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급기

Search Result 346,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Measurements of Therm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Underfloor Air-conditioning Space (바닥급기 공조공간내의 온열환경의 측정)

  • 한화택;김민규;지용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216-221
    • /
    • 2001
  • 바닥급기 공조시스템은 재실자에게 신선외기를 효과적으로 공급하고 온열환경을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수단으로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급기구가 인체에 너무 가까이 위치할 경우, 부분적인 열구배에 의한 불쾌감을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바닥급기 공조시스템이 설치된 공간내의 온도 및 기류분포 등의 온열환경을 측정하였고 적외선 카메라를 이용하여 급기구에 의한 인체 표면 온도를 측정하여 열적 쾌적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 PDF

Development of Pressure Differential Smoke Control System for Separating the Leakage Air Flow and the Supplementary Air Flow (분리급기형 급기가압 제연시스템 개발)

  • Kim, Jung-Yup;Shin, Hyu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11a
    • /
    • pp.310-313
    • /
    • 2011
  • 국내에서 고층건물의 제연시스템으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기존의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설계방안과 같이 한개의 급기풍도를 통해 누설량과 보충량이 동시에 공급될 경우에는 부속실과 옥내간에 형성되는 차압이 설계기준에 미달하거나 과압이 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져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설치목적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누설량의 공급과 보충량의 공급을 각기 다른 유로를 통해 수행하는 방안 및 장치구성을 제시함으로서 고층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안전한 피난환경을 제공하고자 한다.

  • PDF

Experimental Analysis of Thermal Comfort of an Office Space for Different Supply Locations during Cooling (냉방시 사무실 공간의 급기 위치에 따른 실내 열환경 평가 실험)

  • 김명호;김요셉;김영일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1999.11a
    • /
    • pp.115-120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조건과 유사하게 모사된 사무실 공간을 대상으로 냉방시 급기 위치에 따른 기온, 기류속도, 복사온도를 측정하여 열환경을 평가하였다. 사무실 공간은 실제의 조건과 유사하게 인체, 조명, 사무기기의 부하를 전기히터로 모사했으며, 외기부하는 벽체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부동액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모사하였다. 실험 결과 냉방 조건에서는 바닥급기 방식의 경우 평균온도가 천장급기에 비해 낮아 에너지 절약 측면에서 유리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천장급기에 비해 수직온도차가 크고 급기구 근처에서는 수직온도차에 의한 불쾌감과 빠른 기류속도에 의한 드래프트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 Study on the Adequacy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Air Supply Damper of the Attached Actual Smoke Facility (부속실제연설비 급기댐퍼의 설치위치 적정성 연구)

  • Yang, Sung-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2.10a
    • /
    • pp.193-19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특별피난계단의 전실에 설치되는 부속실제연설비가 화재 시 발생한 연기가 부속실 내로 역류하지 않는 급기댐퍼의 적정한 설치위치를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FDS(Fire Dynamics Simulator)을 사용 하였다. 시뮬레이션 Case 총 15가지로 구분하고, 방연풍속은 총 64개의 지점에서 측정하는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출입문 상부 및 하부에서 역 기류가 발행하는 Case가 있었으며, 대부분 출입문 하부에서의 연기 유입이 예상되는 경우가 많았다. 방연풍속은 측정 포인트 64점에서 관련기준에 단 한 곳도 미달하지 않고 만족하는 경우는 총 단 4가지 Case로서 매우 제한적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만큼 급기댐퍼의 위치 및 급기방향에 따라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이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앞으로 실물실험을 통하여 구체적인 자료가 입증되길 바라고, 더불어 부속실 제연설비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PDF

The Influence of Stairway Pressurization Conditions on the Stack Effect in Super-tall Buildings (초고층건물 계단실 단독 급기가압 제연조건이 연돌효과에 미치는 영향)

  • Park, Yong-Hwan;Kim, Beom-G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4
    • /
    • pp.109-115
    • /
    • 2010
  • Maximum pressure difference in central core type 80th super_tall buildings was estimated as 75 Pa during no outside wind due to the winter stack effect. Maximum pressure difference of 225 Pa can be obtained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air injection fan during the stairway pressurization at fire. Bottom_only air injection system provided the best results in the sense of required air flow rates and pressure distributions. Top_only air supply system was estimated as the worst for this country. It revealed that the decrease of the temperature in the stairway due to the cold outside air injection reduced the required flow rates of the fan and significantly changed the distribution of pressure differences.

