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배기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A study on the maintenance of school facilities for improving urban disaster prevention force (도시방재력 향상을 위한 학교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

  • Yeom, Tae-Jun;Han, Jong-Hun;Park, Mi-J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5.11a
    • /
    • pp.155-159
    • /
    • 2015
  • 본 연구는 도시방재력 향상을 위한 학교시설의 유지관리에 관한 연구로 도심지에 있는 학교시설의 필요시 방재기능으로 활용 할 수 있도록 방재기능을 외보공간측면, 내부공간측면으로 구분하교 세부 사항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사용 할 수 있도록 유지관리 측면을 안전, 건물, 균열, 누수, 기계, 설비(급배기, 급배수, 난방) 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유지관리 주기는 상시관리, 2~3년 주기, 5년 주기로 설정하여 방재기능을 유지관리 방안을 정리하였다.

  • PDF

Flue Gas Desulfurization System For Reducing SOx Emission In Thermal Power Plant (황산화물 저감을 위한 배연탈황설비 설치 사례)

  • 조승원;황영호;전상기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451-452
    • /
    • 1999
  • 석탄이나 석유와 같은 화석연료의 연소 시 대기 중에 발생되는 황산화물의 배출저감 방법으로서 사용연료의 황 함유량을 감소시키는 연소 전 처리방법과 연소과정 중 제거방법, 연소 후 제거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기 생산능력 40만 kW 급 중유화력 발전소의 연료 연소 후 배기가스 중 황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석회석 슬러리와 배기가스를 효과적으로 접촉시켜 SOx 와 먼지 등의 환경오염물질을 제거하고 부산물로 재활용 가능한 고순도의 석고를 생산하게 되는 JBR (Jet Bubbling Reactor) 형식의 습식 석회석-석고법 배연탈황 시스템을 소개하고자 한다.(중략)

  • PDF

Test and Evaluation for the Mixing Quality in the Premixer of DLE Combustor (DLE(Dry Low Emission) 연소기 예혼합기의 혼합성능 예측에 대한 시험평가)

  • 우유철;최장수;박동준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opulsion Engineers Conference
    • /
    • 1998.04a
    • /
    • pp.2-2
    • /
    • 1998
  • 현대우주항공(주)가 미국의 AlliedSignal사와 함께 국제 공동 개발중인 10MW급의 ASE120 엔진은 항공용 엔진을 산업용으로 개조한 개조형 엔진으로서 희박 예혼합 예기화(Lean Premix prevaporization) 방식의 연소기를 쓰고 있다. 이 연소기는 연소에 관여하는 공기량을 부하에 따라 가감하여 일정 공연비를 유지하는 air staging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로써 연소화염온도를 일정치로 조절하여 연소중 생성되는 유해가스의 양을 목표치 이하로 제어한다. 연소화염온도 설계치는 2912$^{\circ}$F이며 배기가스 발생량은 NOx, CO모두 궁극적으로 10ppmv 이하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러한 건식 저 배기가스(Dry Low Emission) 연소기가 그 역할을 다하기 위하여는 양호한 혼합기를 확보하는 것이 선결 문제이다. 본 연구소에서는 두 개의 혼합기(mixing can)가 180$^{\circ}$ 간격으로 환형 연소기(annular type)에 접선 방향으로 설치되어 대칭을 이루고 있고 혼합기의 혼합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시험장치에는 하나의 혼합기만을 쓰고 있다.

