective self-esteem)

  • 조승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5호
    • /
    • pp.1-10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경찰관들이 조직 내에서 경험하는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둘째, 긍정적 감정이 종속변수인 조직 동일시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컴페션과 조직 동일시, 미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넷째, 긍정적 감정과 조직 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의 조절효과를 실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표본추출은 전국 지방경찰청 소속 경찰관서에 근무하는 남 녀 경찰관 3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한 후 가설검증에 이들 표본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경찰관이 경험한 컴페션과 미덕이 긍정적 감정에 긍정적 효과를 미치는 것이 검증되었고, 긍정적 감정이 조직 동일시 현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컴페션과 미덕, 조직동일시 사이의 관계에서 긍정적 감정이 완전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감정과 조직동일시와의 관계에서 집단적 자긍심이 조절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이론적 시사점은 엄격한 위계관계가 유지되고 직무스트레스가 높은 경찰 조직에 컴페션과 미덕적 행위를 확산시켜 긍정적인 조직문화를 조성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웃음 레크리에이션 융합 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ositive Attitude of Laughter Recreation Convergence Education on Psychological Happiness)

  • 이선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3호
    • /
    • pp.37-49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웃음 레크리에이션 융합 교육에 대한 긍정적 태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을 기대하고,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웃음 레크리에이션 교육이 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유발하고, 행복한 삶에 이바지함을 증명하여, 여가활용과 행복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으로서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웃음 레크리에이션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표집 대상은 108명이며, 설문지는 사전 사후로 하여 총 부수는 216개이다. 본 연구를 검증한 결과가 웃음레크리에이션 융합교육에서 긍정적 태도의 일부 요인에서 심리적 행복감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고, 교육에 대한 사전 사후에서 차이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웃음 레크리에이션 융합교육이 의미가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CIP (Corporate Identity Program)에 의한 상호변경이 기업의 이익흐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rporate Identity Program on the Profit Performance of the Firm)

  • 이태희;박찬수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2권4호
    • /
    • pp.68-78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 국내의 많은 대기업들이 실시한 Corporate Identity Program (CIP)으로 인한 기업 이름의 변경이 기업의 이익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event study method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1992년부터 1996년 사이에 CIP의 일환으로 기업 이름을 모기업 또는 그룹의 명칭과 동일하게 변경시킨 31개 기업들을 대상으로 event study를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평균적으로, CIP에 의한 상호 변경은 그 기업의 주식 가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업종별로 분석해보면, 비금융기관의 상호변경이 금융기관의 상호변경보다 주식 가격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소비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상호변경이 산업재를 생산하는 기업들의 상호변경보다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PDF

연구개발비 지출이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KSE와 KOSDAQ 업체를 대상으로 (The Effec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diture on Corporate Value)

  • 이학영;하규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3호
    • /
    • pp.822-830
    • /
    • 2008
  • 본 논문은 기업의 연구개발 관련 지출이 기업가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를 증권거래소(KSE)상장기업과 코스닥(KOSDAQ)기업을 대상으로 하여 실증적으로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실증적 분석 결과, 두 시장 모두에서 연구개발비 총액은 기업 가치에 대하여 유의하게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산으로 계상한 연구개발비를 포함시킨 모형, 비용으로 계상한 연구개발비를 포함하는 모형들도 모두 두 시장에서 기업 가치에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두 시장 모두에서 자산으로 계상된 연구개발 지출보다는 비용으로 계상된 연구개발비가 기업 가치에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나타낸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공동체의식에 따라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the Multicultural expropriation of University student According to Community Spirit)

  • 우안순;박봉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89-197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가 다문화 수용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7차 년도 자료를 기준으로 대학교에 입학한 1학년 학생 1,336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회귀분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대학생이 인식하는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양육태도는 다문화 수용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동체 의식은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 사이에 부분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다문화 수용을 높이고, 긍정적 양육 태도와 공동체 의식을 고취시키기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의사 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eaching Communication with Small Group Cooperative learning on Mathematics Learning Abilities)

