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변하는 기상현상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nalysis of Detection Method for the Weather Change in a Local Weather Radar (국지적 기상 레이다에서의 기상 변화 탐지 방법 분석)

  • Lee, J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5 no.10
    • /
    • pp.1345-1352
    • /
    • 2021
  • Most of weather radar systems are used to monitor the whole weather situation for the very wide and medium-to-long range area. However, as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the local weather hazards is increased in recent days, it is very important to detect these wether phenomena with a local weather radar.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fast varying low altitude weather conditions and the effect of the ground surface clutter is more evident. Therefore, in this paper, the newly suggested method is explained and analyzed for detection of weather hazards such as the gust and wind shear using the fluctuation of wind velocities and the gradient of wind velocities among range cells.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efficiently in the future for faster detection of weather change through the simple algorithm implementation and also the effect of the ground clutter can be minimized in the detection procedure.

A Study on the Doppler Signal Simulation of a Weather Radar (기상레이다 도플러 신호 모의구현에 관한 연구)

  • Lee, Jong-Gil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561-564
    • /
    • 2007
  • Recently, The detection of weather conditions and weather related hazards with a weather radar are being actively investigated based on the echo intensity and the Doppler spectrum analysis. For this purpose, many types of simulated weather signals are needed for investigation. Therefore, this paper analyzed the method to simulate the many weather radar signals.

  • PDF

Doppler Spectrum Estimation in a Low Elevation Weather Radar (저고도 기상 레이다에서의 도플러 스펙트럼 추정)

  • Lee, J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4 no.11
    • /
    • pp.1492-1499
    • /
    • 2020
  • A weather radar system generally shows the weather phenomena related with rainfall and wind velocity. These systems are usually very helpful to monitor the relatively high altitude weather situation for the wide and long range area. However, since the weather hazards due to the strong hail and heavy rainfall occurring locally are observed frequently in recent days, it is important to detect these wether phenomena.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tect the fast varying low altitude weather conditions. In this environment, the effect of surface clutter is more evident and the antenna dwell time is much shorter. Therefore, the conventional Doppler spectrum estimation method may cause serious problems. In this paper, the AR(autoregressive) Doppler spectrum estimation methods were applied to solve these problem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pplied methods show that improved Doppler spectra can be obtained comparing with the conventional FFT(Fast Fourier Transform) method.

Utilization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information based on weather forecast data (기상예보자료 기반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의 활용성 평가)

  • So, Jae-Min;Lee, Joo-Heon;Bae, Deg-Hy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7-397
    • /
    • 2020
  • 가뭄을 전망하는 방법으로는 통계적 방법과 물리적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통계적 방법은 과거의 기상 및 수문현상이 미래에도 재현될 수 있다는 전제하에 미래 가뭄상황을 전망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예측된 결과들이 모두 과거의 경향에 국한됨에 따라 최근에 급변하는 수문기상의 특성을 고려하는데 한계가 있다(Trenberth, 1994). 물리적 방법은 주어진 초기 수문기상조건으로부터 역학적 알고리즘이 탑재된 기상 및 수문모형의 연계모의를 통하여 미래 가뭄을 전망하는 방법으로 모형에 따른 불확실성이 발생할 수 있으나 최근 수문순환의 변화를 예측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활용도가 높다. 본 연구에서는 기상예보자료와 지표수문모형을 연계한 물리적 기반의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고, 활용성을 평가하였다. 기상예보자료는 기상청 현업예보 모델인 GloSea5로부터 생산된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수문학적 가뭄전망을 위해 MSWSI (Modified Surface Water Supply Index)를 활용하였다. 수문학적 가뭄전망정보는 현재의 수문조건이 지속된다는 가정하에 예보선행시간 3개월까지 산정하였다. 2015~16년 기간에 중권역별 가뭄전망정보를 산정하였으며, 전망정보의 예측성은 통계분석을 이용하여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금회 제시한 연구방법은 현재의 수문조건이 지속될 시 기상예보에 따른 중권역별 수문학적 가뭄을 예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od Risk Matrix in Urban Area (도시지역의 홍수위험 매트릭스 개발 및 활용성 평가에 관한 연구)

