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배기

Search Result 109, Processing Time 0.032 seconds

Various Air Flow Designs in the Telecommunication Room (국사냉각 급배기 방식 기술)

  • Noh, H.K.;Jung, Y.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3 no.4 s.52
    • /
    • pp.86-96
    • /
    • 1998
  • 점차적으로 고발열화되고 있는 국내 전화국사의 교환기실을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는 새로운 국내 교환기실의 급배기 방식의 개발에 이용하고자, 실제 국내 교환기실의 모델을 대상으로 한 수치적인 연구방법으로써 각 급배기 방식에 따른 속도 분포 및 교환기 내의 전자부품 온도 분포 등 각 급배기 방식에 따른 냉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결과들은 고발열화되는 국내 교환기실의 새로운 급배기 방식 설정을 결정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2,500 L/s 급 복합분자펌프의 특성평가 database 구축 및 표준화 기술 개발

  • Kim, Wan-Jung;Go, Mun-Gyu;Jeong, Wan-Seop;Im, Jong-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1.08a
    • /
    • pp.167-167
    • /
    • 2011
  •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국제표준화기구에서 제정한 국제규격(ISO, PNEUROP, DIN, JIS, AVS 등)에 기반을 둔 터보분자펌프의 특성평가시스템을 자체적으로 설계/제작 하였고, 터보분자펌프 1,000 L/s 급의 Database를 구축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특성평가시스템의 신뢰성 확인과 Feedback을 통한 시제품 개발 및 평가지원을 위해 터보분자펌프 2,500L/s 급의 Database를 구축한다. 터보분자펌프의 배기성능을 나타내는 가장 중요한 항목인 배기속도는 분자류 영역에 따라 상이한 가스($N_2$, He)를 사용하여 Throughput method와 Orifice method 두 가지 방법을 병행하여 측정한다. 측정함에 있어서 측정게이지, 유량계 및 Orifice conductance의 불확도에 의하여 배기 속도에 많은 측정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측정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1% 이상의 안정성과 4%의 오차만을 허용하는 자전 회전자게이지(SRG)와 $10^{-3}$ mbar-L/s 영역까지의 유량 주입범위를 가지는 불확도 ${\pm}$3%의 정적형 유량시스템(CVFM)을 사용하였다. Orifice method의 경우 고진공영역으로 진입할수록 커질 수밖에 없는 배기속도 측정 불확도를 최소화하기 위해 검증된 유량을 이용한 Conductance 값을 제시하여 두 방법에서 얻은 배기속도의 불연속적인 문제를 해결한다. 본 연구에서는 2,500 L/s 급 터보분자펌프는 무거운 기체 $N_2$와 가벼운 기체 He을 사용하여 압축비의 변화와 분자류 영역에 따른 배기속도 변화를 연구하고, 2,500 L/s 급 터보분자펌프의 측정능력을 검증한다. 차후에 배기속도뿐만 아니라 소비전력, 소음, 진동, 온도 등의 특성평가의 전반적인 사항을 평가하여 터보분자펌프 2,500 L/s 급의 database를 완비해간다. 터보분자펌프 특성평가시스템을 사용한 1,000 L/s 급과 2,500 L/s 급 특성 Data를 비교, 분석하여 신뢰성 파악 및 표준화 방안을 개발하고, 고진공펌프 개발 주체와의 feedback 지원 기능의 infra를 구축한다.

  • PDF

A Study on the Ventilation Conditions for the Prevention of Spontaneous Combustion of Small Ship Engine Room (소형선박 기관실의 자연발화 방지를 위한 환기조건에 관한 연구)

  • Park, Chan-S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2 no.4
    • /
    • pp.11-19
    • /
    • 2008
  • In order to show the most suitable ventilation conditions for the prevention of spontaneous combustion of small ship engine room, We have performed CFD simulation and analyzed flow and temperature fields. The flow patterns indica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number and location of supply and exhaust opening. The case of locating the exhaust openings at the center of left and right side ceiling to the longitudinal symmetric line were more effective to eliminate the generated heat. When the number of supply and exhaust openings were increased, the case of increasing the number of exhaust opening showed more suitable ventilation conditions. The most suitable ventilation conditions in order to prevent the spontaneous combustion of small ship engine room was predicted that the supply opening located at the center of front and after side ceiling to across symmetric line, and the exhaust opening located at the center of both side walls.

A Numerical Study on Smoke Control for Smoke Control Systems and Air Flowrate (제연방식과 풍량에 따른 제연성능의 수치적 연구)

  • 박외철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17 no.2
    • /
    • pp.56-61
    • /
    • 2003
  • The smoke removal rate from a room with an opening was investigated for different smoke control systems by using the large eddy simulation turbulence model of the Fire Dynamics Simulator. The decreasing rate of the particle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2m X 2m X 2.4m room was com-pared for the ventilation system, pressurization system and extraction system, and for the air flowrate of the ventilation system. Difference in the smoke removal rate among the three smoke control systems was small when the opening was closed. The pressurization system showed less smoke removal rate than the other two systems when the opening existed, and hence is not recommended for subway stations with large openings. It was also shown that a less flowrate in the ventilation system leads to a much longer smoke removal time.

