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급성피폭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방사선피폭 후 급성조혈계증후군에 대한 Melatonin과 Ge-132의 효과 (The Effects of Melatonin and Ge-132 on Acute Hematopoietic Syndrome following Radiation Exposure)

  • 장성순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37-242
    • /
    • 2004
  • 방사선피폭 후 급성조혈계 손상에 대한 Melatonin과 Ge-132의 방어효과를 8 Gy의 선량으로 급성, 전신피폭 된 마우스에서 연구하였다. Melatonin은 피폭 1시간 전에 200 mg/kg의 용량으로 복강 내 주사하였고, Ge-132는 130 - 150 mg/kg/d의 용량으로 피폭 후 5일째부터 20일째까지 경구복용 시켰다. 방사선방어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장에서 TUNEL assay를 실시하였고 혈액 내 림프구와 총 백혈구 수치를 측정하였다. 피폭 후 30일째까지의 생존분석을 위해 4 실험군들 (피폭단독군, melatonin 전처치군, Ge-132 후처치군, melatonin 전처치 및 Ge-132 후처치군)에서 날짜경과에 따른 사망을 측정하였다. 피폭단독군과 melatonin 전처치군 간에 세포고사지수 (47.8% vs 45.9%, p=0.385)와 림프구 수치 ($97/{\mu}{\ell}\;vs\;101/{\mu}{\ell}$, p=0.898)에서 차이가 없었으나, 총 백혈구 수치는 melatonin 전처치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수치 ($147/{\mu}{\ell}\;vs\;306/{\mu}{\ell}$, p=0.010)를 보였다. 피폭 후 30일째의 생존율은 피폭단독군, melatonin 전처치군, Ge-132 후처치군, 그리고 melatonin 전처치 및 Ge-132 후처치군에서 각각 21.4%, 100%, 35.7%, 그리고 85.7%였다. 실험군들 간의 생존분석에서 melatonin 전처치 군은 피폭단독군(p=0.000)이나 Ge-132 후처치군(p=0.0003)에 유의하게 높은 생존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방사선피폭 후 급성조혈계증후군에 대하여 melatonin이 방사선방어제로서 효능을 지님을 보여주고 있다.

BIDAS프로그램 : 방사성 핵종의 섭취량과 선량 평가용 생물학적분석 자료 해석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The BIDAS Program : Bioassay Data Analysis Software for Evaluating Radionuclide Intake and Dose)

  • Tae-Yong Lee;Jong-Kyung Kim;Jong-Il Lee;Si-Young Chang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3-124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인체 내에서 방사성핵종의 거동에 관하여 국제방사선방호위원회에서 권고한 최근 호흡기 모델, 소화기 모델 및 생체동역학 모델을 사용하여 생물학적분석 자료로부터 섭취량과 예탁유효선량을 평가하기 위한 BIDAS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생물학적분석 자료를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 각 방사성 핵종에 대한 예측 생물학적분석 양을 내장하고 있는 모듈, 측정된 생물학적분석 양에 근거하여 급성 및 만성 피폭으로부터 섭취량과 선량을 평가하는 계산모듈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논문은 프로그램의 특성과 검증결과에 대해 기술한다.

  • PDF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 관류 CT검사 시 고정시간기법과 조영제 추적기법의 비교 연구 (At the time of inspection CT cerebral blood flow in patients with acute ischemic stroke, a comparative study of Bolus Tracking Technique and Fixed Time Technique)

  • 김기정;정홍량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3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217-218
    • /
    • 2013
  •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증상이 있는 뇌 관류 CT검사를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장비사가 제시한 고정 시간 기법(fixed time technique)과 조영제 추적 기법(bolus tracking technique)을 비교하여 환자의 피폭선량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조영제 추적 기법의 유용성과 최적의 조영증강 구간을 구현하는 Time graph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 PDF

내부피폭 감시주기 및 섭취형태가 방사성핵종 섭취량 평가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Monitoring Interval and Intake Pattern for the Evaluation of Intake)