  • PDF

Thermal Comfort of the Floor Supply Air Conditioning System for Different Supply-return Locations during Cooling (급배기 위치에 따른 바닥급기 공조시스템의 냉방 열환경)

  • 김요셉;김영일;유호선
    • Korean Journal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on Engineering
    • /
    • v.12 no.5
    • /
    • pp.476-485
    • /
    • 2000
  • This study numerically investigates thermal comfort in a space cooled by the floor-supply air conditioning system, in which three different supply-return locations, one floor supply-ceiling return and two floor supply-floor returns, are treated. A complementary experiment is peformed to validate the present numerical analysis, and the prediction agrees favorably with the measured data. In the numerical procedure, a simplified model mimicking the inlet flow through the diffuser is developed for efficient simulations. The calculated results show that the ceiling return type is far better in thermal comfort than the floor return ones within the extent of this study, which seems to be caused by effective vertical penetration of the supply air against natural convection. It is also revealed that the arrangement of port locations in the floor supply-floor return system has insignificant effect on the cooling performance. For selecting a proper system, other characteristics including the heating performance should be accounted for simultaneously with the present estimation.

  • PDF

변풍량 공조 시스템의 제어

  • 주영덕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29 no.2
    • /
    • pp.39-45
    • /
    • 2000
  • 1970년대부터 사용된 변풍량 공조 시스템 (Variable Air Volume System)은 실내 부하 변동에 따라 급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키고 실별, 존별 송풍량을 변화시켜 실온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에너지 절약, 개별 제어 등의 장점 때문에 적용이 확대되었고 특히 단일덕트 변풍량 공조 시스템은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많은 건물에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 제어시스댐의 풍량 측정의 문제점과 공조기내에서 풍량변화 및 급/배기 댐퍼의 개도 변경으로 인한 환기 댐퍼의 비선형 특성을 고려하지 않고 제어하기 때문에 외기량 확보를 정확히 유지 못하는 실정이다. 따라서 단일덕트 변풍량 시스템의 환기댐퍼 및 급기, 환기 팬의 제어 방식의 종류와 특성 및 문제점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Improvement Technology for Achieving Higher Throughput Limit Utilized in the Evaluation of Next Generation Dry Pumps (첨단공정용 드라이펌프 유량 측정 한계 향상기술 개발)

  • Shin, J.H.;Ko, M.K.;Cheung, W.S.;Yun, J.Y.;Lim, J.Y.;Kang, S.W.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8 no.6
    • /
    • pp.411-417
    • /
    • 2009
  • The constant volume flow meter system (the chamber volume in the 22 L class) was developed to estimate the pumping speed of the dry pump used for the industry of the next generation semiconductor and display. In order to insure the validity of the system, The base pressure and the leak rate in the enclosed system were checked, which were the $6{\times}10^{-8}\;mbar$ and $1.5{\times}10^{-6}\;mbar-L/s$, respectively. Furthermore,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value of throughput limit in this system was as much as 1 order of magnitude lower than that in a previously developed system in the 875 L class. By using this developed system, the pumping speed of the new small dry pump was measured. It is believed that the new developed system can be alternating the expensive constant pressure flow meter system in the range of $1{\times}10^{-2}\;mbar-L/s{\sim}1{\times}10^{-3}\;mbar-L/s$.

A numerical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smoke exhaust system according to the smoke exhaust method in emergency station for railway tunnel (철도터널 구난역의 제연방식에 따른 제연성능에 관한 수치 해석적 연구)

  • Ryu, Ji-Oh;Kim, Jin-Su;Seo, Jong-Won
    •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 /
    • v.19 no.6
    • /
    • pp.845-856
    • /
    • 2017
  • In the long railway tunnel, in order to secure safety in case of fire, it is required a emergency station. However, there is no standard or research results on smoke exhaust method and exhaust flow rate in emergency station, so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moke exhaust system for emergency station. In this study, we are created a numerical analysis model for emergency station where the evacuation cross passage connected to the service tunnel or the relative tunnel wa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40 m intervals). And the fire analysis are carried out by varying the fire intensity (15, 30MW), the smoke exhaust method (only air supply, forced air supply and exhaust, forced air exhaust only), and the air flow rate (7, 14, $40m^3/s$). From the results of fire analysis, temperature and CO concentration are analyzed and ASET based on the limit temperature are compared at various condition. As a result, in the case with fire intensity of 15 MW, it is shown that a sufficiently safe evacuation environment can be ensured by applying forced air supply and exhaust method or forced air exhaust only method when the air flow rate is $7m^3/s$ above. In case of fire intensity of 30 MW, it is impossible to maintain the safety evacuation environment for more than 900 seconds when the exhaust air volume is below $14m^3/s$. And when the air flow rate is $40m^3/s$, the exhaust port is disposed at the side portion of the upper duct, which is most advantageous for securing the temperature-based safety.

