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긍정심리

검색결과 1,258건 처리시간 0.024초

변혁적 리더십과 교육훈련제공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 H기업의 긍정심리와 조직후원인식의 역할을 중심으로 (Effect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raining Program on the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ed on Positive Psychology an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송진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274-288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변혁적 리더십, 교육훈련제공, 긍정심리, 조직후원인식, 그리고 조직성과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탐구하는 것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긍정심리는 변혁적 리더십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기업차원의 교육훈련제공 또한 긍정심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 심리는 조직후원인식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후원인식은 다시 조직성과와 유의미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적으로 리더는 긍정심리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리더십을 함양해 나가야 하며, 기업은 조직차원에서 구성원에게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긍정심리를 향상시키고, 결국 이렇게 형성된 긍정심리는 조직후원인식과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긍정심리 이론을 축적하는데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활사업참여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for Psychological and Affectivity Well-being of Self-Support Participants)

  • 오혜성;변상해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1호
    • /
    • pp.615-623
    • /
    • 2020
  • 본 연구는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적, 정서적 안녕을 위한 긍정심리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 B자활센터에서 2018년 5월~6월까지 자활사업 참여자 30명을 모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실험집단은 긍정심리프로그램을 주 1회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긍정심리 프로그램이 자활사업 참여자의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긍정심리프로그램이 긍정정서를 향상 시키고 부정정서는 감소시켜 정서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정신적 고통을 감소시키는데 도움이 되었다. 넷째, 집단 간 비교에서 심리적 안녕감, 정서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따라서 긍정심리프로그램이 자활사업 참여자에게 심리적, 정서적 안녕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 되었다.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메타분석연구 (A Meta-Analysis on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y Group Program)

  • 박정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0호
    • /
    • pp.205-213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확산되고 있는 긍정심리학에 기반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를 통합하여 제시하고, 효과적인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실천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5년 6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중 메타분석의 대상선정기준에 따라 최종 26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서는 CMA(Comprehensive Meta-Analysis) software 2.0을 사용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평균효과크기를 살펴보면, 행복의 효과크기가 2.07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심리적 안녕감이 1.847, 긍정정서가 1.645, 삶의 만족이 1.407, 자아존중감이 1.289, 우울이 -1.208인 것으로 나타나서 6가지 종속변수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둘째,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조절변수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조절변수는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의 경우에 '연령'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심리 집단프로그램의 함의와 실천적 전략을 제언하였다.

진정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긍정심리 자본의 역할 (Role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 Influence of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 한정현;이규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1호
    • /
    • pp.61-69
    • /
    • 2024
  • 본 논문, "진정성리더십과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실증 분석"에 대한 연구임. 기업의 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리더와 구성원들의 긍정적인 상호작용과 공통된 목표달성을 위한 긍정적인 심리를 실현하는 것이 중요하다. 긍정심리자본이 높은 구성원은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신감을 가지고, 성공적인 업무수행 결과를 기대한다. 그리고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을 때 경로를 바로잡고 인내한다. 이렇게 자신의 심리를 바로잡거나 이를 초월하는 복합적 긍정심리상태를 긍정심리자본이라 한다(Luthans & Youssef, 2007). 이에 본 연구는 긍정심리자본을 기업의 성과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중요한 요인으로 인식하고, 이를 매개변수로 선정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positive psychotherapy) (Positive Clinical Psychology: Focusing on Mental Fitness and Positive Psychotherapy)

  • 김진영 ;고영건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5권1호
    • /
    • pp.155-168
    • /
    • 2009
  • 이 글의 목적은 긍정 임상심리학의 개요를 살펴보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긍정 임상심리학의 두 가지 핵심 영역인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의 개념을 살펴본 후 '고대 멘탈 휘트니스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그 과정에서 전통적인 심리치료와 긍정 심리치료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멘탈 휘트니스라는 개념이 도입되게 된 역사적인 배경 그리고 멘탈 휘트니스와 정신건강 교양(mental health literacy)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러한 고찰에 기초하여 긍정 임상심리학의 제한점 및 발전가능성이 논의되었다.