  • Jong-Il Lee;Tae-Young Lee;Si-Young Chang;Jai-Ki Lee
    • 방사성폐기물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3-59
    • /
    • 2004
  • 방사성핵종의 특성, 섭취형태 그리고 내부피폭 감시주기는 작업자의 방사성핵종 섭취량 및 내부피폭선량 평가 결과에 중요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핵종이 흡입섭취 될 경우 섭취형태(급성 또는 만성) 및 내부피폭 감시주기에 따른 섭취량 평가 오차를 계산하였다. 섭취 핵종으로는 $^{125}$/I(Type F), $^{137}$Cs(Type F), $^{235}$ U(Type M, Type S)를 고려하였고, 방사능입자크기(AMAD)는 1 $\mu\textrm{m}$와 5 $\mu\textrm{m}$를 고려하였다. 섭취형태에 따라 평가된 섭취량의 상대오차는 방사성핵종, 흡수형태 그리고 내부피폭 감시주기에 따라 달랐으나, 입자크기에 의한 영향은 거의 없었다. 섭취형태 가정에 따른 섭취량 평가 오차를 10% 미만으로 줄일 수 있는 내부피폭 최대감시주기는 $^{125}$/I(Type F)에 대해 60일, $^{137}$Cs(Type F)에 대해 180일, $^{235}$ U(Type M)에 대해 90일, 그리고 $^{235}$ U(Type S)에 대해 360일로 나타났다.

  • PDF

콩의 생육단계별 HTO 증기 피폭에 따른 작물체내 TFWT 및 OBT 농도 (TFWT and OBT Concentrations in Soybean Plants Exposed to HTO Vapor at Different Growth Stages)

  • 임광묵;최용호;이원윤;박효국;강희석;최희주;이한수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9권4호
    • /
    • pp.213-219
    • /
    • 2004
  • 피폭상자 내에서 콩을 생육단계별로 1시간 동안 HTO 증기에 피폭시켰다. 피폭종료 직후 작물체내 TFWT의 상대농도(피폭 시간 동안 피폭상자내 공기 수분중 평균 HTO 농도에 대한 백분율)는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잎에서는 최고 40.2%, 줄기에서는 최고 6.4%였다. TFWT 농도는 수확시 까지 피폭시기에 따라 수 천${\sim}$수 십만 배 감소하였으며 대체로 잎 > 깍지 > 종실 > 줄기의 순으로 감소 정도가 켰다. 수확시 OBT 상대농도(피폭종료 직후 잎의 TFWT 농도에 대한 건조시료 내 OBT 농도의 비, $m{\ell}g^{-1}$)는 콩 종실의 경우 피폭시기에 따라 $2.2{\times}10^{-5}{\sim}9.5{\times}10^{-3}$의 범위로 종실의 발육 최성기 피폭시 가장 높았다. OBT 농도의 피폭시기에 따른 변이는 종실과 꼬투리에서 경엽부에 비해 훨씬 컸다. 콩의 생육중 급성 피폭시 종실 소비에 따른 섭취피폭 선량은 대부분의 경우 거의 전적으로 OBT에 기인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HTO의 단기적 사고방출시 두류내 $^3H$ 농도 예측을 위한 모델 수립 및 검증에 활용될 수 있다.

Phantom을 이용한 뇌 관류 CT검사에서 방사선 피폭선량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adiation Exposure Dose of Brain Perfusion CT Examination a Phantom)

  • 정홍량;김기정;모은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5호
    • /
    • pp.287-29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급성기 허혈성 뇌졸중 환자의 뇌 관류 CT검사 시 피폭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방사선 감수성이 높은 장기들의 장기선량(Organ dose)을 팬텀과 유리선량계를 이용하여 실측해보고, 제조사가 제시한 기존 프로토콜(고정시간기법)과 새로 제시한 융합 프로토콜(조영제 추적기법)을 적용하여 선량을 측정하여 보고, 피폭선량 저감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프로토콜과 비교하여 새로 제시한 융합 프로토콜에서 최고 39.8 %, 최저 5.8 % 장기선량이 감소하였고, 검사 피폭선량인 $CDTI_{vol}$과 DLP 값은 각각 25 % 감소하였으며, 권고 선량 이하로 측정되었다.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기존에 제시된 프로토콜을 점검해보고, 새로 제시한 융합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피폭선량을 감소시켜 국민보건향상에 이바지 해야 할 것이며, 다른 검사에서도 최적의 프로토콜을 찾기 위한 연구가 계속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공기중 I-131 농도 감시에 의한 갑상선 피폭 평가법의 적용성 (Assessment of Thyroid Dose Evaluation Method by Monitoring of I-131 Concentration in Air)