  • Choi, Youngje;Ahn, Jaehwang;Cha, Daeseong;Yi, Jaee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64-64
    • /
    • 2019
  • 도시지역은 인구 및 사회인프라시설 등이 밀집되어 있어 홍수 발생 시 타 지역에 비하여 큰 피해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2017년 부산 지역과 2018년 서울 지역에 시간당 최대 100 mm 이상의 강우가 발생하여 인명 및 재산피해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도시홍수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해서는 수방시설물의 유지관리 뿐만 아니라 한정적인 물자와 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홍수예보 방안이 필요하며 정확도 높은 기상예보가 수반되어야 한다. 현재 지자체에서는 기상청의 기상특보를 활용하여 홍수대응을 실시하고 있으나 이는 전국적으로 동일한 기준으로 각 지역의 홍수특성을 반영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국내에서는 정확도 높은 기상예측을 위해 다양한 기상 수치예보모델을 활용하고 있으나 급변하는 기상상황을 정확히 예측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수치예보모델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현재 영국에서는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한 영향예보 도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영향예보란 단순 기상상황 뿐만 아니라 기상현상이 발생시킬 수 있는 위험수준과 그 위험수준이 발생할 확률을 함께 예보하는 방안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동래구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 피해 발생 강우량 및 지역의 확률강우량 등을 활용하여 지역특성에 맞는 총 4단계의 강우기준을 제시함과 더불어 기상현상의 발생확률을 조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Flood Risk Matrix)를 개발하였다. 또한 개발된 홍수위험 매트릭스의 활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2016년, 2017년 기상청에서 산출한 국지규모 앙상블예측시스템(Local Ensemble Prediction System, LENS)의 강우 앙상블 자료를 활용하였다. 그 결과 짧게는 24시간 전, 길게는 72시간 전에 홍수피해 발생의 예보가 가능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연구 대상 지역을 확대하여 각 지역에 적합한 홍수위험 매트릭스를 개발하고, LENS자료를 활용한 활용성 평가를 통해 실무에 적용 가능한 홍수예보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 PDF

A Study on the Necessity of Weather Information for Low Altitude Aircraft (저고도 운용 항공기를 위한 기상정보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Cho, Young-Jin;Kim, Su-R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viation and Aeronautics
    • /
    • v.28 no.1
    • /
    • pp.45-58
    • /
    • 2020
  •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press release ('18.12.21.) The amendment of the Aviation Business Act will reduce the capital requirements for aviation leisure operators and make it easier to enter aviation leisure businesses by improving regulations on small air transportation business. In addition, as the scale of the UAV(Unmanned Aerial Vehicle) sector is expected to increase globally, the dramatic increase in low altitude operating aircraft, including this, must be taken into account. The low altitude aircraft category is divided into small airplanes, helicopters, light aircrafts and ultra-light aircrafts, and instructors include school instructor pilots and student pilots, military and national helicopter pilots, and aviation leisure operators. In case of low altitude aircraft, there are cases of canceling operations due to low visibility and low clouds, and aircraft accidents due to excessive operation and sudden weather phenomenon.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low-altitude aircraft accidents, a safe flight plan based on weather conditions and weather forecasts and more accurate and local weather forecasts and weather forecast data are needed to prepare for the rapidly changing weather conditions.

Adaptive Video Enhancement Algorithm for Military Surveillance Camera Systems (국방용 감시카메라를 위한 적응적 영상화질 개선 알고리즘)

  • Shin, Seung-Ho;Park, Youn-Sun;Kim, Yong-Sung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9C no.1
    • /
    • pp.28-35
    • /
    • 2014
  • Surveillance cameras in national border and coastline area often occur the video distortion because of rapidly changing weather and light environments. It is positively necessary to enhance the distorted video quality for keeping surveillance.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aptive video enhancement algorithm in the various environment changes. To solve an unstable performance problem of the existing method, the proposed method is based on Retinex algorithm and uses enhanced curves which is adapted in foggy and low-light conditions. In addition, we mixture the weighted HSV color model to keep color constancy and reduce noise to obtain clear images. As a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improves the performance of well-balanced contrast enhancement and effective color restoration without any quality loss compared with the existing algorithm. We expect that this method will be used in surveillance camera systems and offer help of national defence with reliability.