진공펌프 물 배기속도 측정 설비 구축

  • Lee, Dong-Ju;Park, Jong-Yun;In, Sang-Ryeol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6.02a
    • /
    • pp.109.2-109.2
    • /
    • 2016
  • 현민지브이티(Genesis)는 중소기업청 중소기업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된 2014년도 구매조건부 신제품 개발사업에 선정되어 '극저온 G-M냉동기를 이용한 대용량 Cold Trap개발'과제를 수행하면서 32인치 급으로 수분에 대해서 30,000[L/s] 이상의 배기속도를 가지는 대형 CWP를 개발하고 있다. 1차년도(2015년) 목표는 80K에서 200W급 단단 G-M극저온 냉동기를 개발하는 것이고, 2차년도(2016년) 목표는 이를 장착하여 30,000[L/s]의 물 배기속도 능력을 갖춘 32인치(800mm)급 직부형(appendage) CWP를 개발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CWP 시스템의 물 배기속도를 실제로 측정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까지는 물(H2O)이 가진 독특한 물리적 특성으로 인해 배기속도 측정에 많은 어려움이 있어 이론적으로 계산한 값을 사용해 왔다. (심지어 크라이오 펌프 제조사 조차도 실험하지 않고 이론적인 계산 값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그러나 최근 본 과제 외에 물 배기속도 측정에 관한 요구사례와 일부 크라이오 펌프 제조사에서 수행하고 있다는 보고가 있는 바, 실제 물배기속도 시스템을 구축하여 이론과 실제 사이의 차이와 측정의 어려움 등에 관해 규명하고자 하였다. 물 배기속도 측정 방법은 크게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째, 시스템으로 흘리는 물의 양을 Liquid MFC를 이용하여 먼저 측정한 후 Vaporizer로 보내어 기화 시키며 배기속도를 측정하는 방법. 둘째, 물을 Vaporizer로 먼저 기화시킨 후에 High Temp. MFM으로 기체 유량을 측정하며 배기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이 그것이다. 이에 국내 최초로 두 가지 방법 모두를 사용하여 표준화 된 물 배기속도 측정 설비를 구축하였고, 20인치(500mm) 크라이오 펌프와 인라인(inline)형 CWP 모델에 대한 물 배기속도 측정을 성공적으로 완료할 수 있었다. 향후 본 시험 방법과 결과를 토대로 32인치(800mm) 직부형 CWP 모델에 대한 물 배기속도 측정시험을 수행하고자 한다.

  • PDF

Smoke Exhaust Performance Prediction According to Air Supply and Exhaust Conditions for Shipboard Fires from a Human Safety Point of View (인명안전 관점에서 선박 화재 시 급·배기조건에 따른 배연성능 예측평가)

  • Kim, Byeol;Hwang, Kwang-I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2 no.7
    • /
    • pp.782-790
    • /
    • 2016
  • When a fire occurs on a ship that has mechanical ventilation facilities, the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s directly effect smoke diffusion. And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occupant's visibility will be harmed because of smoke. In this study, the effects and risks of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s with regard to smoke diffusion given a shipboard fire analyzed with a Fire Dynamic Simulator(FDS). Suggested measures are also provided for using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s more efficiently.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air supply and exhaust systems were both working at the time of a fire, rather than stopping these systems as previously encouraged, continuing to operate both was an effective measure to gain evacuation time. When a fire occurred and the exhaust system was operating, also starting the air supply system near the origin of the fire was another effective approach to gain evacuation time. However, when only the air supply system was operating and a fire occurred, the air supply system accelerated smoke diffusion, so it was necessary to stop the air supply system to detect smoke diffusion as much as possible.

A study on Rotor Development for Air-to-Air Heat Exchanger (전열교환기 성능향상 및 로터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Seok-Jeong;Park, Ban-Uk
    • 한국기계연구소 소보
    • /
    • s.16
    • /
    • pp.17-28
    • /
    • 1986
  • 전열교환기는 최근 대형건물 및 생산공장 등의 에너지 다소비 장소의 공기조화설비의 에너지 절감기기로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늄 박판에 실리카-겔 분말을 코팅한 Honey comb형 로터는 현열 및 잠열 즉 전열을 흡수할 수 있어 폐에너지 회수용 전열교환기의 전열소자로서 점차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열교환기의 핵심부품인 상기 로터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륜공업(주)와 공동출연으로 실리카-겔 분말 코팅된 알루미늄 소재 박판만 수입하여 성형공정 기술을 개선, 향상시켜 국산로터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여 수입로터와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국산개발 알루미늄 로터 시제품의 전열효율이 수입로터 보다 급배기 조건에 따라 1~5%정도 향상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로터의 최적운전조건(11-13 r.p.m) 및 급배기 공기량비에 대한 적정조건도 연구결과로 얻어졌다.

  • PDF

A Study on Rotor Development for Air-to-Air Heat Exchanger (전열교환기 성능향상 및 로타 국산화 개발에 관한 연구)

  • Seo S. C.;Park B. O.
    • The Magazine of the Society of Air-Conditioning and Refrigerating Engineers of Korea
    • /
    • v.15 no.3
    • /
    • pp.226-233
    • /
    • 1986
  • 전열교환기는 최근 대형건물 및 생산공장 등의 에너지 다소비 장소의 공기조화 설비의 에너지 절감 기기로서 크게 각광 받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알루미늄 박판에 실리카-겔 분말을 코팅한 허니컴형 로타는 현열 및 잠열 즉 전열을 흡수할 수 있어 폐 에너지 회수용 전열교환기의 전열소자로서 점차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현재까지 전열교환기의 핵심부품인 상기 로타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백륜공업(주)와 공동출연으로 실리카-겔 분말 코팅된 알루미늄 소재 박판만 수입하여 성형공정 기술을 개선, 향상시켜 국산로타의 시제품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시험하여 수입로타와 비교,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국산개발 알루미늄 로타 시제품의 전열효율이 수입로타보다 급배기 조건에 따라 $1\~5\%$정도 향상되었다. 또한 알루미늄 로타의 최적운전조건$(11\~13\;r.p.m)$ 및 급배기 공기량비에 대한 적정조건도 연구결과로 얻어졌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