  • 이종일;서경원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9권1호
    • /
    • pp.69-80
    • /
    • 1994
  • 공기중방사성요드 농도로부터 체내피폭선량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전산프로그램 TCMI(Three-Compartment Model for iodine)를 개발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국제방사선방어위원회 권고 54(ICRP Publ. 54)의 3격실모델 및 호흡기모델에 따라 작업시간과 작업장의 공기중 방사성요드 농도로부터 갑상선부하량, 선량당량, 예탁선량당량 및 뇨를 통한 배출율을 시간의 함수로 평가한다. TCMI 코드를 이용함으로써 급성, 만성 및 급만성 등 구체적 피폭형태에 따른 갑상선부 하량과 선량당량 그리고 뇨를 통한 배출율을 평가하여 체내피폭평가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공기중 I-131 농도와 작업시간에 따른 갑상선부하량과 피폭선량을 간편하게 평가할 수 있는 식과 표를 제시하였다.

  • PDF

ELISA방법에 의한 방사선 피폭 후 흰쥐 혈액 내에서의 ceruloplasmin 정량 (Quantification of Ceruloplasmin in Wale Rats Exposed to ${\gamma}$-radiation by 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 김민규;박선영;김국찬;이강석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22권2호
    • /
    • pp.103-109
    • /
    • 1997
  • 수놈 흰쥐를 1.0, 2.0, 3.0, 5.0 및 7.0 Gy 선량으로 전신 조사하였으며 조사 후 48, 72, 96시간과 216시간 경과 후 혈액을 채취하였다. 혈액 내 ceruloplasmin을 측정하여 선량반응곡선을 완성하기 위하여 항원고정 방식의 경쟁적 효소면역측정법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정제는 turpentine을 주사한 수놈 흰쥐의 혈액을 사용하였다. Ceruloplasmin의 흡착효율은 50 mM carbonate/bicarbonate buffer, pH 9.6보다 10 mM Tris-HCI, 150 mM sodium chloride, pH 7.4에서 더 효과적이었으며 정량을 위한 적정한 ceruleplasmin의 흡착범위는 well 당 $70{\sim}140ng$이었다. Ceruloplasmin은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농도를 보였으며 피폭 후 96시간에서 최대값을 지니는 선량반응관계를 보였다. Cerulplasmin은 피폭 후 216시간에서도 피폭이전의 농도로 회복되지 않았다. 0.1 Gy로 피폭된 경우에도 ceruloplasmin의 농도는 피폭 후 $72{\sim}96$시간에서 최대로 증가하였으며 단백질의 농도는 대조군과 유의성 있는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Cerulplasmin은 방사선피폭 후 변화하는 중요한 급성반응물질중의 하나로 밝혀졌으며 방사선방호를 위한 유전자 발현 및 조절에 관할 연구가 필요하다.

  • PDF

원전 사고시 방출핵종의 조기 영향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 평가 (Assessment of Relative Importance to the Early Effect of Released Radionuclides During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 문광남;육종철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13권2호
    • /
    • pp.78-87
    • /
    • 1988
  • 원전 사고시 (또는 원자력 발전소 사고시) 환경영향 평가에 중요하게 고려해야 될 핵종을 도출 제시하기 위해 WASH-1400에서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는 25원소 54핵종의 노심재고량을 ORIGEN2 코드로써 계산한 후 환경으로 동일비율로 방출된다고 가정하여 급성피폭시 초기효과에 중요한 장기인 소화관, 골수, 갑상선, 허파에 대해 각 핵종에 의한 피폭선량을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핵종이 초기효과에 미치는 상대적 중요도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각 장기에 대한 초기효과에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나타난 원소들은 소화관에 대해서는 Np, Ce, Ru, Y, Zr의 순으로, 골수에 대해서는 Np, I, La, Sr, Ba의 순으로, 갑상선에 대해서는 I, Te으로 요오드외원소들의 상대적중요도는 극히 미미하였고, 허파에 대해서는 Cm, Ce, Ru, Pu, Zr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존의 환경영향 평가시 갑상선과 전신 피폭선량에 고려되고 있는 요오드 원소와 불활성기체 외에도 원전사고 후 충분한 양이 방출될 때 인근 주민의 장기에 대한 초기효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핵종이 많으며 이들 핵종들은 선원항 평가시 또는 사고시의 환경영향 평가시에 비중을 두고 고려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