Analysis of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Method Using an Array Antenna in a Local Weather Radar (국지적 기상 레이다에서의 배열 안테나를 이용한 효율적인 클러터 제거 방법 분석)

  • Lee, Jonggi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8
    • /
    • pp.1180-1187
    • /
    • 2022
  • As the likelihood of occurrence of the localized microbursts or severe flooding is increased due to the unusual weather changes, it is the very urgent problem to detect these weather hazards with a local weather radar. For a local weather radar of this purpose, it is essential to detect the low altitude and the fast varying weather conditions. Therefore, the very fast update of the weather information and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is very important. To achieve this goal, the appropriate method should be applied which does not need the mechanical elevation scanning and has the capability of the efficient clutter removal. Therefore, in this paper, the usefulness of the implementation of elevational filter banks with the spatial FFT algorithm was analyzed and investigated using a simple array antenna. It is shown that the suggested method can be used for both the minimization of the ground clutter and the fast update of weather information.

Variation Trends of Design Rainfall according to Change of the Number of Years for Observed Data (관측년수변화에 따른 설계강우량의 변동추이)

  • Ryoo, Kyong-Sik;Hwang, Man-Ha;Ko, Ic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567-570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GEV분포형에 패해 L-모멘트법을 적용하여 추정된 지점빈도 설계강우량의 변동추이가 관측년수변화에 따라 어떠한 변동추이를 나타내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수리시설물의 설계방향모색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현재 우리나라는 수리시설물의 설계나 관리시에 PMP, PMF 또는 빈도별 설계수문량 등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문량들은 매년 관측되는 수문관측치들에 의해서 매번 변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변화의 양상과 크기는 각 지점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로인해, 수리시설물의 설계 및 관리시 관측 지점별로 매우 상이한 설계수문량을 제시하기도 하며 특정관측자료로 인해 설계수문량이 급변하는 등 많은 혼란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관측지점별로 나타나고 있는 설계수문량의 변화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추후에 변화될 설계수문량의 양상 예측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기록년수가 가장 긴 강릉, 서울, 인천, 추풍령, 포항, 대구, 전주, 울산, 광주, 부산, 목포 및 여수기상대의 총 12개소를 선정하여 해당 기상대의 24시간 최대강우량을 대상으로 지점빈도분석을 실시한다. 지점빈도분석시 적용된 분포형과 매개변수추정법은 최근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GEV분포형과 L-모멘트법을 적용한다. 또한. 최종결론은 설계수문량의 양상을 형태별로 분류하고 형태에 따른 특성들과 예상되는 현상들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 PDF

Study on the Assessment technique and Design Standard for Wind Load on Transmission Tower (송전용 지지물 풍하중 산정기법 및 기준제정에 관한 연구)

  • Shin, Koo-Yong;Lim, Jea-Seob;Lee, Dong-Il;Whang, Kab-Cheol;Bang, Hang-Kweon;Shin, Tae-Woo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07a
    • /
    • pp.452-453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송전철탑에 작용하는 설계하중으로서 [송전철탑 설계풍속에 관한 연구]에 근거하여 1987년 6월 제정된 지역별설계 풍하중기준의 개정을 위한 연구결과를 수록하였다. 당시 제정된 송전설계기준은 이전에 전국적으로 통일시켜 적용되던 풍속압($76kg/m^2$)을 지역별 풍속을 구분하여 그 차이에 따라 I, II, III, 지역 및 울릉도로 구분하여 차등 적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상청이 생긴 이래 2005년까지 누적된 기상 DB의 분석을 통하여 최근의 기상 현상을 반영한 보다 현실적인 설계기준 개정과정을 수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1980년대 후반부터 약 20년간의 기상청의 풍향, 풍속자료를 추가로 확보하여 이를 분석하고 재현기간을 반영한 지역별 설계하중을 재산정하여 최근의 기상자료를 포함하여 보다 정확한 분석을 도모하고, 사회 환경의 급변함에 따라 우려되는 기상이변 등을 고려한 안전성과 경제성이 향상된 설계기준의 산정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