Numerical analysis on effect of hole size o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수치해석을 통한 비상피난지원 시스템의 급기구 크기에 따른 유동분석)

  • Kim, Ji Tae;Park, Won Hee;Lee, Duck Hee;Ro, Kyoung-Chul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4
    • /
    • pp.324-329
    • /
    • 2020
  • The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provides a safe means of evacuation by preventing the inflow of smoke through the formation of a smoke shield curtain in fire situations and pressurizing fresh air to the inside of the smoke shield curtain. In this study,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hole size on the flow inside the smoke curtain. As the air supply size decreased, the flow rate through the air supply was formed relatively uniformly from the inlet to the outlet length of the emergency support system. In addition, the size of the air supply hole was more than 20 mm, the flow rate was very low near the outlet, so the air supply hole size should be smaller than 20 mm. In addition, the minor loss of the air supply hole was calculated to be K = 1.5 from the numerical results. Therefore, the proper design of an emergency evacuation support system is possible using the flow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size and minor loss of the air supply hole.

증명서자동발급기 시장의 절대강자, 아이디씨텍

  • Korea Vending Machine Manufacturers Association
    • Vending industry
    • /
    • v.5 no.3 s.15
    • /
    • pp.60-61
    • /
    • 2005
  • 작년 국내 증명서자동발급기 시장은 대외적으로 경기침체가 가중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큰 폭의 성장세를 나타냈다. 우리 협회의 2004년 산업 통계에 따르면 총 보급수량이 459대에 배출이 77억여원대에 이른다. 유관성이 큰 분야인 티켓발매기 시장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는 데 비해 증명서자동발급기 시장은 매년 꾸준한 성장을 해오고 있는 것이다. 이런 탓에 전국의 관공소나 병원, 학교 등지에서 증명서자동발급기를 만나는 것은 더 이상 낯선 일이 아니다. 시장이 이렇게 큰 성장을 보이게 된 데는 아이디씨텍社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이 회사는 지난 1997년부터 증명서자동발급기를 설치 보급하며 독보적인 시장 경쟁력을 구축해 왔다. 이 시장의 절대강자로의 아성을 공고히 하고 있는 아이디씨텍의 사업 현황을 살펴봤다.

  • PDF

Study on Improvement of Pressure Differential System for Smoke Management in Evacuation Stairs (피난계단 연기제어시스템의 적정차압 유지를 위한 개선방향 연구)

  • Kim, Jung-Yup;Shin, Hyun-J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1.04a
    • /
    • pp.267-271
    • /
    • 2011
  • 국내에서는 고층 건축물의 화재시 피난계단으로의 연기침투를 방지하여 안전한 피난경로를 확보하기 위하여 피난계단의 부속실에 외기를 급기함으로써 부속실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건축물에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는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에 대한 현장 성능평가의 결과를 검토해보면 상당수의 건축물에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이 소기의 운전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제연구역인 부속실과 옥내간의 차압이 기준치 이상의 과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반대로 기준치 이하의 저압으로 유지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피난에 따라 부속실의 출입문이 개방되면, 출입문이 열린 층 이외의 층에서 개방 전에 적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던 차압이 크게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급기가압 제연시스템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검토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Effective Smoke Control Method of Large Volume Space Comparted by Smoke Reservoir Screen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된 대형공간의 효과적인 제연방안에 관한 연구)

  • Kim, Tae-Hoon;Kwon, In-Kyu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5 no.1
    • /
    • pp.34-41
    • /
    • 2011
  • This research examines problem that can happen in partial smoke control method among contiguity area smoke control system through engineering examination and CFD.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is to secure safety of a person inhabiting at fire department by presenting improvement plan. Now a days, in large space-area such as department store or mega-mall in which mainly applies "Partial Smoke Control Method", air is suppled from adjacent area and smoke is exhausted in fire room. For various reason, however, it is confirmed through simulation that if air is suppled in one direction, this can cause a fatal result to people of fire area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securing the evacuation time. As an improvement plan, air is supplied at the same time in surroundings to fire department.