Heat Integration and Economic Analysis of Dry Flue Gas Recirculation in a 500 MWe Oxy-coal Circulating Fluidized-bed (CFB) Power Plant with Ultra-supercritical Steam Cycle (순환 유동층 보일러와 초초임계 증기 사이클을 이용한 500 MWe급 순산소 화력발전소의 건식 재순환 흐름의 열 교환 및 경제성 분석)

  • Kim, Semie;Lim, Young-Il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v.59 no.1
    • /
    • pp.60-67
    • /
    • 2021
  • This study presented techno-economic analysis of a 500 MWe oxy-coal power plant with CO2 capture. The power plant included a circulating fluidized-bed (CFB), ultra-supercritical steam turbine, flue gas conditioning (FGC), air separation unit (ASU), and CO2 processing unit (CPU). The dry flue gas recirculation (FGR) was used to control the combustion temperature of CFB. One FGR heat exchanger, one heat exchanger for N2 stream exiting ASU, and a heat recovery from CPU compressor were considered to enhance heat efficiency. The decrease in the temperature difference (ΔT) of the FGR heat exchanger that means the increase in heat recovery from flue gas enhanced the electricity and exergy efficiencies. The annual cost including the FGR heat exchanger and FGC cooling water was minimized at ΔT = 10 ℃, where the electricity efficiency, total capital cost, total production cost, and return on investment were 39%, 1371 M$, 90 M$, and 7%/y, respectively.

Development of Underground Conduits Eco-Monitoring System (지하공간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및 시험)

  • Park, Jungl-Kwon;Han, Jin-Woo;Kang, Wang-Kyu;Woo, Byong-Soo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40-44
    • /
    • 2009
  • 지하구는 도시의 신경망이라 할 수 있는 통신, 전력, 상수도, 난방, 쓰레기 처리시설 등 도시 운용/관리를 위한 주요시설물을 안전하게 수용하고, 유지 관리하기 위한 시설로 IT기술을 이용하여 수용된 시설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재난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함과 동시에 최소의 비용과 에너지로 수용된 시설물을 유지관리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하구(공동구, 통신구, 전력구)의 운용 및 유지관리와 지하구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재난에 대응하기 위한 지하구 운용 및 유지관리에 대해 알아보고, 지하구 내부에 수용된 시설물을 효과적으로 유지관리하고 재난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해 기술 하고자 한다.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구 내부에는 전력, 상수도, 통신, 난방 등 다양한 시설물이 수용되어 있으며, 이러한 시설물의 부식, 고장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지하구내부의 환기시스템의 송풍기와 지하수와 기상재해로 인한 지하구 및 수용시설물의 침수를 막기 위한 양수펌프에 대해 실시간 상태모니터링 통해 송풍기 및 펌프의 고장여부를 판단하여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관리자가 신속하게 대응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송풍기의 제어는 지하의 내부와 외부에 설치된 온/습도 센서를 통해 지하구 내부환경을 최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쾌적한 지하 내부환경 유지하고, 급/배기가 필요할 경우에만 송풍기를 가동함으로써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으며, 화재, 침수 등에 대한 재난시 환풍기의 급/배기, 정지 등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지하구내부에서 발생된 재난을 유/무선을 이용하여 신속하게 지하구 주변의 장치(U-Pole 또는 통합컨트롤러)를 통해 경보를 전파함으로써 주변 시민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지하구 환경모니터링 시스템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지하구 및 실험실에 시스템 및 Test Board을 설치하여 운용시험을 실시 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