  • PDF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긍정심리자본이 의사소통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dental hygiene student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mmunication skills and interpersonal skills)

  • 박정현;장경애;조미숙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93-199
    • /
    • 2020
  •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와 울산광역시 일부 지역 대학교 학생들의 긍정심리 자본이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조사하였다. 주요 변인들과의 관련성 결과 긍정심리 자본의 하위 요인과 의사소통 능력, 대인관계능력에서 정적인 상관을 모두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긍정심리 자본이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희망(p<0.01), 회복력(p<0.05)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고, 긍정심리 자본이 대인관계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회복력(p<0.001), 자기효능감(p<0.05), 희망(p<0.05)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과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긍정심리 자본의 중요성을 확립시키고, 긍정심리자본을 강화할 수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컴페션(compassion)이 잡 크래프팅(Job Crafting)에 미치는 영향 :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compassion on Job Crafting :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oderating effect of Deep Acting)

  • 고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4호
    • /
    • pp.57-64
    • /
    • 2019
  • 본 연구는 국내 기업에 근무하는 탈북민 270명을 표본으로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직 내에서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 심리자본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고, 둘째는 컴페션을 통하여 형성한 긍정 심리자본이 잡 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는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목적은 컴페션과 잡 크래프팅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고, 마지막으로 컴페션과 긍정심리자본의 관계에서 심층행동의 조절효과를 실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 결과 탈북민들이 경험하는 컴페션이 긍정심리자본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고, 긍정심리자본이 잡크래프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연구결과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와 심층행동의 조절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어 모든 가설이 지지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기업에 근무하면서 공감적인 돌봄을 필요로 하는 탈북민들에게 긍정적 정서와 능동적인 업무설계의 동기부여를 제공해 준다는 시사점이 있을 것이다.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Development of Program to improve the Positive Psychology Capital of University Student' and its Effects)

  • 조윤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529-54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생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의 중요성을 확립하고 긍정심리자본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구조화된 집단상담 프로그램 모델을 기초로 개발하였다.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기획, 프로그램 요구분석, 프로그램의 이론적 배경 검토, 프로그램 목적 및 목표설정, 기존 프로그램 분석, 평가도구 선정, 프로그램 내용 구성, 프로그램 예비 실시 및 보완, 프로그램 실시 및 효과검증, 프로그램의 평가 10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에 위치한 C대학교의 24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주1회 90분씩 6회기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사전, 사후검사으로 수집되었고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긍정심리자본 향상 프로그램의 연구의 의의와 시사점, 제한점, 후속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병원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Resilience and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in Hospital Nurses)

  • 고영혜;이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51-56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병원간호사의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함이다. 2021년 6월 1일에서 30일까지 221명의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세 하위영역(공감만족, 소진,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으로 구성된 전문직 삶의 질과 극복력, 긍정심리자본 도구를 사용하여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극복력이 높을수록, 긍정심리자본이 높을수록 공감만족에서는 높은 점수를, 소진과 이차 외상성 스트레스는 낮은 점수를 보였다. 공감만족의 주요 영향요인은 극복력과 긍정심리자본으로 나타났으며, 공감만족을 47% 설명하였다. 소진의 주요 영향요인은 극복력, 긍정심리자본, 근무형태로, 소진을 36% 설명하였다. 특히 극복력은 공감만족을 높이고, 긍정심리자본은 소진을 낮추거나 예방할 수 있는 주요요인이므로, 병원간호사의 내적자원 강화를 위한 극복력 증진 프로그램 및 긍정심리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을 제언한다.

대학생들의 스마트폰중독이 자기생활관리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University Students' Smartphone Addiction on Their Life Management: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Mental Health)

  • 김비;김나미;박경은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5-35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대학생 266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중독, 긍정심리자본, 정신건강, 자기생활관리 척도를 실시하고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관련 요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스마트폰 중독은 자기생활관리와 긍정심리자본에서 유의한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정신건강간의 유의한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둘째,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기생활관리의 경로분석결과 긍정심리자본($0.69^{**}$)이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매개변인인 긍정심리자본과 정신건강 하위요인들과 자기생활관리 간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긍정심리자본에서는 낙관성($3.40^{**}$)과 탄력성($6.95^{**}$)이 자기생활관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정신건강에서는 우울($-2.01^*$)과 충동성($-3.53^{**}$)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자기생활관리를 위한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