  • 김윤희;김선유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7-96
    • /
    • 2002
  •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의사 소통 지도가 수학 학습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수학적 의사 소통 지도를 받은 실험반과 교사 중심의 설명식 일제 학습을 받은 비교반 간의 수학 학업성취에 대한 차이, 실험반의 상ㆍ하위 그룹의 학생과 비교반의 상 하위 그룹 학생간의 수학 학업 성취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고, 실험반과 비교반의 수학적 성향의 차이, 실험반의 상ㆍ하위 그룹의 학생과 비교반의 상ㆍ하위 그룹 학생간의 수학적 성향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 첫째, 실험반이 수학 학업 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반의 상위 그룹 학생들은 수학 학업 성취도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 그룹의 학생들은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험반이 수학적 성향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험반의 상 하위 그룹 모두가 수학적 성향 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험반 학생들은 소집단 협동 학습을 통한 의사 소통이 매우 중요함을 느끼고 있었고, 의사 소통의 경험에 대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연구 결과, 하위 그룹 학생일수록 교사가 인내심을 갖고 장기간 꾸준한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국가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통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Influence of Korean Drama Viewing on Korean National Image, Mediated by Consumption of Korean Products in China)

  • 변상호;송휘영;최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91-103
    • /
    • 2015
  • 본 연구는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이 한국 상품 소비에 따른 만족감과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 TV드라마가 한국의 국가 이미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지 아니면 한국 상품 소비와 같은 다른 요인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상하이에 거주는 현지인 10대에서 50대 이상 현지인 105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설문조사하여 이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 상품 이용만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셋째, 중국인의 한국 상품 이용만족은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중국인의 한국 TV드라마 시청은 한국 상품 이용만족을 매개로 한국의 긍정적 국가 이미지 형성에 간접적으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현실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Empathy Ability on Job Stress throug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 지미선;이신복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1호
    • /
    • pp.240-255
    • /
    • 2021
  • 유치원 교사는 영유아를 밀접하게 옆에서 보육하는 역할을 하며, 교사의 높은 공감 능력은 유아의 감정 및 의견을 존중하는 데 도움을 주며, 다양한 관계를 긍정적으로 이끌어 궁극적으로 자신의 직무만족감 및 자신감이 향상된다고 연구되었으나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는 부족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을 통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알아보고, 긍정 심리자본 및 공감 능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이루기 위해 연구 방법은 서울 및 경기 지역의 유치원 교사 212명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 변수의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의 공감 능력 중 정서적 공감 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 능력 중 인지적 공감능력이 긍정 심리자본의 각 요소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긍정 심리자본 전체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자기효능감과 복원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머사용이 부하의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운동에 미치는 영향 (An Influence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Leader's use of Humor on Employee's Innovativen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s)

  • 정대용;박권홍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725-728
    • /
    • 2010
  • 변혁적 리더십이 비전제시, 동기부여 등으로 부하 직원의 심리상태에 영향을 주고 변화를 유도한다는 점에서, 조직구성원의 긍정심리자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Lyttle, 2007; 이동섭 최용득, 2009)가 최근 발표된 바 있다. 또한 리더의 유머사용이 직원에게 긍정적인 마음과 동기를 심어줌으로써 긍정심리자본형성에 중요요인이라는 연구결과(Lyttle, 2007)처럼, 인재중시의 측면에서 재미있고 훌륭한 일터의 구현을 제공 및 기여하는 리더의 유머 경영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Avolio, Howell, & Sosik, 1999). 본 연구는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과 유머사용이 긍정심리자본을 매개변수로 하여 부하의 혁신성향, 직무 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국내중소제조업을 대상으로 검증하고 최종적으로 대안모형을 탐색하였다. 근로자 272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한 결과, 모든 가설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또한 변혁적 리더십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으로 정(+)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국내 중소기업의 경우 리더가 리더십 발현과 유머사용으로 부하 직원의 동기를 부여하고 긴장을 완화시켜주는 등 긍정적이고 낙관적인 심리형성에 기여함으로써 혁신성향,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